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해시 경상남도 김해시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일자별)
경상남도 김해시 정보
◈ 김해시의 어제와 오늘
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김해시는 한반도의 동남단에 위치하고 경상도의 한 가운데를 흐르는 낙동강의 하구에 소재한다.
옛날의 김해만은 차츰 김해일대에 삼각주 평야를 형성하면서 영남의 곡창인 김해평야를 형성하였다.
삼한시대부터 변한의 구야국(狗邪國)으로서 낙동강구를 관할하고, 중국·일본과의 중계무역항으로서 번성했으며, 고대 일본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다.
서기 42년 이곳에 처음으로 금관가야(金官加耶. 駕洛國)가 성립되면서 6가야의 종주국이요, 가야문화의 발상지가 되었다.
바다로부터 육지로 들어가는 입구에 자리잡고 있었으므로 왜인의 출입처가 되었고, 고려말의 왜구도 이곳을 거쳐 침입하였다. 임진왜란 때에는 왜군의 출입처(죽도성)가 되기도 하였으며, 6·25동란 때에는 국군과 유엔군의 병참기지가 되었다.
비옥한 김해평야는 곡창인 동시에 선진영농의 시발지가 되었으며, 항구도시인 부산광역시의 배후도시이고, 창원·마산에 인접하므로 급속도로 근대화되었고 인구가 팽창하였다. 김해공항이 10㎞ 이내에 있고, 남해고속도로가 관통하고 있으며, 부산과의 경전철, 대구와의 고속도로도 계획되고 있어 가까운 장래에 인구 50만의 중도시가 될 것이다.
<김해시 연표>
시 대
연 대
주 요 사 항
 
고대
선사시대
신석기시대부터 원주민 거주
 
삼한시대
변한의 구야(狗邪)국
 
가야
42
수로왕이 금관가야(가락국) 건국. 10대 491년의 왕통을 이어감
 
532(구형왕까지)
 
 
신라
680
문무왕이 금관소경을 둠
 
757
경덕왕이 김해소경으로 개칭
 
고려
940
김해부를 둠(태조)
 
995
안동도호부로 승격(성종)
 
1012
김주로 고쳐 방어사를 둠(현종)
 
1271
김녕(金寧)도호부로 승격(원종)
 
1308
김주목으로 승격(충렬왕)
 
1310
김해부로 낮춤(충선왕)
 
조선
1413
김해도호부로 승격(태종)
 
1592
임진왜란 6년간 왜군의 영향하에 놓임(선조)
 
1896
김해군으로 고침(고종)
 
근·현대
1919
3.1 독립운동 일어남
 
1981
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
 
1978
김해군의 대저·명지·녹산·가락이 부산직할시에 편입
 
1995
기해시, 김해군을 통합아여 김해시가 됨
 
 
 
 
 
 
 
 
2.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가야문화의 발상지 금관가야(가락국)의 수로왕을 시조로 건국하여 신라의 침입을 물리치고 6가야의 종주국이 되었다.
 
◈통일신라 5소경의 하나로 동남변의 중심지가 되었다. 통일신라 9주와 5소경 가운데, 5소경의 하나로 동남면의 중심지가 되었다. 고려 때는 방어사를 두고, 다시 동남해 선병도부서사의 본영을 이곳에 세 차례(문종, 명종, 공민왕) 두었다.
 
◈조선 조선 초기 경상도 5수관의 하나이며, 김해진관을 두고 부사가 별중영장(別中營將)을 겸임하였다.
임진왜란 때에는 왜군의 침입을 받아 6년 반 동안 왜군의 영향하에 놓였다. (죽도성)
 
◈1930 낙동강 일천식공사로 인하여 곡창 김해평야가 이룩되고, 낙동대교의 가설로 부산과 서부경남을 잇는 교통요로가 되었다.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수로왕 가락국의 시조. 신라의 침입을 여러 번 물리치고 김해김씨, 허씨의 시조가 되었다.
 
◈김무력(金武力) 가락국 마지막 구형왕의 아들. 신라의 신주군주(新州軍主)가 되어 백제 성왕을 물리치고 한강유역으로 진출하였다.
 
◈김조(金) 세종 때 간의대 자격루의 제조에 참여하고 예조판서에 이르다.
 
