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기장군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보
◈ 기장군의 관광, 여가문화자원
◈ 관광자원 - 달음산, 기장읍성(機張邑城), 죽성(竹城, 일명 신라토성), 기장죽성리왜성(機張竹城里倭城, 일명 豆毛浦倭城), 불광산 장안사(佛光山 長安寺), 앵림산 안적사(鶯林山 安寂寺), 대원군 척화비(大院君 斥和碑), 철마선돌(鐵馬立石), 공덕비군(功德碑群), 홍연폭포(虹淵瀑布), 소학대(巢鶴臺), 기장향교(機張鄕校) / ◈ 여가시설 - 임랑(林浪)해수욕장, 일광(日光)해수욕장, 만화리(萬化里) 테마 임도(林道)
목   차
[숨기기]
 

1. 관광, 여가문화자원

 
 

1.1. 관광자원

 
◈ 달음산
기장군의 중앙에 있는 달음산(586m)은 기장의 제일경(第1景)이다. 일명 취봉산(鷲峰山)이라고도 한다. ‘달음산’은 ‘높은 어미산’(高母山)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예부터 이곳에 천명의 성인(千名聖人)이 나오고 전쟁의 참화를 피할 수 있는 피란지라 하였으니 명산 중의 명산이다. 큰 바위로 된 계관(鷄冠)을 머리에 얹고 수려한 자태를 허공에 높이 솟아 동해의 푸른 물결을 굽어보고 있는 형상이다. 동해에서 솟아오르는 새벽빛이 우리나라 육지에서 제일 먼저 달음산 봉우리를 비춘다. 그래서 기장군을 ‘아침이 좋은 도시 기장’ 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달음산은 기장 사람들의 고향이며 어미산으로서 수령산(繡嶺山, 기장의 진산)과 더불어 신산(神山)으로 추앙 받는다.
 
달음산 자락에 자리한 옥정사(玉井寺)는 긍해(亘海)스님이 창건하고 환봉스님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데 달음산을 찾는 사람들에게 시원한 약수를 제공하고 참배하게 한다.
 
◈ 기장읍성(機張邑城)
동부리 일대에 석축성곽의 일부가 보존되어 있다. 고려 공민왕 5년(1356)에 축성된 읍성이다. 동문에서 오른쪽으로 약 300m 지점에 북문이 있고, 남문은 대라리에 있다. 성 둘레가 1600m, 높이는 4m 였으나 거의 허물어지고 지금은 길이 100m 높이 3m의 성지만 남아있다. 성 안에는 동헌, 차성관, 직면루, 조서루, 식파루, 장관청영방, 군기고 등이 있었고, 성문 밖에는 망풍정, 공진루, 관덕정과 빙고(얼음창고)가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없어졌다.
 
◈ 죽성(竹城, 일명 신라토성)
기장읍 죽성리 웃마을 뒤편 언덕을 웅산이라 하는데 이곳에 옛 성터가 있다. 이 웅산의 서쪽이 일직선으로 깎여 있는 것으로 보아 토성의 흔적이 완연하다. 신라 때 해안으로 침공해 오는 왜적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토성으로 추정된다. 근처에 대나무가 많아서 죽성(竹城)이라고 부르는 모양이다. 이 산 기슭에 두모포진터(豆毛浦鎭址)가 있고 남쪽에 왜성이 있다.
 
◈ 기장죽성리왜성(機張竹城里倭城, 일명 豆毛浦倭城)
기장읍 죽성리 산 52-1번지 일대의 남산기슭의 구릉지에 있다. 이 성은 임진란이 일어난 다음해인 1593년(선조 26) 이 지역을 점령하고 있던 왜장 구로다 나가마사(黑田長政)가 쌓은 성으로서 성벽은 3단, 성의 넓이는 38,929㎡, 성벽의 길이는 1km, 성벽의 높이는 약 4m인 전형적인 왜성으로 현재의 보존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이 성은 울산 서생포왜성과 그 양식이 비슷하다. 부산시 지정 기념물 제48호이다. 기장에는 이곳 이외에 임랑리 뒷산에 임랑포왜성(林浪浦倭城)이 하나 더 있다.
 
◈ 불광산 장안사(佛光山 長安寺)
불광산 계곡은 옛부터 단풍의 명소로서 사시사철 계곡의 경기가 좋아 금수동(錦水洞)이라 불렀으며 이곳의 용추(龍湫)는 수량이 많을 때는 홍천(虹泉)이 되어 산시홍류(山市虹流)의 경승이라고 극찬하였다.
 
장안사는 불광산에 있다.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쌍계사(雙溪寺)라 하다가 애장왕(800∼809 재위)이 다녀간 후 장안사라 개칭하였다.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란 때 소실된 것을 인조 16년(1638) 태의선사가 중건하였으며, 효종 5년(1654)에 대웅전을 중건하였다. 대웅전은 부산시 지정 기념물 제37호로 지정되어 있다.
 
◈ 앵림산 안적사(鶯林山 安寂寺)
안적사는 기장읍 내리에 있는 앵림산에 있다. 옛부터 기장현의 4대명찰로 기록되어 있다. 신라의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해방 이후까지 거의 소실되고 폐사가 되다시피 한 것을 다시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 적멸보탑, 삼성각 등이 있고, 최근에 건립한 불보적멸탑실상수신문(佛寶寂滅塔實相修信門)이 있다. 앵림산에는 울창한 송림이 있고 잡목숲 속에서는 앵무새가 많이 서식했다고 한다.
 
