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하동군 경상남도 하동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일자별)
경상남도 하동군 정보
◈ 하동군의 어제와 오늘
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경상남도의 서남단에 위치한 하동군은 지리산의 서남기슭으로 평야는 적고 산지가 전체의 약 80%에 이른다.
동은 진주시와 접하고 서는 섬진강이 전라남도와 경계를 이루면서 남해노량에 이르러 바다와 접하여 한려해상공원을 이루고 연륙된 남해군과 접하고 북은 국립공원 1호인 지리산을 경계로 함양, 산청, 남원시에 접하고 있으며 섬진강을 젖줄로 하여 하늘과 산과 강과 바다와 맑은 호수 등 천혜의 자연환경과 문화관광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섬진강은 신라, 백제의 국경이기도 했으며 고려 때부터 왜구의 침입이 잦아 임진왜란 때는 하동읍성(현 고전면)과 쌍계사(현 화개면)를 불태우는 등 약탈의 통로가 되기도 했다. 또한 근대에는 문물교류의 수단이 되었으며 맑은 물에서 생산되는 재첩은 간(肝)에 특효이며 맛이 독특하여 전국에서 유명하고 은어, 참게 등도 명물로 생산되며 우리나라에서 차(茶)를 제일 먼저 심었다(흥덕왕 3년 828).
대렴공 유허비는 하동이 차 시배지(茶 始培地 - 기념물 제61호)로서 차문화의 근원이자 성지임를 나타내며 정부지정 야생차 문화축제를 매년 실시하고 있다.
<하동군 연표>
시 대
연 대
주 요 사 항
 
고대
BC 1천년이전
취락생활(지석묘, 패총 발견) 추정.
 
삼한
AD 1C
변한 12국 중 낙노국(현 악양면)이 있었음.
 
신라
685
신문왕 5년 한다사군으로 개칭.
 
757
경덕왕 10년 하동군으로 개칭.
 
고려
1018
현종 9년 화개부곡 등 4개리 진주목에 이속.
 
1172
명종 2년 진주목에서 독립하여 감무를 둠.
 
조선
1594
선조 27년 임진왜란으로 읍 소실.
 
1702
숙종 28년 684년만에 진주에 이속되었던 화개 등 4개리 내속.
 
1704
숙종 30년 하동도호부로 승격.
 
1745
영조 21년 읍기를 향촌(현 하동읍)에 옮김.
 
1895
고종 32년 하동군으로 개칭.
 
현대
1989
금남면 금성출장소가 승격 금성면이 되다.
 
 
 
 
 
 
 
 
2.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고성산성(高城山城) 전투 도지정 기념물 142호로 옥종면 북방리에 위치한 이곳은 항일 격전지로 19세기말 국정의 혼란을 틈타 일본의 부당한 국권 침해에 대응하여 진주를 중심한 서부경남(하동을 비롯 당시의 곤양, 남해 등 7개군)에서 봉기한 동학농민군과 진주 주둔 왜군과 마지막 배수진을 치고 사수하였으나 참패(186명 전몰)하여 천추의 한을 남긴 곳이다.
 
◈정안산성(鄭晏山城-정안봉, 鄭晏峯) 양보면 등 3개면의 경계에 있는 산성으로 수려한 경관과 군내 뿐 아니라 남해바다까지 조망할 수 있고 또 연결되는 천혜의 요새라 할 수 있는데 이곳에 고려 중기 하동인 정안(참지정사)이 고종 3년(1216)경 노모를 봉양코자 성을 쌓고 별장을 지었다. 이로 인하여 산 이름을 정안봉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지금도 그 흔적으로 보아 당시의 호사생활을 짐작할 수 있다.
 