◈사충신(四忠臣) 선조 때 임진왜란을 당하여 이 고장의 송빈(宋賓)·이대형(李大亨)·김득기(金得器)·류식(柳湜)의 네 사람이 끝까지 김해성을 지키다 함께 순절했다. 모두 참판으로 추증되고, 송담서원 4충단을 세워 매년 순절한 날에 향사를 드리고 있다.
 
◈허경윤(許景胤) 임진왜란 때 수로왕릉이 왜군에게 도굴되자 피난처에서 돌아와 능을 수봉했으며, 병자호란 때에도 아들을 보내 창의토록 했으나 화약성립으로 돌아오니 통곡하고 두문불출하였다.
 
◈이윤재(李允宰) 오산학교의 3·1운동 주도자로 3년 옥고. 조선어학회의 간부로서 1940년 어학회사건이 일어나자 잡혀서 함흥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내 고장의 문화유산
■보물
◈수레바퀴모양토기 제637호 구산동 230, 국립박물관 내
 
◈선조국문교서 제951호 흥동 416, 어서각 내
 
 
■사적
◈김해 회현리 패총 제2호 봉황동 253번지 일원
 
◈분산성 제66호 어방동 산 9
 
◈수로왕릉 제73호 서상동 312
 
 
 
수로왕릉
◈수로왕비 허씨릉 제74호 구산동 120
 
 
 
수로왕비 허씨릉
◈김해 구산동 고분군 제75호 구산동 64(A 지구). 구산동 21-2(B 지구)
 
◈김해 예안리 고분군 제261호 대동면 예안리 369-6
 
◈김해 대성동 고분군 제341호 대성동 434
 
 
■천연기념물
◈김해 신천리 이팝나무 제185호 한림면 신천리 946
 
◈김해 주촌면 이팝나무 제307호 주천면 천곡리 895-2
 
 
■유형문화재(도지정)
◈안곡리 3층석탑 제24호 한림면 안곡리 166-1
 
◈봉화산 마애불 제40호 진영읍 본산리 산 4-3
 
◈능동석인상 및 상석 제71호 장유면 삼문리 산 49-2
 
◈초선대 마애불 제78호 안동 685-1
 
◈구산동 마애불 제186호 구산동 산 57-1
 
◈김해향교 제217호 대성동 224
 
◈은하사 대웅전 제238호 삼방동 882
 
◈서강 김계금 일고 책판 제352호 진영읍 신용리 245-1
 
 
■무형문화재(도지정)
◈숭선전 제례 제11호 집례(김병수). 전사관(류필현)
 
 
■기념물(도지정)
◈서상동 지석묘 제4호 서상동 6-7
 
◈유하패총 제45호 장유면 유하리 183
 
◈구지봉 제58호 구산동 81-2
 
◈양동산성 제91호 주촌면 양동리 산 29-1
 
◈내동 지석묘 제97호 내동 469
 
◈칠산동 고분군 제98호 명법동 산11-1
 
◈사충단 제99호 동상동 161
 
◈양동리 고분군 제136호 주촌면 양동리 산 3
 
 
 
양동리 고분군 발굴현장
◈마현산성 제150호 생림면 봉림리 산102
 
◈무계리 지석묘 제151호 장유면 무계리 366-1
 
 
■문화재자료(도지정)
◈선조어서각 제30호 흥동 산 20-3
 
◈장유화상사리탑 제31호 장유면 대청리 산 68-1
 
◈봉황대 제87호 봉황동 158
 
◈산해정 제125호 대동면 주동리 737
 
◈허성재선생 철명편목판 제174호 대성동 248
 
◈파사석탑 제227호 구산동 119-3 왕비릉 내
 
◈신천 망월석탑 제262호 한림면 신천리 471 흥덕사 경내
 
◈김해 안봉환 소장 고문서 제279호 진례면 시례리 316
 
 
 
 
 
 
3. 생활문화자원
 
전통생활민속
◈석전놀이 옛 가락국 때부터의 전투훈련으로서, 조선시대에도 신어천에서 동·서로 나누어 돌팔매 싸움을 하였다. 삼포왜란 때도 실전에 참전한 기록이 있다. 지금은 가락문화제의 한 종목으로 존속되어 있다.
 
◈달집 불태우기 매년 대보름날에 풍악을 울리고 달집을 태워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점쳤는데, 지금은 문화원이 주관하여 운동장에 달집을 세워놓고 온 시민이 모여 태우며 태평과 풍년을 빌고 있다.
 
