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조선 태종 13년(1413)에 인천군으로 개칭되었으며 군의 소재지는 남구 학익동에 위치하였다. 1460년 인천도호부로 승격되었으며 이후 큰 변동없이 내려왔다. 일제시대에는 인천부에 속하여 대화정(현 숭의동)·주안정(현 주안동) 등이 중심지였으며, 1968년 남구가 신설되었고, 1988년 남동출장소가 남동구로 분구하여 나갔다. 남구는 인천광역시의 서남부에 위치하며, 면적은 24.20㎢, 24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형은 잔구성산지인 문학산과 청량산이 중앙부에 솟아 있고, 동부지역에는 주안동에서 발원한 승기천이 남류하여 황해로 흘러가며 하천 연안에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그러나 서부에는 간석지가 발달하여 한때는 염전으로 이용되었으나 현재는 공업단지로 변모하고 있다. 문학산 부근에는 선사시대 유물인 석부·석철 등 각종 토기가 출토되었으며, 금석병용기의 대표적 유물인 고인돌 등이 남구 관내에 남아 있는 사실로 미루어 5~6천년 전부터 사람들이 정착하여 생활하였던 지역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남구는 여러번의 변천과정을 거쳐 구세의 확장으로 인천의 중심구로서 서해안 시대의 전개와 함께 자립도가 높으며, 활기찬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문학동 전통마을 조성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제규격의 문학경기장이 건설되어 2002년 월드컵 축구대회장으로 활용하게 된다.
<남구 연표> 시대 및 연대 주 요 사 항
1940 인천시 남동출장소
1943 인천시 문학출장소
1947 인천시 주안지청
1948 인천시 남동 · 문학 주안 출장소
1955 인천시 조례 제 128호에 의거 문학 · 주안출장소 폐지, 시 직할동으로
1956 인천시 조례 제 128호에 의거 문학 · 주안출장소 부활
1968 인천시 남구 개청(문학 · 남부 · 주안 · 남동 등 4개 출장소 통합)
1970 28개동(4개 동 분동)
1979 29개동(1개 동 분동)
1979 32개동(3개 동 분동)
1981 인천직할시 승격
1982 37개동(5개 동 분동)
1983 38개동(1개 동 분동)
1985 40개동(2개 동 분동)
1988 분구(남구 27개 동, 남동구 13개 동)
1988 자치구 승격
1991 구의회 개원
1991 구민의 날 지정
1994 29개동(2개 동 분동)
1995 분구(남구 23개 동, 연수구 6개 동)
1995 초대 민선 구청장 취임, 제 2대 구의회 출범
1996 24개동(1개 동 분동)
2.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원나라 강압을 물리친 이장용(李藏用) 이장용은 인천 이씨(李氏)로 고려 고종때 문과에 급제, 서경사록, 추밀원부사, 정당문학, 참지정사를 지냈고 경원개국백에 봉해졌다. 당시 몽고는 고려와 화친을 맺고도 압력을 가했다. 몽고는 일본을 점거하기 위해 고려 정규군 4만명을 동원해 원나라를 도우라 했으나, 이장용은 항변으로 거절했고, 원나라 황제는 다시 쌀 3∼4천석과 배 1천척을 지어 바치라고 명령했지만, 이장용은 나무도 없고, 배짓는 기술자도 몽고 전란 때 다 죽고 없다고 거절했다 한다. 결국 원나라와 연합하여 일본을 정벌했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세 딸이 왕비가 된 이자겸 이자겸은 인천 이씨 의 후예로, 음보로 합문지후가 되고, 예종 3년(1108)에 둘째 딸이 예종비가 되어, 일약 개부의삼사수사도백, 중서시랑문하평장사, 소성군개국배에 봉해졌다. 예종 12년, 왕이 죽자 연소한 태자가 왕위에 올랐다. 물론 이자겸이 세력을 잡고, 마음에도 없는 자신의 두 딸을 비로 보냈다. 그 후 왕권을 노렸으나, 척준경, 김향 등의 거사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유배되어 죽었다.
◈여진족을 격퇴한 인천군병 조선 성종 22년(1491), 여진족이 침입하여 노략해가니, 허종을 북정원수로 삼고, 인천군인들도 참전하여 2만 4천명을 소탕했다는 기록이 있다.