◈독립청년회관(獨立靑年會館) 하동읍내에 대지 516평 건평 62평의 목조 아연단층으로 이 고장의 우국 청년들이 3·1정신을 이어 받아 항일 독립운동의 거점으로서 백산 안희재 선생의 협찬과 정성어린 성금으로 1926년 건립하여 신간회, 근우회, 농민회 등 이 고장 민족운동이 줄기차게 전개되었고 당시 민족지도자 안재홍, 홍명희 선생의 강연회도 있었으며 하동벽보 신문도 이 곳에서 발간되었으며, 전국 225개 회관 건물 중 유일하게 남아 있다.
 
◈하동독립선언서(河東獨立宣言書) 1919년 전국적으로 봉기한 독립만세가 하동에서도 일어났으니 적량면장을 사임하고 시민독립만세에 앞장선 박치화 지사가 3월 17일 하동시장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면서 낭독하여 시민의 애국심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원본은 독립기념관에 보관되고 있으며, 지방에서의 독립선언서는 유일무이하니 감히 하동군민의 애국충정을 자랑할 수 있다.
 
 
 
독립선언서 복사본 사진(자료:하동문화원)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정인지(鄭麟址, 1396∼1478) 조선초기의 문신, 학자. 1414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세종, 예종의 총애를 받아 집현전 직제학, 시강관, 역법제정, 예문관 제학, 동지춘추관사 등 요직을 거쳐 우의정에 승진한 조선초기의 대표적인 학자로 천문, 역법, 아악 등에 관한 저서도 있으며 고려사를 찬수하였으며 훈민정음 창제에 유공하며 용비어천가 제정에 공이 크며 세조 때 하동부원군에 봉해졌다.
 
◈김중원(金重元, 1680∼1750년) 영조 4년(1728년) 이인좌의 난 때 사근역 전투에 참가하여 공을 세워 양무원 종일품공신에 책록되고 그 유물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관어재에 보관되고 있다(조총 1점, 장검 2점, 유집 4점).
 
◈충의공 정기룡 장군(忠毅公 鄭起龍 將軍) 공은 조선조 명종 17년(1562년)에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에서 태어나 임진왜란 때 거창전투를 통해 영남땅을 지킨 공으로 선무일등공신에 올랐으며 삼군수군통제사를 재임하고 뒷날 보국숭록대부에 이르렀다.
 
 
 
정기룡 장군 영정
내 고장의 문화유산
■국보
◈진감선사 대공탑비 제47호
 
■보물
◈쌍계사 부도 제380호
 
◈쌍계사 대웅전 제500호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제925호
 
■사적
◈고소성 제151호
 
◈쌍계사 석등 제28호
 
■유형문화재(이하 도지정)
◈정서리 석조여래 입상 제45호
 
◈쌍계사 일주문 제86호
 
◈쌍계사 팔상전 제87호
 
◈쌍계사 명부전 제123호
 
◈쌍계사 나한전 제124호
 
◈쌍계사 육조정상탑전 제125호
 
◈쌍계사 천왕문 제126호
 
◈쌍계사 금강문 제127호
 
◈진교리 삼층석탑 제129호
 
◈탑리 삼층석탑 제130호
 
◈이명산 마애석조여래좌상 제136호
 
◈칠불사 아자방지 제144호
 
◈쌍계사 불경책판 제185호
 
◈고운 선생 영정 제187호
 
◈하동향교 제223호
 
◈목은 선생 영정 제232호
 
◈정기룡 장군 유품 제286호
 
◈금오산 마애불 제290호
 
■기념물
◈지리산 쌍계사 제21호
 
◈백련리(샘문골)도요지 제24호
 
◈이명산 석불 사지 제28호
 
◈하동송림 제55호
 
◈차(茶)나무 시배지 제61호
 
◈두양리 은행나무 제69호
 
◈축지리 소나무 제78호
 
◈금오산 봉수대 제122호
 
◈범왕리 푸조나무 제123호
 
◈북방리 고성산성 제142호
 
◈하동읍성 제216호
 
■문화재자료
◈쌍계사 청학루 제45호
 
◈쌍계사 정묵당 제46호
 
◈옥산서원 제47호
 
◈쌍계사 마애불 제48호
 
◈쌍계사 팔영루 제74호
 
◈두방재 제81호
 
◈경천묘 제133호
 
◈금남사 제134호
 
◈쌍계사 설선당 제153호
 
◈경현사 제171호
 
◈정기룡 장군 유허지 제188호
 
◈악약정 제220호
 
 
 