◈김해가락오광대 가락면의 서낙동강에 면한 해창 앞에서 연희해 오다가 1937년 일제가 금지시켰다. 1984년 문화원에서 복원하여 김해민속예술보존회를 병설하여 전승에 힘쓰고 있다.
 
◈진례면 시례 광주안씨 집성촌 선무원종공신 안진(安軫)의 후손으로 안봉환(安鳳煥)집은 염수당 (念修堂)이라 하며, 150년 전 고가로서 가묘를 모시고 있다. 소장하는 고문서 18집은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장유면 덕정 전주이씨 집성촌 이조참판 이춘흥(李春興)의 후손으로 단발령을 거부한 보림(普林) 의 아들 우섭(雨燮)이 상투와 한복차림으로 월헌(月軒)서당에서 한학을 강의하며 원근에서 모인 후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구전설화
◈황세와 여의낭자 가락국 숙왕 때 여의(如意)낭자는 약혼했던 황세(黃洗)가 전공을 세워 유민 공주(流民公主)와 결혼한 뒤에도 정절을 지키다가 죽으니 동민들이 단오날에 지금까지 위령제를 올리고 있다.
 
◈초선대와 참시선인 가락국 2대 거등왕(居登王)때 해상의 칠점산(七点山)에 살던 참시선인(始仙人)을 초청하니, 선인이 배를 타고 금(琴)을 안아 지금의 초선대에 와서 왕과 함께 금을 타고 바둑을 즐겼다고 한다.
 
◈통천사(通天寺)와 천지못(天地淵) 수로왕의 국장 때 능 자리에 물이 많이 고이므로 도사가 시키는 대로 고을 안에 가장 높은 무척산(無隻山)의 산마루에 못을 파니 과연 수원이 막혀 무사히 장례를 치르고, 못가에 통천사를 세웠다고 하나 지금은 초석만 남아 있다.
 
◈임호산(林虎山)의 지명유래 이 산의 모양이 호랑이가 읍내를 노리고 있는 형상이므로 허보옥(許寶玉)스님이 지형상의 악기를 없애기 위해 절을 세웠다고 하며, 황세장군이 죽은 뒤 유민공주도 이 절에 들어가 치성을 드리다가 죽으니 산 이름을 유민산이라고도 한다.
 
주민의 종교생활
시내 몇 곳의 마을에는 아직도 당산제를 지내는 곳이 있으며, 현재 불교는 신도 37,996명, 사찰이 109개소이며, 개신교는 신도 17,810명에 160개소의 교회가 있다. 천주교는 신도 8,206명, 6교회가 있고, 기타는 신도 3,022명에 20개 사·회 등이 있다.
문화적으로 의미있는 사찰과 교회는 다음과 같다.
 
◈가락불교 허왕후가 서기48년 인도에서 가락국으로 출가해 올 때, 오라비 보옥스님(長遊和尙)이 함께 와서 세웠다는 사찰은 신어산(神魚山) 아래의 은하사(銀河寺)·동림사(東林寺), 거등왕 때 세웠다고 하는 생림면의 모은암(母恩庵), 진영읍의 자암(子庵) 등이 있다.
 
◈김해교회 대성동에 있는데 1888년 김해의 배성두(裵聖斗)가 경남도내에서 네 번째로 세운 교회로 당시 신자는 10여 명이었다. 그의 아들 동석(東奭)은 김해의 3·1독립운동의 공로자다.
 
주민의 생활권역
◈상설시장 동상동 881번지 일원에 1974년 4월 개소(총면적 7,098㎡이다)
 
◈전통시장 5일장이 시내 회현동 일대와 진영읍 진영리, 장유면 무계리, 진례면 송정리 등에서 계속 5일마다 열린다.
 
◈아파트지역 김해시에는 138단지에 565동, 43,778세대의 아파트 지역이 있다. 5,000세대 이상의 단지는 내외동이 가장 많은 20,453세대이고, 북부동·활천동·삼안동에도 있다.
 
◈공단지역 시내의 삼안동, 불암동에 모여있다. 축산물 도매시장은 삼방동에 현대화된 시설이 있다.
 
지역의 별미음식
◈선암의 장어구이 불암동의 시장 일대에 26호가 있으며, 숯불구이로 특수한 맛과 풍부한 단백질로 유명해졌다.
 
