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동구 인천광역시 동구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일자별)
인천광역시 동구 정보
◈ 동구의 어제와 오늘
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동구는 고종 19년(1882) 한·미 최초의 조약이 동구 화도진(현 화수 1동) 군영에서 미합중국 슈벨트 제독과 조선의 신헌 대사 사이에 체결되어, 다음해 개항을 하게 됨으로써 근대화의 시작을 알린 역사의 현장이다. 1968년에는 전 동부·북부 출장소를 합병하여 산하에 11개 동을 두어 동구를 설치하였으며, 당시 송림동 109번지에 도살장으로 사용하던 건물을 개조, 동구 청사로 이용하였다. 또 1988년 자치구로 개칭되었고, 1995년 인천광역시 동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동구는 20-30년전만해도 인구가 밀집되어, 인천의 중심도시였으나, 점차 도시화 물결에 밀려 상권도 잃고 쇠퇴하는 모습이다. 동구 특유의 상권,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살기좋은 주변환경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동구 연표>
시대 및
연대
주 요 사 항
 
고대
비류가 미추홀에 도읍을 정함
매서홀현(고구려 남부)
 
757
소성현으로 개칭(신라 경덕왕)
 
1018
소성현에 수주에 소속됨(현종 9년)
 
고려 숙종
경원군으로 승격
 
고려 인종
인주로 승격
 
1390
경원부로 승격(고려 공양왕)
 
1413
인천군으로 개편(조선 태종13년)
 
1460
인천도호부로 승격(조선 세조)
 
1882
5월 22일 한 · 미 최초의 조약이 동구 화도진군영에서 체결
 
1883
인천항 개항(고종20년)
 
 
 
 
 
 
 
 
2.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한미수호 통상조약 체결지 진은 지방의 군사를 주둔시키는 곳으로 주진(主鎭), 거진(巨鎭), 제진(諸鎭)의 3등급이 있었으며, 화도진은 이 중에서 만호(萬戶), 도위(都尉)가 주재하는 제진에 속한다.
화도진 설치는 인천을 개항 후보지로 요구할 것에 대비하여 정부가 1878년 8월 27일 어영대장 신정희와 강화유수 이경하에게 명하여 인천과 부평 연안에 진과 포대를 축조토록하여 1879년 7월 1일 완공하고 인천의 진을 화도진, 부평의 진을 연희진이라 명명하였다.
이후 화도진은 갑오개혁으로 군제가 개혁되면서 모든 군대가 군부에 소속되면서 철폐되었고, 진의 건물도 지방 군사조직인 진위연대의 예하부대가 월미도에 주둔하게 되면서 일부 헐려 병영건축에 사용되었고, 잔여 건물은 해방전 해안 매립때 철거되었다.
그러나 화도진은 1882년 5월 22일 한미수호 통상조약의 체결과 동년 6월의 한영·한독 수호통상조약의 체결지라는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
 
 
 
화도진지
◈고종이 내린 상을 받은 수령들 조선조 고종 3년(1866) 병인양요 사건, 고종 8년(1871) 신미양요 사건 때, 국방의 요충지로서 이곳에 방어진을 두고 포대를 설치하여 외국 함선의 침입을 대비하였다.
인천도호부사 구완식, 부평도호부사 이정하, 영종첨사 이병숙, 영종전첨사 이유증 등은 이곳 포대에서 제대로 훈련을 받지 않은 신병들을 용맹스럽게 훈련시켜 외세 함선을 물리치는데 공을 세웠다. 이 사실이 정부에 알려져 고종 10년(1873) 9월 27일 고종은 그들을 불러 포상하였다. 수령에게는 녹피(鹿皮) 한장씩, 부대마다 상금 3천냥씩 하탕금(下帑金)을 내렸다 한다.
 
내고장의 역사적 인물
◈도학자 정숙공 이칙(李則) 동구 화평동 태생으로 1456년에 과거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고, 대과중시에서 장원한 수재이다. 그는 정직하고 결백하여 공정하게 정사를 처리했고 대사성, 충청도 관찰사로 선정을 베풀어 조정에서 정숙이란 시호를 내렸다.
 