◈인천지방 태풍피해 광해군 11년(1619) 기미년 태풍은 연해에 별안간 돌풍이 닥쳐 나무가 뿌리채 뽑혔고, 조수가 범람해 방축이 무너져 배 311척이 파손되고 집이 날아가 주민들의 아우성은 하늘을 찔렀다. 여삼일간 계속되어 모든 것이 폐허가 되었다 한다.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대각국사 고려, 고려왕자 어머니인 왕후로 인천이 친정이다.
◈이해영 조선, 수군절도사를 지냈다.
◈이광재 조선, 강계부사를 지냈다.
◈이상재 조선, 병자호란때 충신이다.
◈최세준 조선, 임진왜란때 장군, 학림군이고 공신이다.
◈정시온 근세, 승정원 좌승지를 지냈다.
◈정시성 근세, 사조판서를 지냈다.
◈정종보 근세, 대사헌에 중직.
◈이간향 사조판서를 지냈다.·
◈하상훈 근세, 사업가이며 국회참의원을 지냈다.
◈이윤생 병자호란, 의병장으로 호군과 싸워 전사한 충신.
◈이자연 고려, 문종때 세력장악, 경원군개국공이 되고, 딸 셋은 왕비가 됨.
◈김은호 1892~1979, 명화가로 어용화가이다.
내 고장의 문화유산 ■지정문화재 현황(광역시 지정) ◈인천도호부청사 유형문화재 제1호, 문학동 262.
◈인천향교 유형문화재 제11호, 문학동 233.
◈문학산성 기념물 제1호, 문학동 산 27-1.
◈이윤생·강씨정려문 기념물 제4호, 용현 3동 842.
인천도호부 ■비지정문화재 현황 ◈낙섬 용현 5동 627.
◈학산서원 학익1동 83.
◈주안지석묘, 문학지석묘 숭의 4동 산 10-3.
3. 생활문화자원
전통생활민속 ◈도당굿 인천관내에서 가장 알려진 민속 신앙으로 근래까지 연례적으로 치루어졌다. 도시화 물결에 따라 현재는 아파트촌화되어 그 자취가 사라져 간다. 도당굿은 기당굿, 고장굿, 산치성, 당치성, 대동치성, 대동굿 등으로 불려졌다. 도당굿은 오랜 토속적인 무속으로 전수되어 왔고, 각종 종교의 영향으로 변천되고 있다. 이 도당굿은 조선조 중엽에 이르러 정립된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도당굿은 3일간 주야로 행했고, 도당신을 모신 부근을 성역화 해왔다. (동막 도당굿은 1990년도에 마지막으로 녹화 보존되었다)
구전설화 ◈시(詩)를 잘 지은 이의(李 ) 고려때 공신 이의는 벼슬이 재상에 까지 올랐다. 그가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재직시 문종은 문학을 좋아했고, 어제시(御製詩)를 지어 널리 알리고, 왕은 신하들이 바치는 시를 읽고 등급을 매겼는데 그 중 이의의 시가 가장 뛰어나 상으로 말 한필을 하사하였다고 한다.
◈청렴결백한 신하 이박(李泊) 이박은 인천 이씨로 벼슬할 때 결백한 청백리로 모든 사람으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그는 개경에 염증이 나서 충청도 보은, 기산에 은둔하여 백이, 숙제와 같이 세상을 등지고 산채만 먹고 살다가 죽었다. 그가 죽은 후 정의로운 인격에 시호를 복의(伏義)라 내렸다.
◈향기와 약효가 있는 석중천 세종 26년(1444) 남구 주안동의 논 가운데서 샘물이 솟아올랐는데, 약물이라 향기도 나고, 눈을 씻으면 안질이 곧 나았고, 종기에도 샘물을 바르면 곧 아물었다 한다. 이 소문이 전국에 퍼져 많은 사람이 찾아와 먹고, 바르고 했다. 경기도 관찰사 허후가 왕에게 이 사실을 보고했고, 나라에서는 내첨시윤 김완지로 하여금 샘물을 현지에 와서 조사했다 전해진다.
◈문학산 김민선 사당 임진왜란 때 끝까지 남아 남구 문학산을 지키다 순직한 인천도호부사 김민선의 혼령을 봉안한 사당을 안관당이라 했다. 매년 인천시는 시민의 날 행사로 안관당제를 지내며 그의 뜻을 오래토록 기리고 있다.
◈바다와 연결된 문학산 우물 남구에 있는 문학산성 동문으로부터 서북쪽 약 150m나 되는 꼭대기에 우물이 있었다 하니 참으로 신기한 일이다. 예부터 우물의 수심이 깊어 홍두깨를 띄우면 멀리 팔미도 앞바다에서 떠올랐다는 구전이 있다.