◈진영의 소갈비 진영읍 일대에 갈비집이 40곳이나 있어, 연하고 담백한 맛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진례면의 도자기 50여 곳의 도자기 가마가 모여 있으며, 가야토기를 재현하는 곳도 있다.
 
◈진영의 단감 진영읍 일원에 1,683호가 있다. 1927 일본인 요코자와(橫澤)씨가 한인 여성과 결혼하고 이곳에 정착하면서, 기후·풍토의 지리적 조건이 단감재배에 최적지로 판단하여 100주를 시식한 것이 시초인데 1934년 조합도 조직되고 전국적으로 출하하고 있다.
 
◈칠산(七山)의 참외 1950년대 참외재배를 시작하여 생산농가 280호, 생산량 2,796톤으로 일본에까지 수출한다.
 
◈대동(大東)의 꽃 대동면 불암동 등 680가구가 재배하며 전국 생산량의 30%를 차지하고, 외국에도 많이 수출한다.
 
 
 
 
 
 
4. 예술문화자원
 
지역문화예술행사
◈정월대보름행사 △시기-2월 △장소-공설운동장 △주관단체-문화원 △행사내용-달집태우기
 
◈가락문화제 △시기-4월(음3. 15) △장소-시 일원 △주관단체-시 제전위 △행사내용-수로왕과 허후 만남 재현 등 40종 행사
 
 
 
가락문화제
◈가야사 학술대회 △시기-4월 △장소-국립김해박물관 △주관단체-시 △행사내용-가야사를 주제로 발표 및 토론
 
◈전국가야금경연대회 △시기-4월 △장소-문화원 △주관단체-시·문화원 △행사내용-본선(대상 : 대통령상)
 
◈김해 꽃 축제 [상세정보] △시기-5월 △장소-대동면 △행사내용-카네이션·장미 등 다양한 꽃의 전시, 판매
 
◈김해 녹차문화제 △시기-5월 △장소-진례면 △주관단체-녹차문화제전위 △행사내용-녹차 잎 따기, 가훈 써주기 등 가족단위 행사
 
◈진영단감제 [상세정보] △시기-10월 △장소-진영읍 △행사내용-풍성한 단감수확을 자축
 
◈김해예술제 [상세정보] △시기-10월 △장소-시 일원 △주관단체-예총지부 △행사내용-산하 8개 문화예술단체의 분야별행사
 
◈김해도자기축제 [상세정보] △시기-10월 △장소-진례면 △주관단체-전통도예협회 △행사내용-도자기의 전시, 판매
 
◈경상남도 향토사연구협의회 외동 1261-4 문화원내 ☎ (055)336-2646
 
◈한국예총 김해지부 봉황동 449 문화체육관내 ☎ (055)332-9313
 
◈가야문화연구회 서상동 27-32 송한의원 ☎ (055)336-4479
 
◈김해시립합창단 부원동 623 김해시청내 ☎ (055)330-3287
 
◈김해시립가야금연주단 외동 1261-4 문화원 ☎ (055)336-2646
 
◈김해교향악단 부원동 28-1 중앙여중 ☎ (055) 334-7455
 
◈김해청소년챔버오케스트라 외동 697-4 금성음악학원 ☎ (055)336-6844
 
◈경남전승도예협회 진례면 송정리347-2 ☎ (055)345-5353
 
◈향토문화연구소 내동 1169-12 ☎ (055)332-2955
 
◈한가야청소년예술단 외동 1261-4 문화원내 ☎ (055)336-2646
 
◈가락문화제전위원회 봉황동 422-1 유도회관 2층 ☎ (055)335-3382
 
◈김해문화협의회 삼방동 동원APT 104-1108 ☎ (055)333-4434
 
◈김해민속예술보존회 외동 1261-4 문화원내 ☎ (055)336-0138
 
◈김해문화회 ☎ (055)328-1114
 
지역언론기관
◈김해시보 부원동 623 ☎ (055)330-3227, http//city.kimhae.kyongnam.kr
 
◈가야일보 어방동 1103-8 ☎ (055)321-9997 kyilbo@chollian.net
 
◈가야신문 부원동 619-21 ☎ (055)327-0025 www.kayanews.co.kr
 
◈김해정보신문 부원동 42-4 ☎ (055)326-0009
 
◈금양케이블T.V 외동 1259-6풍성빌딩 4층 ☎ (055)326--0100
 
◈김해케이블방송사 동상동 7블럭 3로트 ☎ (055) 325-9211
 
◈진영유선방송 진영읍 진영리274-96 ☎ (055) 343-2987
 
문화예술교육·연구기관
◈인제대학교 어방동 607
△역사문화학과 ☎ (055)334-0716, http://www.inje.bc.kr
△가야문화연구소 ☎ (055)320-3454, http://todori.inje.ac.kr/ kaya
 
지역문화예술 시상제도
◈김해시 문화상 시 주관으로 문화·체육·지역개발의 3분야를 시상한다.
 