◈ 대원군 척화비(大院君 斥和碑)
기장읍 대변리 대변수협지소 뒷편 노송 밑에 척화비가 있다. 당초에는 대변항 방파제 안쪽에 세웠던 것을 일제시 축항하면서 바다 속에 버려져 있었다. 해방 후 마을 청년들이 인양하여 현재의 위치에 세웠다. 척화비는 길이 1m 489cm, 두께 28cm의 화강석으로 되어있다. 양산과 동래에도 같은 척화비가 있다.
 
◈ 철마선돌(鐵馬立石)
철마면 송정리 입석마을 아래 넓은 밭 가운데 선돌이 있다. 옛날에는 선돌주변에 아름드리 소나무가 우거져 있었다는데 지금은 밭으로 변하였다. 선돌은 높이 3.98m, 폭 65cm, 평석 직경 2.63m의 자연석으로 되어 있다. 세워진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입석마을의 풍수지리가 배와 같아서 이곳에 선여사(船餘寺)를 짓고 그 배의 돛대 격인 선돌을 세웠다고 전해진다.
 
◈ 공덕비군(功德碑群)
기장읍 동부리 기장초등학교 앞에 50여 개의 옛 선정비가 모아져 있다. 여러곳에 흩어져 유실되거나 관리할 수가 없게 되므로 이것들을 한데 모아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 한다. 기장 현감, 어사, 관찰사 등의 공덕비들이다.
 
◈ 홍연폭포(虹淵瀑布)
철마면 웅천리 웅천상류에 있는 무지개못 폭포이다. 거문산과 옥녀봉 사이로 흐르는 계곡에 홍연이 있고, 그 위에 걸려있는 폭포가 기장팔경의 하나인 홍연폭포이다. 상단폭포는 5m, 중단폭포는 20m이며, 중단폭포에서 낙하한 물이 수직에 가까운 반석위를 100m 정도 급전직하하여 홍류동 소류지에 모인다. 물보다는 맑은 햇살을 받아 찬란한 무지개가 된다 하여 무지개 폭포라고 한다.
 
◈ 소학대(巢鶴臺)
정관면 매학리에 있는 백운산에 거대한 매바위가 있는데 이를 소학대라 한다. 백 척이 넘는 층암이 깎아 세운 듯이 솟아있고, 정상은 평평한 터를 이루고 있는데 높이 35m, 폭 70m, 길이 250m가 된다. 옛날에 두루미가 넓은 대에 둥지를 틀고 살았다 하여 매바위에서 소학대로 이름이 바뀌었다는 설이 있다.
 
◈ 기장향교(機張鄕校)
기장읍성 내에 있던 향교를 광해군 9년(1617) 현북 3리로 옮겼다가 다시 영조 34년(1758)에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성전을 비롯하여 신삼문, 명륜당, 동재, 서재, 풍화루, 세심문 등 7동의 건물이 있으며, 경사지에 배치함으로써 외삼문 안에는 명륜당을 두고, 내남문 안에는 대성전을 배치한 정형적인 전학후묘(前學后廟)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1.2. 관광코스

 
◈ 1코스
안적사 → 용궁사 → 수산과학관 → 공수(생선회, 곰장어) → 대변항(생선회, 멸치회) → 장안사 식당촌(매운탕, 백숙) → 장안사 → 척판암 → 불광산정상등분
 
◈ 2코스
장안사 → 고리원전역사관 → 임랑해수욕장(생선회) → 옥정사 → 달음산등반
 
◈ 3코스
일광해수욕장 → 문오성생선회집촌 → 만화리테마임도 → 철마한우촌 → 정관병산유원지 → 골프관광 → 전통토속음식
 
◈ 4코스
철마홍연폭포 → 철마곰내재 → 달음산등반정상 → 옥정사 → 광산(파전, 통닭) → 문오성회촌
 
◈ 5코스(효도관광)
해동용궁사 → 수산과학관 → 시랑대 → 황토찜질방 → 대변횟집
 
◈ 문화유적답사코스(차량이용)
기장읍성 → 공덕비군 → 기장향교 → 시랑대 → 오랑대 → 황학대 → 죽성리왜성 → 신라토성 → 남산봉수대 → 이길봉수대 → 고리원전
 
 
 

1.3. 여가시설

 
◈ 임랑(林浪)해수욕장
백설같은 백사장이 1㎞ 넘게 깔려있다. 뱃놀이를 즐겼던 마을 사람들은 이곳의 월출경(月出景)을 기장 팔경의 하나로 꼽고 있다. 호수처럼 맑고 잔잔한 바다에 월출경이 좋아서 월호(月湖)라고도 한다.
 
◈ 일광(日光)해수욕장
금빛 모래가 2㎞에 걸쳐 깔려 있으며, 이 모래 위에 오르내리는 갈매기들의 군무가 기장팔경의 제3경이다. 해수욕장 옆에는 강송정(江松亭)이 있고, 근처 이천리는 오영수의 소설「갯마을」의 무대가 되었던 곳이다.
 
◈ 만화리(萬化里) 테마 임도(林道)
기장읍 서부리 두화마을에서 철마면 웅천리 사이의 10㎞가 임도이다. 약수터, 화원, 단풍나무, 벚꽃길, 정자연못, 대나무 숲, 적송숲, 해송숲이 이어진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보
• 기장군의 예술문화자원
• 기장군의 관광, 여가문화자원
• 기장군의 문화시설자원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