 
 
 
3. 생활문화자원
 
전통생활민속
◈짚신 우리나라 농가에서 오래 전부터 전해오는 짚신(볏짚으로 삼는 신)을 하동읍 신기리의 56농가에서 단지를 이루어 농한기 부업으로 연 60톤 10만여 켤레를 생산하여 농가 소득에도 도움이 되고 우리의 전통을 이어가니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체험테마 여행지」로 선정되었다. ☎ (055)883-0602(부녀회장 차선임)
 
 
 
짚신삼기(사진:강태진)
◈의신마을 동제 화개면 의신마을에 언제부터인가 12월이 되면 부락민 중에서 가장 존경받는 사람을 당상제주로 모시고 제를 지낸다. 선정된 제주는 약 1주일간 외부인의 접촉도 피하는 등 심신을 정결히 하여 섣달 그믐날 당상목에서 제사를 올리고 정월초 하룻날(1월 1일) 동민의 안녕을 기원하는 지신제를 지낸 후 희망의 새해를 맞이한다.
 
◈솟대(돛대) 의신마을 중앙에 약 5평 정도의 제단이 있고 솟대(돛대) 5m의 높이 정상에 세 갈래의 갈매기(나무로 만든) 세 마리가 앉아 있다. 여기에 동민이 동제를 지내는 것은 배 같이 생긴 의신마을이 편안하게(갈매기가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뜻이 있으나 최종 목적은 의신마을의 안녕과 번영에 있다.
 
구전설화
◈육조 정상탑과 화개 6조 혜능선사는 선풍을 진작시킨 일대 종사로 713년 입적시 “내가 죽은 후 5∼6년 후에 만(滿)자를 가진 자가 머리를 잘라갈 것이라”고 예언했는데 삼법화상이 장정만을 시켜 육조예능의 정상을 가져왔는데 꿈속에 지리산 남쪽 눈 속에 칡꽃이 피는 따뜻한 곳(葛花雪裏處)에 모셔라 하기에 이곳이 바로 금당의 육조정상탑의 자리이며 겨울에도 눈 속에 칡꽃이 피는 곳이기에 이곳을 화개라 이름지었다(현 화개면).
 
◈칠불사 화개면 칠불사는 처음 운상원이라 했는데 101년 김수로왕의 7왕자가 외숙 보옥선사와 같이 이곳에서 수도하여 103년에 7왕자가 성불하여 이로부터 칠불사라 부르게 되었으니 남방불교의 성지라 할 수 있다.
 
◈차(茶) 시배지 신라 흥덕왕 3년(828) 대렴공이 견당사로 당나라에 갔다 오면서 차 씨앗을 가져와 왕명으로 지리산 남쪽 따뜻한 이곳에 심었으니 이것이 우리나라 차 재배의 처음이므로 차시배지로 정하고 정부 지정 야생차문화축제를 매년 거행하고 있다(화개면 차시배지 유형문화재 61호).
 
주민의 종교생활
전통적인 마을신앙이 곳곳에 있었으나 현존하는 것으로는 화개면 의신부락과 범왕리의 당산제, 청암면 명호리의 당산제가 있으며 그외 잡다한 것들이 있었으나 지금은 사라지고 신흥종교가 성행한다. 사찰 56개소, 기독교 교회 71개소, 천주교 5개소 그외 일련정종, 일본선교종, 성덕도, 천도교, 원불교, 배달민족성전 유불선 합일경정유도회 등 13개소가 있다.
 
