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서구 인천광역시 서구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인천광역시 서구 정보
◈ 서구의 생활문화자원
◈ 전통생활민속 - 고창굿 / ◈ 구전설화 - 가재가 나온 가재울, 하루 두 번 여닫히는 감중사(甘中寺) 대문, 소염도의 각시당, 과거길 사랑경계시문 / ◈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 서구의 특산품은 바다와 인접되어 수산물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소금, 조기, 맛(土花), 굴, 부레, 낙지, 죽합, 소라, 방게, 꽃게, 자하(紫蝦), 중하 등이다.
목   차
[숨기기]
 

1. 생활문화자원

 
 

1.1. 전통생활민속

 
◈ 고창굿
서구는 포구인 까닭에 어업에 종사하는 어민이 많아 풍어와 제화초복(除禍招福)을 원함은 물론 선원들의 바다 일은 항상 생명의 위험을 느껴, 굿을 많이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개 음력 10월 막사리를 끝내고, 고창굿은 임경업 장군을 신주로 모시고 굿을 하는데 마을 회의에서 날짜를 정하게 되면, 대개 굿은 정월에 했다. ① 제관(마을에서 깨끗하고, 존경받는 자), ② 소임(경비책임자), ③ 주무(무당선출), ④ 도가집(음식장만책임), ⑤ 당맞이(신을 모셔오는 것), ⑥ 금기(굿날 12∼15일전부터 금기생활), ⑦ 무당, ⑧ 신청올림과 산거리(자정이 지나서 함), ⑨ 돌돌이(마을 순회 굿) 등 분야별로 일을 맡아 고창굿을 진행하였다. 도시화로 거의 사라져가고 있다.
 
 
 

1.2. 구전설화

 
◈ 가재가 나온 가재울
가좌동에 ‘건지골’이란 마을이 있다. 옛날에는 물이 많았고 고기도 많았다. 천변지이(天變之異)로 연못이 말랐고 100년 묵은 큰 가재가 나왔다고 해서 「가재골」이라 했다 한다.
 
◈ 하루 두 번 여닫히는 감중사(甘中寺) 대문
조선조때 서구 가좌동 서쪽(현 경인고속도로변)에 감중사라는 작은 절이 있었다. 그런데 감중사 대문은 하루 두 번 저절로 열렸다 닫혔다고 한다. 바다가 밀물이면 대문이 닫혔고, 썰물이면 열렸다 한다.
 
◈ 소염도의 각시당
서구 가좌동(현 목장)에 당구리 배 두척을 가진 구씨라는 부자가 살았다. 어느날 밤, 해적떼가 구씨집을 습격하여 재산을 갈취하고 부인까지 약탈해 갔다 한다. 구씨에게는 외동딸이 하나 있었는데, 다시 해적들이 나타나 구씨 딸을 겁탈하려하자 구씨 딸은 소염도에 몸을 던져 정절을 지켰다고 전한다. 그후 구씨 딸을 위로하기 위해 각시당을 지어 매년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 과거길 사랑경계시문
옛날에 과거보러가는 선비에게 다음과 같은 경계시(警戒詩)가 세워진 곳이다.
 
「계양산하 침구녀 기유년붕두원무심(桂陽山下 侵具女 己酉年鵬頭怨無心)」 즉 계양산 밑의 구씨처녀를 침범하면 기유년 2월 초 과거에 낙방하니 원망한들 무슨 소용이 있느냐라는 계시문이다.
 
고려말엽, 대가집 도령이 개성으로 과거보러 가다가 부평땅 장모루(주막)에 묵었는데 구씨 규수에 반해 과시에 낙방했다고 오래도록 전한다.
 
 
 

1.3. 주민의 종교생활

 
◈ 전통신앙
농촌 전래의 풍습으로 집 뒤뜰 정결한 곳에 터주를 모셔, 토기 항아리에 정하게 고른 벼 5홉 정도를 담고 우두지(짚으로 둥글게 엮어만든)를 틀어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씌어놓고 왼새끼를 둘러매고 백지를 접어 끼워둔다.
 
이곳은 신성한 곳으로 취급하여 정결을 유지하고, 추수 후에는 고축(告祝)이라 하여 시루떡을 쪄서 갖다놓고 정화수 한 그릇을 바치며 집안의 무사번영을 기원했다. 어떠한 새로운 영업을 시작할 때나 가재도구를 새로 사들였을 때에도 고사를 지낸다. 지금도 개업시에 많은 사람들이 고사를 지내고 있다.
 