◈부자 형제의 충신효자 이응생과 아우 이응시, 그리고 이응생의 아들 이승기 등 세사람은 동구 송림동 한집에 살면서 효자였다. 이응생은 일찍이 과거에 급제하여 후에 현감, 경연참찬관을 지냈다. 이응생의 아버지가 승정원 좌승지로 있을 때, 정무관계로 잘못을 저질러 책임을 통감하고, 이응생이 왕께 석고대죄를 하니, 아들인 이승기도 궁밖에서 침식을 잃고, 수 일간 아버지와 같이 석고대죄하고 쓰러져 운명했다 한다. 나라에서는 그 사실을 알고 형제 세 사람에게 충신이자 효자로 정려를 내렸다.
 
◈일본통신사절 부사 이한기 동구 송림동 출신으로 철종 6년(1855) 일본에 파견된 통신부사로, 일본에서 성실하게 임무를 마치고 그 해 8월 1일 배를 타고 환국하던 중 현해탄에서 태풍을 만나 3일간 표류하여 구사일생으로 울산 방어진에 도착했다. 그때 동행하였던 김석준은 그 조난 상황을 그림으로 그려, 통신부사 이한기의 아들 진사 이규환에 전해 보전하였다.
 
◈김윤구 구한말, 철도국장을 지냄.
 
◈김주현 고종, 화도진 2대 별장.
 
◈유치흥 고종, 화도진 관리로 참판, 화도진학교 경영.
 
◈이출 근세, 병조참판을 지냄.
 
◈이실 근세, 한서판관을 지냄.
 
◈이순 미상, 검지중구부사를 지냄.
 
◈이교 미상, 중구부사를 지냄.
 
◈이성 미상, 현감을 지냄.
 
◈이중 미상, 사림으로 유명한 학자.
 
◈이태훈 미상, 사업가이고, 부의원을 지냄.
 
◈하상훈 근세, 사회사업가이며, 해방후 입법의원.
 
◈이옥 미상, 교령부주부, 중구부사를 지냄.
 
◈이숙 미상, 사헌부감찰, 대교관, 효자이고 학자.
 
◈이명석 미상, 호조판서.
 
◈이형석 근세, 학자.
 
◈이형 미상, 승정원좌승지를 지냄.
 
◈이현철 미상, 수군판관을 지냄.
 
◈이승기 미상, 좌승지, 병마도위를 지냄, 효자.
 
◈이승길 근세, 애국지사, 교육자.
 
◈장면 민의원 입법의원, 국무총리.
 
내 고장의 문화유산
■ 중요무형문화재
◈강령탈춤 제34호, 화수 2동 37 6/7, 보유자 김정순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 제82호-나, 화수 2동 66-25 삼두 Apt. 3/203, 보유자 최음전
 
◈황해도 평산 소놀음굿 제90호, 화수 1동 141, 보유자 이선비
 
■ 유형문화재(시지정)
◈인천창영초등학교 (구)교사 제16호, 동구 창영동 37-1.
 
◈인천기독교 사회복지관 제18호, 동구 창영동 42-1.
 
■ 기념물(시지정)
◈화도진지 제2호, 동구 화수동 138
 
■ 선구지 및 표지석 ◈(현)창영초등학교 인천 공립보통학교지, 동구 창영동 37-1
◈(현)송현배수지 인천 상수도 급수 개통지, 동구 송현 3동 23
 
 
 
 
 
 
3. 생활문화자원
 
전통생활민속
동구는 바다와 인접되어 어업을 생업으로 하는 바닷가 마을이었다. 그러므로 배를 부리는 집에서는 매년 풍어제로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을 지금도 하고있다.(매년 5, 6월)
 
 
 
서해안 배연신굿
 
 
 
대동굿
 
배연신굿이란 선주들이 자기네 배와 선원의 안전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무녀의 관장하에 배 위에서 하는 굿을 말하며, 대동굿은 마을사람들이 해상에서의 안전과 풍어, 협동과 화목을 기원하기 위하여 공동으로 비용을 마련하여 행하던 마을 공동의 제사를 말한다.
굿의 진행과정은 배연신굿의 경우, 신을 청하는 굿으로부터 시작하여, 강변굿까지 12거리로 구성되어 있고, 대동굿은 신을 청하는 굿으로부터 해상에서 생명을 잃은 넋을 달래고, 마음의 액운을 배에 실어 보내는 강변용신굿까지 24거리로 구성되어있다. 동구에서는 아직까지도 전통생활민속으로 오랫동안 전수되고 있다.
 