■불교
◈쌍계사 화개면 운수리 208
 
◈칠불사 화개면 범왕리 1604
 
■천주교
◈하동교회 하동읍 1287-6
 
◈진교교회 진교면 진교리 363
 
■기독교
◈하동읍교회 하동읍 1091-1
 
◈하동교회 하동읍 293-6
 
주민의 생활권역
◈화개장터 화개면 탑리에 위치한 화개장터는 옛날부터 영호남 상인이 모여 섬진강을 통한 해산물과 지리산 주변의 임산물 등 생산품 집산지로서 그 이름이 널리 알려졌으나 이제 그 흔적마저 없어지게 되어 그 옛 장터 복원에 착수하여 2002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청학동 도인촌 청암면 묵계리 옛 진주암 일원에 유불선 합일 경정유도회를 믿는 교인들이 모여 사는 곳으로 70여 호의 주민들은 우리의 전통생활(한복, 상투, 서당, 초가)을 하고 있어 도인촌 또는 민속촌이라 부른다.
 
 
 
청암면 묵계리 청학동의 도인촌(민속촌)
지역의 별미음식
◈재첩국 섬진강에 서식하는 재첩(일명 갱조개)는 알카리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간(肝)에 특효이며 맛이 좋아(재첩국, 재첩회) 전국에 알려져 연간 30억원 가량의 매출 실적을 올리고 있다. 하동읍 광평리의 동흥식당, 여여식당이 유명하다.
 
◈대롱밥 대(竹)마디를 잘라 그 속에 오곡을 넣어 밀봉하여 솥에 넣고 나무불의 증기로써 밥을 짓는다. 청암면 묵계리 동아주막(주 강태주)
 
◈참게탕 섬진강 맑은 물에서 서식하는 자연산 참게로 만든 참게탕의 독특한 맛은 우리의 입맛을 돋구어 준다. 화개면 탑리의 개화식당, 태봉식당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녹차(綠茶) 1200년 전에 심어 야생차의 시배지인 화개면을 중심으로 하동군 일원에서 지리산 자락 청정지역의 이슬을 머금고 자란 야생차 잎을 손으로 빚어 만든 전통수제 녹차(경상남도 추천상품-QC)로 일명 작설차, 죽로차라고도 함. △제조과정 : ① 차잎따기 → ② 선별 → ③ 씻기 → ④ 무쇠솥에 덖기 → ⑤ 비비기 → ⑥ 털기 → ⑦ 건조 → ⑧ 끝덖기 → ⑨ 발 포장 (※ ④ ∼ ⑦ 까지는 최소 3회 정도) △제품 : 우전, 세작, 중작, 대작, 녹차티백, 현미녹차 △정부지정 녹차명인 : 화개면 삼신리 596 삼신다원 박수근 △명차 : 2000년 하동야생차 문화축제에서 명차로 선정, 화개면 정금리 1083 지리산 제다원 강영숙
 
 
 
녹차 시배지 기념비(화개면 운수리)
 
<녹차의 성분과 효능>
성분
효 능
 
ㆍ카페인
머리를 맑게, 눈을 밝게, 추위를 막고, 더위를 이기며, 구미를 돋구고, 술을 깨우고, 갈증을 멈추고, 피부를 곱게하고, 마음을 편하게 함
 
ㆍ탄닌
 
ㆍ아미노산
 
ㆍ비타민
 
 
 
<녹차 제조원>
업체명
연락처(055)
품목
 
화개다농제다
883-2288
녹차
 
화개농협제다
883-4235
녹차
 
화개제다
883-2145
녹차
 
쌍계제다
883-2440
녹차
 
지리산제다원
882-4989
녹차
 
일송제다
884-0821
녹차
 
삼진산업산골실품
882-8998
녹차
 
화개녹차영농법원
882-8998
녹차
 
실로암제다
883-1414
녹차
 
청학농원
883-3037
녹차
 
지리산차천지
883-0665
녹차
 
기대정식품
884-0377
녹차
 
양보선다녹차원
882-2892
녹차
 
산골식품
883-6074
녹차, 두중차
 
 
 