지역출신 예술인
◈김녹주(金綠珠) 판소리 협률사 단원, 명창.
 
◈배문전(裵文典) 글씨, 제액, 비백, 묵화(호 此山)
 
◈김종대(金鍾大) 글씨, 편액, 비문(호 岡雲)
 
◈김용환(金龍煥) 만화, 만화계의 선구자 (코주부)
 
◈김영춘(金英椿) 노래, 「홍도야, 울지마라」
 
◈안장현(安章鉉) 시. 수필 「우리에게 한 줄기 빛이 있다면」
 
◈권용태(權龍太) 시, 「남풍에게」(노산문학상)
 
◈김원일(金源一) 소설, 「어둠의 축제」(한국일보문학상)
 
지역소재 예술작품
◈불의 제전 김원일 장편소설, 1950. 1∼4월의 진영읍을 무대로 함(학원), 「불망기」 중편소설, 진영읍을 무대로(현대문학)
 
◈남풍에게 권용태 시, 낙동강변의 갈대밭
 
◈만장대에 올라(일명 김해평야) 조두남 작곡, 김해평야를 예찬하는 노래
 
 
 
 
 
 
5. 관광, 여가문화자원
 
관광자원
◈수로왕릉 서상동 312 ☎ (055)332-1094, 수로왕비릉, 구지봉, 회현리패총, 대성동고분군
 
◈신어산 삼방동 가야골프장, 산림욕장
 
◈가야랜드 삼방동 1 ☎ (055)337-0311, 은하사, 동림사, 유원지
 
◈구지봉 구산동 산 81-2 수로왕의 천강 6란과 구지가의 전설이 깃든 곳
 
◈장유계곡 장유면 대청리 ☎ (055)338-1983, 장유사, 장유화상 사리탑, 불모산 등산
 
◈진례도예촌 진례면 송정리 ☎ (055)345-5353, 두산요, 수로요, 토광요 등 많은 도자기가마. 직접 만들어 볼 수도 있다.
 
◈무척산 생림면 생철리 ☎ (055)332-0101 시내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등산로, 천지못, 모은암, 백운암 등의 사찰도 있다.
 
 
 
무척산
◈장척계곡 상동면 묵방리 ☎ (055)323-6733, 자연발생유원지로 토종닭 백숙과 꿩 요리 맛이 일품이다
 
관광시설
◈연지호반공원 내동, 연지못가의 23,708평에 공원조성, 분수대
 
◈산성공원 동상동, 어방동, 동상동쪽에 4충단 표충사가 있고, 어방동쪽에 분산성, 해은사, 만장대와 산성마을이 있다.
 
◈삼계공원 북부동, 삼계 신도시에 새로 조성됨.
 
관광코스
◈A코스(역사탐방코스) 시외버스터미널 → 회현리 패총, 봉황대, 여의각 → 수로왕릉 → 대성동 고분군 → 문화의 거리 → 국립김해박물관 → 구지봉 → 수로왕비릉 → 신천리 이팝나무(한림면) → 진례 도예촌 → 양동산성 (양동리고분군) → 시외버스터미널
 
◈B코스(자연휴양코스) 시외버스터미널 → 분산성 → 신어산(은하사, 동림사) → 가야랜드, 가야CC → 불조사(상동면) → 무척산(생림면·모은암·천지못) → 마현산성 → 화훼단지 (대동면) → 예안리 고 분군 → 산해정(신산서원) → 초선대 (마애불) → 시외버스터미널
 
 
 
분산성
관광쇼핑
◈가야유물관 매점(서상동 수로왕릉 경내) 도서, 토기모조품, 기념품 ※지역특유의 관광상품 판매소가 아직 설치되지 않았다.
 