구전설화
◈안개로 파내지 못한 이칙(李則) 묘 이칙은 명인이니 시호는 정숙(貞肅)이요, 자는 숙도(叔度)이다. 그는 동구 화평동에서 살다가 죽으니 묘는 화도 뒷산 매화혈 명당에 썼다. 이칙의 후손 이괄은 역모로 일족이 멸문을 당하여, 그의 선조 이칙의 산소까지 파내라는 영이 내렸다. 그러나 갑자기 안개가 끼어 산소를 찾지 못하고 신하들은 돌아갔다 한다. 그후 2백년간 잘 보전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괭이부리의 호랑이굴 동구 만석동에 ‘고양이부리’라는 곳이 있다. 이곳은 옛날에는 해변가의 산림이 울창한 외진곳이었다고 한다. 어느날 부녀자 5-6명이 나물을 캐는데 그 곳 한 굴에 호랑이 새끼 세 마리가 있었다 한다. 호랑이 새끼가 귀여워 부녀자들이 지켜보고 있을 때, 어미 호랑이가 나타나 ‘어흥’하고 소리질러 혼비백산으로 나물바구니를 버린 채 집으로 달려왔다. 그러자 다음날 아침에 보니 그들의 나물바구니가 마을 앞에 놓여 있었다. 그래서 호랑이도 제 새끼를 해치지 않으니 고마운 표시로 나물바구니를 돌려주었다고 믿고 있다.
 
◈인천에 세운 관우묘(關羽廟) 옛날 중국의 삼국전란시대 촉한의 명장 관우는 구국의 사표(師表)로 추앙의 대상이 되었다. 동구 화도진에 고종 16년(1879) 관우묘가 세워졌다. 매년 춘추 두 번씩 제사를 지냈다. 우리나라에서는 관우를 높여 관성제군이라고 존칭하고 신성시해 왔다. 그 후 일인들이 화도진을 철폐할 때 헐어버렸다 한다.
 
주민의 생활권역
◈배다리 공예상가 전통의 멋을 살린 수공예품들을 한곳에서 볼 수 있고, 구입할 수 있는 밀집된 곳이다. 염색공예, 완초공예, 칠보공예, 목공예, 부채 등 15곳이 있다.
 
◈고서적거리 동구 송현동 배다리 주변에 헌책방이 밀집된 골목이 있다. 약 4만여권의 책이 있다.
 
◈중앙그릇가게 동구 송현동 배다리주변에 21개의 점포가 모여있다
 
◈한복집 동구 송현동 배다리 주변에 오랜 전통한복거리에 53개 점포가 있다.
 
◈중고자동차 매매단지 동구 송림동 297-21에 위치, 1990년에 조성, 27개 점포 운영. (버스노선 이용 : 동인천, 도원역 하차시 배다리 방향의 9, 27, 28번 이용)
 
지역의 별미음식
◈화평동 냉면거리 동구 화평동에 화평냉면집이 유명하다. 양이 많고 일명 ‘세수대야냉면’, 깨와 참기름, 열무김치 맛이 고소하다.
 
◈순대골목 동구 송현동에 위치한 중앙시장, 송현시장 옆에 순대국밥집 골목이다. 30년이 넘는 해주식당을 비롯해 순대국밥, 곱창, 돼지머리고기 등 저렴하며, 순대 한접시면 배가 부르다.
 