 
◈도자기(막사발) 진교면 백련리 도요지는 경남기념물 제24호로 지정된 역사 깊은 곳으로 조선시대 16∼17세기(임진왜란시) 도자기를 굽던 옛 가마터가 있는 곳. △생산제품 : 막사발 - 막사발은 조선시대 선비들과 서민들이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던 밥그릇, 국그릇, 찻그릇으로 두루 쓰이던 실용품이었다. 자연미를 그대로 담은 모양새와 완만한 곡선미를 자랑하는 막사발의 모든 멋을 진교 도요지에서 재현하고 있다. 무명 도공들의 제사와 천도 의식으로 막사발의 정신문화를 이어옴은 하동만의 자긍심을 느끼게 한다. △제품 : 막사발, 정호차완, 분청사기 △위치 : 진교면 백련리 샘문골 일원 △대표자 : 샘문골 도요, 장금정
 
◈죽염류 서해안의 깨끗한 천일염을 청학동에서 생산되는 대롱에 넣어 황토가마에서 아홉번(1개월 반∼2개월) 구워 만든 청학동 구조죽염, 황토가마 죽염으로 만든 죽염된장, 간장, 남초장(고추장)이 생산되며, 이의 효능은 위장병, 해독에 특효이다. 청암면 묵계리 청학동 삼성당 정찬홍
<특산물 생산자 단체>
업체명
품목
연락처(055)
 
섬진강 식품
참게장
883-2059
 
섬진강 물산
재첩
883-8886
 
창학동삼성당(주)
죽염류
883-6088
 
하동배영농조합
883-9988
 
악양대봉감영농조합
대봉감
883-3234
 
하동밤조합영농법인
884-0305
 
 
 
 
 
 
 
 
4. 예술문화자원
 
지역문화예술행사
◈하동문화제 [상세정보] 주최 : 하동문화제 추진위원회 / 주관 : 하동문화원 / 개최시기 : 4월(4일간) / 개최장소 : 공설운동장 및 군내 일원 / 행사종목 : 군민축제(축등행렬, 노래자랑), 널뛰기 등 민속행사 경연(13종)
 
◈하동야생차 문화축제(문화관광부 지정) [상세정보] 주최 : 하동군 / 주관 : 야생차문화축제 추진위원회 / 개최시기 : 5월(5일간) / 개최장소 : 화개면 쌍계사, 차시배지 일원, 막사발 도요지 / 행사종목 : 막사발(도자기) 축제 개장, 차여인 선발, 헌다례, 차예절시범 및 공연, 야생차 국제학술 세미나, 문예행사(전시회) 등
 
◈화개장터 십리벚꽃축제 [상세정보] 주최 : 하동군 / 주관 : 화개청년회 / 개최시기 : 4월(2일간) / 개최장소 : 화개장터 일원
 
지역문화예술단체
◈하동문화예술동호회 하동읍 1450 ☎ (055)883-0945 회원수 230명
 
◈하동사진동호회 하동읍 1450 ☎ (055)883-5125 회원수 30명
 
◈섬진강 사진회 하동읍 319-16 ☎ (055)884-2631 회원수 25명
 
◈하동시우회 하동읍 450-5 ☎ (055)884-3929 회원수 80명
 
지역언론기관
◈경전민보사 1990년 창간, 하동읍 비파리 58 ☎ (055)884-0001-03
 
◈하동신문사 1996년 창간, 하동읍 324-8 남산B/D 305호 ☎ (055)883-9001
 
◈하동정론신문사 1998년 창간, 하동읍 116-40 ☎ (055)883-0954
 
지역문화예술 시상제도
◈향토문화상 향토문화 발전에 공이 있는 지역주민에게 주는 상으로서 특히 문화예술 부문에 공이 있는 자를 읍·면장 및 기관단체장 또는 문화단체장으로부터 추천을 받아 심사위원의 엄격하고 공정한 심사를 거쳐 12월에 문화원장이 시상한다. 주관 하동문화원
 
지역출신 예술인
◈정공채 시인
 
◈정두수 시인. 작사가로 많이 활동, 대표작 「흑산도 아가씨」
 
◈이병주 문인. 장편소설 『지리산』
 
◈유성준 국악인. 동편제 판소리 명창(토별가, 수궁가)
 
지역소재 예술작품
◈『역마』 김동리의 소설. 화개장터 배경.
 