관광안내소
◈김해시 문화체육과 ☎ (055)330-3287
 
◈사적지 관리사업소 ☎ (055)330-3589
 
◈김해문화원 ☎ (055)326-2646. 336-2646 여객터미널 건너편. 인터넷 주소 www.khcc.or.kr
 
여가시설
◈공설운동장 봉황동 445, 수용인원 30,000명(스탠드 15,000석)
 
◈진영공설운동장 진영읍 진영리 1279, 수용인원100,000명(스탠드 30,000석)
 
◈하키경기장 삼방동 730 수용인원 5,000명(고정석 70석)
 
◈문화체육관 봉황동 449, 수용인원 1,500명(고정석 840석)
 
◈진영문화체육센터 진영읍 진영리 1279, 수용인원 700명(고정석106석)
 
◈시립체육관 봉황동 445, 수용인원 300명
 
◈가야컨트리클럽 삼방동 산 1 신어산 중턱의 자연환경이용, 87만평 36홀
 
 
 
 
 
 
6. 문화시설자원
 
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구산동 230, ☎ (055)325-9332, 부지 15,758평, 건평 2,994평으로 금관가야의 발상지인 구지봉의 뒷 기슭에 위치한다. 가야문화의 박물관답게 철색의 벽돌로 전체건물이 이루어지고, 가야(금관, 아라, 대·소가야)의 유적에서 출토한 유물을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다. 가야유물전시고, 수장고, 강당, 야외전시실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립김해박물관
미술관
김해시에는 아직 미술관이 없으며, 문화의 집, 칠암문화센터, 문화원 등에서 수시로 미술작품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도서관
◈김해도서관 봉황동 458-15에 있으며, 도립으로 건축되었다. 1,269석에 장서는 150,000권, 환산 이윤재(李允宰) 선생의 흉상이 있어 한글날에 추모식을 올리고 있다. 인터넷주소 www.kimdo.or.kr.
 
◈진영도서관 진영읍 여래리 489-1에 있으며, 287석에 장서 56,694권이다
 
◈칠암도서관 삼방동 192에 있으며, 칠암(七岩) 박순규(朴淳圭)의 유언에 따라 유족이 건설하여 기증한 것이다. 287석에 장서 56,694권이다. ☎ (055)
332-6393
 
◈백인제기념도서관 어방동 607. 인제대학교의 부설도서관이며, 2,088석에 장서 약 40만 권이 있다.
 
공연장
◈김해문화원 외동 1261-4에 있으며, 공연장 객석은 259석이다.
 
◈칠암문화센터 삼방동 192번지 ☎ (055)332-9393, http://city.kimhae.kyongnam.kr/chilam1 관람석 310석이다.
 
◈임호(林虎)야외공연장 외동 1261-7 문화원 옆에 있으며 500석에 무대와 음향, 조명시설이 있다.
 
◈문화의 거리 국립김해박물관 앞에서 전하교까지 연장 1.5㎞ 해반천(海畔川)가에 조성되고 있다. 야외공연장, 가야상징 조형물, 시계탑, 시민의 숲 등이 조성되어 산책로도 겸할 수 있다.
 
전수회관
◈김해예술창작스튜디오 생림면 도요리에 있으며, 예술인들의 창작활동과 전수공간을 제공한다. 화실, 도예실, 다목적실, 사랑방, 판화실이 있다. ☎ (055) 338-2367, 335-6422
 
◈가야문화예술관 진례면 신월리에 있으며 320평에 전시와 문화예술활동을 겸하고 있다. 도자기전시실, 미술실, 민속예술실(상모돌리기 전수), 수석, 분재전시실 ☎ (055)346-1170
 
영화관
명칭
소재지
전화
관람좌석
 
일흥극장
서상동 82-24
(055)322-0123
110석
 
중앙극장
부원동 604-8
(055)334-7300
142석
 
 
 
 
문화의 집
◈김해 문화의 집 부원동 619-3 ☎ (055)337-8666, 문화감상실, 영상감상실
 
◈내외 문화의 집 내동 201-4 ☎ (055)338-4578, 문화감상실, 영상감상실
 
문화원
◈김해문화원 외동 1261-4 ☎ (055)336-2646, 326-2646, www.khcc.or.kr, FAX 335-2484 원장 이병태
경상남도 김해시 정보
• 김해시의 역사문화자원
• 김해시의 어제와 오늘
(2005.06.03. 01:02)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