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의령군 경상남도 의령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경상남도 의령군 정보
◈ 의령군의 어제와 오늘
의령(宜寧)군은 경상남도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남쪽은 영남의 젖줄인 낙동강(洛東江)과 남강(南江)을 끼고있는 비옥한 강안평야지대이며 서북쪽은 영호남의 지붕인 지리산의 줄기인 자굴산(山)이 있는 산간분지지역이다. 군내 전역에 걸쳐서 선사유적과 유물이 분포돼 있는 것으로 보아서 일찍이 상당한 인구가 취락을 이루고 살았던 지역으로서 독특한 농경문화가 뿌리내린 곳으로 추정된다.
목   차
[숨기기]
 

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의령(宜寧)군은 경상남도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남쪽은 영남의 젖줄인 낙동강(洛東江)과 남강(南江)을 끼고있는 비옥한 강안평야지대이며 서북쪽은 영호남의 지붕인 지리산의 줄기인 자굴산(山)이 있는 산간분지지역이다. 군내 전역에 걸쳐서 선사유적과 유물이 분포돼 있는 것으로 보아서 일찍이 상당한 인구가 취락을 이루고 살았던 지역으로서 독특한 농경문화가 뿌리내린 곳으로 추정된다. 고문헌에는 속상강한(俗尙强悍)이라고 했지만 순박한 인심세속에 장충효(奬忠孝) 여문학(勵文學)의 기풍에 전통을 숭상하는 영남의 반향(班鄕)으로 일컫고 있다. 그리고 미맥(米麥)의 주산지며 그밖에 목화, 삼과 모시, 감, 밤이 많이 생산되며 특히 닥(楮)이 지천이라 닥종이(조선종이)와 장판의 원산지로서 전국적으로도 이름이 나 있을 뿐 아니라 지촌(紙村)이란 지명도 있을 정도였다. 아직도 의령산 골짝쌀을 비롯하여 곡류와 채소 과일류는 질좋기로 이름나 있으며 산수경관이 빼어난 자연환경과 편리한 교통 등 전원주택지로서 최적지로 손꼽히는 고장이다.
 
 
 

1.1. <의령군 연표>

 
고대
선사시대
- 군내 전 지역에 지석(고인돌)50여기 입석(선돌) 11기가 군집형태로 있음
 
삼한시대
- 변한(弁韓)의 부족연맹체(추정)
 
가야시대
- 동부지역 - 비사벌가야(比斯伐伽倻)
- 중서부지역 - 아라가야(阿羅伽倻)
 
신라
757 (경덕왕 16년) - 의령 중심의 장함현(獐含縣)은 함안군의 영현이었고 신번중심의 동부지역은 신이현, 주오촌, 천천현으로 부르다가 의상현(宜桑縣)으로 개칭하면서 강양군(江陽郡)의 영현
 
고려
1018 (현종 9년) - 의령현은 진주목의 속현, 의상현은 신번현(新繁縣)으로 개칭
 
1390 (공양왕 2년) - 의령현은 현감(縣監) 설치. 공양왕 3년 신번현은 의령현에 통합 영속되었으며, 의춘(宜春), 의산(宜山)이란 별칭도 쓰임
 
조선
1592 (선조 25년) - 4월 22일 임진왜란 때 전국최초로 곽재우(郭再祐) 장군의 민중의병이 왜적과 싸움.
 
1895 (고종 32년) - 현이 군(郡)으로 변경
 
1906 (고종 43년) - 26개면으로 행정구역 확정.
 
근·현대
1914
- 면리동(面里洞) 통폐합 조정(14개면 114개리로 개편)
 
1922
- 풍덕면(豊德面)을 의령면으로 개칭.
 
1935
- 10년 화양면을 폐지함. (13개면 114개리로 확정)
 
1953
- 11월 23일 지리산 빨치산부대 33명의 의령경찰서습격사건이 있었음 (사상자 9명, 관공서 청사 15동 소실, 민가 50여동 소실)
 
1979
- 5월 1일 의령면이 의령읍으로 승격(1읍 12면)
 
1982
- 4월 26일 궁류지서 경찰관의 총기난사 사건발생 (양민 56명 사망, 39명 부상)
 
2000
- 현재 1읍 12면 114개리 264개 자연마을
경상남도 의령군 정보
• 의령군의 어제와 오늘
• 의령군의 역사문화자원
(2005.06.03. 01:02)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