◈『지리산』 이병주의 장편소설. 지리산을 배경.
 
◈『토지』 박경리의 대하소설. 악양면 평사리가 배경.
 
 
 
 
 
 
5. 관광, 여가문화자원
 
관광자원
◈백사청송의 유원지 하동읍 광평리에 약 300년 전에 방풍림으로 조성한 800여 주의 노송이 그 푸르름을 자랑하며 그 옆에는 은빛 모래밭이 있어 이를 백사청송이라 부른다. 노송의 수피는 거북등과 같아 송림을 찾는 관광객들은 장군의 철갑옷을 연상케 하며 은빛 모래사장과 검푸른 송림의 모습이 유유히 흐르는 섬진강 맑은 물에 투영될 때 이곳을 지나는 시인 묵객들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숲속에는 궁도장도 있으며 별도 주차장도 있다.
 
 
 
백사청송의 송림공원과 섬진강
◈청학동 신비의 경지로 이상향이다. 횡천면 시장 삼거리에서 청암천의 맑은 시냇물을 거슬러 올라가면 양쪽 산기슭에는 기암절벽과 계절에 따라 기화요초가 풍성한 심산유곡으로 옛부터 이상향인 청학동이라 믿고 시인 묵객이 운집하였으며 일제시대에는 독립애국투사의 피신처이기도 한 곳이 바로 청암면 묵계리 청학동이다.
이곳은 하동읍에서 2호선 국도로 횡천삼거리를 거쳐 하동댐(만수면적 147ha 저수량 3,115톤)이 바다가 아닌가 의심할 정도의 조망이 있는 곳이 18㎞ 지점에 있고 거슬러 올라 23㎞ 지점에 청학동이 있다. 이곳은 「갱정유도회」라는 종교인들이 한마을을 이루고 있는데 어린이는 머리를 땋고 한복을 입고 서당에 다니며 어른들은 상투를 하고 한복을 입으며 조선시대의 생활을 재현하고 종교를 믿는다. 이 마을을 도인촌(道人村) 혹은 민속촌이라고 부르며 전국에서도 이름 나 있다. 부근에 삼성궁(三聖宮-한웅, 한인, 단군)이 있어 옛 소도(蘇塗)를 방불케 하며 무예를 가르치며 조국의 혼을 심어 주는 수양 및 공부를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참배하며 수도차 젊은이들이 모여든다. 10월에는 천제(天祭)를 지내는데 전국에서 관계자 및 관광객이 운집한다.
 
◈쌍계사 불교의 성지이며 무릉도원인 화개동천 하동읍에서 19호선으로 북상하면 19㎞지점에 시골장터와 동서화합의 장이며 김동리의 소설 『역마』의 화개장터가 있다. 쌍계사에 이르는 6㎞도로는 십리벚꽃으로 전국에서 상춘객이 모여들며 이 일대에는 야생차의 천지를 지나 신라의 천년고찰 쌍계사에 이른다. 쌍계사는 진감선사의 대공탑비(국보 제47호, 최고운 선생 사산비의 하나)를 비롯하여 보물, 문화재, 기념물 등 20여 점이 있으며 팔영루에서 진감선사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범패를 만들었다 한다.
 
◈칠불사 쌍계사에서 약 8㎞쯤에 남방불교의 성지라 할 수 있는 칠불사가 있다. 처음에는 운상원으로 신라 옥보고 악사가 거문고 30여 곡을 지었다는 옥보대가 있으며 건축사상 증명할 수 없는 공법으로 지은 아자방(亞字房)이 있었다 하나 아쉽게도 소실되어 원형복구에 그쳤다. 이곳은 가락국 김수로왕의 7왕자가 성불했다고 하여 칠불사라고 하며 많은 일화를 전하는 남방불교의 성지라 할 수 있다.
 