◈왕자 왕전(王 )의 유배지 왕전은 고려 13대 선종과 원신궁주 인천이씨 사이에 출생한 왕자이다. 선종이 나이 46세에 별세하여 세자 왕욱이 11세의 나이로 등극하니 그가 고려 14대 헌종이다. 헌종은 몸이 허약하여 병이 있어 사숙태후가 섭정하여 왕권이 확립되지 못하고 정치가 어수선했다. 이때 이자의는 왕권을 바로 잡기위해 헌종에 반기를 들었다가 헌종의 숙부 계림공에게 발각돼 역모죄로 일당이 사형되고 또는 귀양 보냈다. 이때 왕전도 인천으로 유배살이를 했던 곳이 지금의 남구 문학동 기슭이라고 전해오고 있다.
주민의 종교생활 ◈남구는 기독교 308개소로 신도수는 244,933명이며 그 중 숭의 감리교는 인천 시내에서 가장 신도수가 많은 교회이다. 천주교는 9개소 신도수는 41,650명, 불교는 53개소로 32,659명, 원불교는 1개소로 250명, 천도교 1개소 12명이다.
주민의 생활권역 ◈남구의 생활권역에 특이할만한 것은 없으나, 주안동에 제일시장이 위치하여 구민 생활권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문학동에 전통민속마을을 조성 중에 있고, 문학경기장 건설도 2002년 월드컵 축구대회에 대비하여 건설 중에 있다. 남구는 교통의 요충지로 전철 1호선 주안역과 제물포역이 있다. 대학 2개교, 전문대 2개교, 고교 16개교, 중학 11개교, 초등·유치원 등 63개교 등 학생수는 129,400여명에 달한다. 학익동에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있으며, 문학산을 중심으로 많은 약수터가 산재되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지역의 별미음식 ◈청호식당 한정식, 도가니, 남구 주안 1동 241-1☎ (032)866-7035
◈대산 물텀벙 물텀벙, 남구 용현 2동 509-145 ☎ (032)882-1123
◈금산식당 벤뎅이, 병어, 남구 학익 2동 69-3 ☎ (032)864-3003
4. 예술문화자원
지역문화예술행사 ◈남구 구민의 날 매년 5월에 열리며, 구민 한마당 잔치가 열린다. 국악, 노래자랑, 전시회 등이 열린다.
◈정월 대보름맞이 민속놀이 행사를 통하여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주민화합을 다지기 위해 1992년부터 정월대보름에 개최하고 있다. 농악, 그네, 씨름 등.
◈수봉산 벚꽃축제 1998년 부터 열린 수봉산 벚꽃축제는 5월 중순경 벚꽃 만개시기를 택해 국악공연 등 다채로운 행사를 가진다.
남구 구민의 날 행사
수봉산 벚꽃 축제 지역문화예술단체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인천광역시지회 인천광역시 남구 숭의 4동 7-4(수봉공원 문화회관내) ☎ (032)873-5174 ·한국국악협회 인천광역시지회 ☎ (032)875-4644 ·한국문인협회 인천광역시지회 ☎ (032)863-1797 ·한국무용협회 인천광역시지회 ☎ (032)868-7198 ·한국미술협회 인천광역시지회 ☎ (032)867-2196 ·한국사진작가협회 인천광역시지회 ☎ (032)867-4887 ·한국연극협회 인천광역시지회 ☎ (032)862-9683 ·한국연예협회 인천광역시지회 ☎ (032)873-8164 ·한국음악협회 인천광역시지회 ☎ (032)868-7813 ·한국건축협회 인천광역시지회 ☎ (032)873-4517
◈사단법인 한국민속예술인총연합회 인천지회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 2-1 금보빌딩 5층 ☎ (032)867-0449
지역언론기관 ◈(주)경인방송 남구 학익 587-46 ☎ (032)838-7903
◈기호신문(일간지) 남구 주안 4동 463 ☎ (032) 865-4600
◈인천일보(일간지) 남구 주안동 4-463 ☎ (032) 425-0304
◈인천시정신문(주간지) 남구 숭의동 58-3 ☎ (032)888-5819
◈인천알림방 남구 숭의동 31-22 ☎ (032)864-0064
지역문화예술 시상제도 ◈한국예술인총연합회 인천지회 예술상 매년 10월 각 분야별 예술상 제도가 있다. 문학, 무용, 미술, 음악, 사진, 연극, 연예부문으로 그해 우수한 활동을 한 문화예술인에게 예술상을 수여한다. ☎ (032) 873-5174
5. 관광, 여가문화자원
관광자원 ◈문학산 고성 미추홀은 서기전 18년 비류왕이 미추홀국을 세울 때 쌓은 고성이다. 현재 군 주둔지로 절차를 밟아 입산할 수 있다.