 
 
 
 
 
4. 예술문화자원
 
지역문화예술 행사
◈동구 화도진 축제 1878년(고종 15년)에 당시 어영대장 신정희로 하여금 서해안 방어를 위해 축조케한 화도진에서 축제명을 선택하여, 1990년부터 매년 음력 정월대보름에 주민의 문화적 화합을 위해, 윷놀이, 경사굿, 지신밟기, 민요경창대회, 민속경기, 국악공연 등을 펼친다.
 
◈동구 국제마임축제 세계인이 공동으로 느낄 수 있는 마임(무언극)을 통해 지역문화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매년 7월경 열린다.
 
 
 
동구 화도진축제
지역언론기관
◈동부전자신문 동구 송림동 294-1 ☎ (032)589-0319
 
지역연고 예술인
◈김상철 전통민화작가, 동구출신.
 
◈임순희 한지공예가, 동구 배다리공예.
 
◈성하석 전통도예가, 동구출신.
 
◈김근배 목공예가, 동구 배다리공예마당.
 
◈최무영 시인, 동구 만석동.
 
◈최병구 시인, 동구 금곡동.
 
◈오광철 수필가, 동구 화평동 출생.
 
◈홍명희 시인, 동구 송림동 211.
 
◈도상구 시조(남창), 동구 화평동.
 
◈최불암 탈렌트, 동구 출신.
 
 
 
 
 
 
5. 관광, 여가문화자원
 
관광자원
◈작약도 동구 만석동 동북서쪽, 섬둘레 1.5㎞, 소나무가 많고 아름다운 섬, 작약도에서 5.0㎞, 오전 10시부터 20분 간격 배편 이용, 왕복 7천 원.
 
◈만석동 해양 테마파크 동구 만석동 공유매립지, 면적 : 596,600㎡ (18만 평), 종합레포츠랜드, 스포츠센터, 골프장, 종합운동장 조성.(2002년 완공)
 
◈화도진지 동구 화수동 138, 한미수호조약체결지, 공원화.
 
 
 
작약도
관광코스
◈동구청 → 화도진지 → 문화의 거리 → 작약도 → 배다리 공예상가
 
관광쇼핑
◈배다리공예 동구 금창동(란도예) ☎ (032)772-2686
 
◈고서적 거리 동구 송현동
 
◈전통한복집 골목 동구 송현동(색동주단) ☎ (032)773-1481
 
◈화평냉면 동구 화평동 288-3 ☎ (032)772-6202
 
관광안내소
◈동구청 ☎ (032)760-9220
 
여가시설
◈작약도 동구 만석동 연안부두에서 20분 간격 배편이용.
 
◈만석동해양테마파크 동구 만석동 스포츠센터, 골프장.(신설중)
 
 
 
 
 
 
6. 문화시설자원
 
미술관
◈해반갤러리 동구 송림5동 60-69 ☎ (032)761-0555
 
도서관
◈화도진 도서관 동구 화수1동 140-80 ☎ (032) 763-8134 독서실운영, 어린이 백일장 개최, 시각장애인 시설운영, 향토사료코너 운영, 독서의 달 행사, 알뜰 도서교환 행사 등.
 
 
 
화도진 도서관
공연장
◈화도진 공원 야외공연장 동구 화수동 138, 전통혼례, 1000명 수용, 농악경연 등.
 
영화관
◈미립극장 동구 송현동 92, 416석 ☎ (032)764-7761
 
◈시네팝극장 동구 송현동 100, 496석 ☎ (032) 764-5611
 
동구 소개
동구는 개항기에 신문명의 터전이었다. 인천 최초의 신식교육 발상지(영화학교)이며, 서민 인구의 밀집지역으로 지금은 주거환경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지역 경제성장을 견인할 대형 유통산업단지 조성, 해양테마파크 건설 등 살기 좋은 동구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구민화합과 전통문화계승을 위해 화도진 축제를 개최하여 구민에게 부응하는 구정을 펼쳐 나가고 있다.
 
◈인천광역시 동구청 동구 송림동 109번지 ☎ (032)761-0151∼63
인천광역시 동구 정보
• 동구의 역사문화자원
• 동구의 어제와 오늘
(2005.06.03. 01:02)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