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남해군 경상남도 남해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경상남도 남해군 정보
◈ 남해군의 어제와 오늘
남해군은 경상남도 남서단에 위치한 69개(유인도 4개, 무인도 65개)의 섬으로 구성된 도서군이다. 남해섬은 우리나라에서 네번째로 큰 섬으로서 섬 전체가 천혜의 경관을 이루는 ‘소금강 38경’을 간직하고 있으며, 굴곡이 심한 302㎞의 해안선은 어느 곳이나 해수욕장이 될 수 있는 곳이다.
목   차
[숨기기]
 

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남해군은 경상남도 남서단에 위치한 69개(유인도 4개, 무인도 65개)의 섬으로 구성된 도서군이다. 남해섬은 우리나라에서 네번째로 큰 섬으로서 섬 전체가 천혜의 경관을 이루는 ‘소금강 38경’을 간직하고 있으며, 굴곡이 심한 302㎞의 해안선은 어느 곳이나 해수욕장이 될 수 있는 곳이다.
 
기후가 온화하고 강우량이 많으며, 토질이 비옥하고 주변 바다가 맑아서 해산물이 풍부하여 선사시대부터 사람살기에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었다는 것은 군내 각지에 분포되어 있는 고인돌과 조개무덤들이 증명해 주고 있다.
 
옛부터 남해는 ‘삼자·삼무(三子·三無)’의 고장으로 알려져 왔다. ‘삼자’란 유자·치자·비자를 말하는데 이 지역은 아열대성 식물인 유자·치자·비자나무가 잘 자라 그 열매를 모두 궁중에 진상해 왔던 것으로 유명한 데서 연유된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마늘이 전국적으로 더 유명하다.
 
‘삼무’는 도둑이 없고, 거지가 없으며, 대문이 없다는 말이다. 남해사람들은 예로부터 서로 상부상조함으로 도둑이 없고, 근면 성실함으로 거지가 없고, 도둑과 거지가 없다보니 대문이 필요없는 건강한 고장이어서 오늘날에도 남해사람은 근면·성실·정직하고 인정이 많다고 정평이 나 있다.
 
 
 

1.1. <남해군 연표>

 
고대
삼국
-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초기 철기시대의 패총 발견.
 
신라
신문왕 7년(687) - 전야산군(轉也山郡) 설치.
 
고려
1018 (현종 9년) - 남해현으로 강등.
 
1384 (우왕 10년) - 정지 장군의 관음포전투로 왜구 평정.
 
조선
1404 (태종 4년) - 왜구로 인하여 진주로 철수했던 남해현을 복현함.
 
1439 (세종 21년) - 현재의 남해읍에 읍성을 축성함.
 
1592~1598 - 임진왜란 7년 동안 왜구의 피해극심. 선조 31년 이순신의 노량대첩.
 
1663 (현종 4년) - 충렬사 사액.
 
1895 (고종 32년) - 남해군으로 개편.
 
1906 (광무 10년) - 창선도가 남해군에 편입됨.
 
근·현대
1919 - 3월 3일, 이예모 주동으로 1천여 명이 항일시위.
 
1968 - 한려수도가 국립해상공원으로 지정됨.
 
1973 - 남해대교가 개통됨.
 
1979 - 남해면이 읍으로 승격, 1읍 7면.
 
1980 - 창선교가 개통됨.
경상남도 남해군 정보
• 남해군의 어제와 오늘
• 남해군의 역사문화자원
(2005.06.03. 01:02)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