서구는 토속신앙의 하나로 볼 수 있는 무속(巫俗)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 중의 하나인 동제(洞祭)를 들 수 있다. 전체의 평안 및 번영의 기원은 물론 풍양(豊穰)이나 풍어(豊漁)를 기원하며 아울러 제액(除厄), 방액(防厄), 수귀(遂鬼) 등을 그 목적으로 삼았다. 대체로 부락에는 그 부락의 수호신을 모신 당이 있는데 동제는 그 당 앞에서 지내지만 그것이 없을 때는 이를 상징할 수 있는 고목이나 큰 바위 앞에 담을 쌓아 놓고 제를 드린다.
 
이 마을에는 부락민 전체가 참여하여 더불어 즐길 수 있는 굿을 동반하기에 무속과 깊은 관련을 지니게 되는 축제(祝祭)적인 성격도 강하게 띈다. 따라서 동민 서로의 친목은 물론 협동 및 단결력을 기르는 데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외에도 서구는 개신교 261개 교회,(신도수 34,111명), 천주교 8개 성당(신도수 19,498명), 불교 11개 사찰(4,964명) 등이 있다.
 
 
 

1.4. 주민의 생활권역

 
서구는 1988년 북구에서 분구된 신설구로 아직 생활권역의 특징은 없다. 옛날에는 산과 밭이 있었던 곳으로 도시화에 따라 건물을 짓고, 신생구로 새로운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있고, 상설시장 4곳, 1개의 백화점이 있다.
 
 
 

1.5. 지역의 별미음식

 
• 그린가든 - 검암지구 87B 4L 오리주물럭 ☎(032) 565-0872
• 불로갈비 - 심곡동 294-2 생갈비 ☎ (032) 561-2175
• 스카이락 - 연희점 심곡동 278-6,8,9 오렌지 치킨스테이크 ☎ (032) 561-0809
• 녹양옻닭식당 - 심곡동 301-10, 옻닭 ☎ (032) 562-2440
• 수인식당 - 심곡동 259-1, 곰탕 ☎ (032) 561-7000
• 연희쌈밥 - 심곡동 300-4, 쌈밥 ☎ (032) 564-3535
• 금강산추어탕 - 심곡동 240-4, 추어탕 ☎ (032) 565-9929
• 동해해물탕 - 심곡동 251-18, 해물탕 ☎ (032) 567-2715
• 삼백낙곰연희점 - 심곡동 342-7, 게장백반 ☎ 567-5051
• 가정쌈밥 - 가정 1동 473-8, 쌈밥스페셜 ☎ (032) 563-1228
• 가정옥 - 가정 1동 516-5, 꼬리곰탕 ☎ (032) 583-6783
• 백암식당 - 가정 2동 284-128, 선지 해장국 ☎ (032) 583-4488
• 석남동함흥냉면 - 석남 2동 582-18, 궁중 칼국수 ☎ (032) 583-8445
• 장수촌 - 석남 1동 519-6, 소머리국밥 ☎ (032) 572-9232
• 다복솔 - 가좌 2동 27-12, 차돌박이 전골 ☎ (032) 581-4500
• 우리소 - 가좌 2동 236-23, 꽃등심 ☎ (032) 576-6588
• 오가네 - 가좌 3동 72-1, 모듬 생고기 구이 ☎ (032) 576-0262
• 동해회바다 - 백석동 76-8, 바다회 ☎ (032) 562-0660
• 두부촌 - 불로동 599-7, 두부보쌈 ☎ (032) 563-1340
• 예일공원 - 오류동 632-1/2, 암소한우꽃등심 ☎ (032) 563-6100
 
 
 

1.6.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서구의 특산품은 바다와 인접되어 수산물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소금, 조기, 맛(土花), 굴, 부레, 낙지, 죽합, 소라, 방게, 꽃게, 자하(紫蝦), 중하 등이다.
 
근래 이 고장의 연안어업은 인구증가와 임해공단의 확대로, 국토확대를 위한 매립, 간척사업 등으로 연안어장이 축소되고 또 유기물질의 오염이 증가되면서 수산자원이 점점 빈약해지고 있다.
 
1984년을 절정으로 어획량도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 약쑥의 산지
『조선왕조실록』 「세종지리지」에 의하면 서구는 약쑥이 유명한 마을이다. 약쑥의 성분이 좋아서 중국, 일본에 수출되었다고 한다.
 
◈ 난지초
고려시대 명약 난지초는 만병통치약으로 이름이 나 있었다. 난지초를 캐려면 마치 인삼처럼 하늘에 기도하고 캐려고 노력한 약초이다.
 
◈ 도자기
산지 고려시대부터 조선중기까지 서구 경서동에는 녹청자의 산지로, 우리나라에서는 으뜸가는 그릇이 생산된 곳이다.
 
◈ 타일
명산지 서구 사도섬을 중심으로 설치된 극동요업은 현대화된 공장시설로 양질의 수출용 타일이 생산되고 있다.
인천광역시 서구 정보
• 서구의 역사문화자원
• 서구의 생활문화자원
• 서구의 예술문화자원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