◈인천도호부청사 남구 관교동에 위치한 인천도호부청사는 조선 세조때(1460) 건립한 것으로 객사, 동헌, 내동헌, 삼문, 사령청, 향천, 군관청, 훈무당, 옥사, 어용고, 군기청 등이 있었으나, 지금은 일부만 남아있다.
◈인천향교 남구 관교동에 위치하며, 세조 연간(1455) 중수되었다. 대성전과 명륜당, 그리고 동제, 서제, 동무, 서무 등이 있다. 매년 향교에서는 봄, 가을 두번씩 제사를 지낸다. ☎ (032)882-7041
문학산 관광시설 ◈문학동 전통민속마을 남구 문학 토지구획정리 지구
◈송암미술관 남구 학익동 587-146 ☎ (032) 833-2602
◈경인방송 남구 학익동 587-46 ☎ (032)838-7903
◈수봉관광호텔 남구 도화동 618 ☎ (032)868-6611
◈서해관광호텔 남구 용현동 536(032)885-9981
◈신세계백화점 남구 관교동 15 ☎ (032)430-1234
관광코스 ◈남구청 → (20분) → 인천도호부청사 → (10분) → 인천향교 → (10분) → 문학동 전통마을(신설 중)
관광쇼핑 ◈신세계백화점 남구 관교동 15, 인천 제일의 관광쇼핑 ☎ (032)430-1234
◈용현물텀벙 남구에서 가장 유명한 음식점을 꼽으면 용현동 500번지에 밀집된 물텀벙집이다. 입과 배가 큰 아구는 우리나라 해안에서 많이 잡히는 생선으로 지방마다 악귀, 아꾸, 물곰, 물꽁 등의 다양한 이름이 있다. 물텀벙은 아구를 가리키는 인천 사투리이다. 그전 인천에서 고기가 많이 잡히면 그물에 쓸모없는 고기로 물에 ‘텀벙’ 던진다고해서 물텀벙이란 말이 생겼다. 지금은 별미로 바다의 갈비라고도 하고, 콩나물, 아구, 냉이, 버섯, 고사리, 미더덕, 조갯살 등으로 양념한 물텀벙의 맛은 천하일미이다. ☎ (032)882-9240
관광안내소 ◈남구 관광안내소 ☎ (032)880-4224, 구내 134
여가시설 ◈문학경기장 남구 문학동 일원, 종합경기장 ☎ (032)440-6350
◈동양화학 유수지 남구 학익동 요트, 낚시터
◈수봉약수터 주안 2동 산 22-2
◈연경산 약수터 학익 1동 산 66-2
◈문학약수터 문학동 산 17-2
6. 문화시설자원
박물관 ◈국제 성서박물관 고대 근동지역, 유럽, 북미지역 등 귀중한 성경을 시대별로 전시,남구 주안 1동 193-3 ☎ (032)874-0385
도서관 ◈주안도서관(1990년 개관) 남구 주안 4동 38 ☎ (032)473-5304
주안도서관 공연장 ◈인천문화회관 소공연장 남구 숭의 4동 7-4 (객석 184석) ☎ (032)866-2019
◈수봉공원 은율탈춤 야외공연장 남구 숭의 4동 7-4 (객석 1000명) ☎ (032)772-4491
◈인천청소년회관 강당 남구 숭의동 131-6 (객석 150석) ☎ (032)887-5270
전수회관 ◈은율탈춤 전수관 남구 숭의동 7-4 ☎ (032) 772-4491 매년 은율탈춤 전수생 교육실시, 은율탈춤 보전 전승.
영화관 ◈중앙극장 남구 도화동 415, 1관 460석, 2관 479석 ☎ (032)867-6562
◈터미널시네마 남구 관교동 15, 1,2관 ☎ (032) 430-7322
남구청 소개 ◈남구청은 인천의 중심지역으로 인천역사의 태동지이다. 비교적 상권의 중심권에 있으며 자립도가 높다. 2002년 월드컵 축구대회를 대비한 문학경기장 건설, 문학전통마을 조성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지하철 1호선이 서울과 연계되어 인천 관내에서는 살기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 남구 숭의동 131-1 ☎ (032)887-3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