◈녹차 시배지 화개장터의 동서 남록에서부터 쌍계사를 지나 범왕리에 이르는 화개천의 양쪽 산기슭에는 야생차가 12㎞에 뻗어 있다. 이곳에 차시배지(흥덕왕 심음, 기념물 제61호)가 있어 2000년도 부터 문화관광부지정 야생차 문화축제를 거행하게 되었다.
 
◈불일폭포 쌍계사에서 약 2㎞ 산행하면 높이 60m, 폭3m의 남한제일의 기암절벽과 심산에 위치한 불일폭포가 있어 장관을 이루어 등산객 및 관광객이 끊일 줄 모른다.
 
관광시설
◈화개장터 화개면 탑리에 18억원을 투자하여 2000년 말까지 옛 모습으로 복구할 것임.
 
◈소설 『토지』의 최참판댁 악양면 평사리 상평마을에 부지 2,883평에 건물 5동, 건평 110평으로 소설 『토지』의 최참판댁 그대로 18억여원을 투자하여 2000년 말까지 완공 예정임
 
◈섬진강 가로변 휴식공원 악양면 평사리 국도 19호선 변에 위치한 34,142㎡로 현재 90% 진척되었으며 위락시설 및 휴식시설을 2000년 말까지 완공 될 것임(총 공사비 21억)
 
관광코스
◈제1코스 광평송림(하동읍) → 국도19호선 → 섬진강 가로변 휴게소 → 평사리 최참판댁 → 화개장터 → 십리벚꽃길 → 쌍계사 → 불일폭포 → 칠불사
 
◈제2코스 새미골 도요지(진교면 백련리) → 하동댐(청암면 평촌리) → 청학동 → 도인촌(민속촌) → 삼성궁
 
 
☞ 하동군 관광 안내도(자료:하동군)
관광쇼핑
◈하동배 하동군 영농조합법인 ☎ (055)884-3309
 
◈대봉감
·악양농협 : 악양면 정서리 ☎ (055)883-3019
·악양 대봉감 영농조합 : 악양면 정서리 ☎ (055)883-3282
 
◈녹차 화개농협 ☎ (055)883-4235 외 29개소
 
◈도자기
·샘문골도요 : 진교면 백련리 ☎ (055)882-9880
 
◈박공예
·대봉공예 : 진교면 술상리 ☎ (055)883-6978
 
◈죽염류
·청학동 삼성당 : 청암면 묵계리 ☎ (055) 883-6088 (취급가공품 : 간장, 된장, 초)
 
관광안내소
◈하동군청 관광진흥계 읍내리 군청 내 ☎ (055) 880-2544, https://www.hadong.kyongnam.kr
 
◈섬호관광여행사 하동읍 ☎ (055)882-9595
 
◈한다사 관광여행사 하동읍 ☎ (055)884-5500, 하동의 여행정보를 제공하며 숙박시설 및 관광안내 차량들과도 연계되어 하동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한다.
 
여가시설
◈체육관 및 공설운동장 적량면 고절의 공설운동장 옆에 체육관을 준공(2층 2,783㎡, 수용인원 3,500명)
 
◈청소년수련마을 금남면 증평리 대치마을 앞에는 남해바다를 바라보며 옆에는 임진왜란의 맹호 정기룡 장군의 사우가 있으며 금오산의 정기를 안고 자리 잡고 있다. 총면적 19,800평, 생활관 수용인원 150명, 강당 등 편의시설이 완비되어 경남도 일원에서 앞다퉈 오고 있다(연 30,000명 정도 수련).
 
 
 
청소년 수련마을
◈하동볼링장 하동읍 ☎ (055)884-0070
 
◈남영볼링장 하동읍 비파리 ☎ (055)884-0061∼2
 
◈낚시터 금남면 대도 ☎ (055)882-0743
 
 
 
 
 
 
6. 문화시설자원
 
미술관
◈금정미술관 진교면 백련리 139 새미골에 있다. ☎ (055)882-9880 상하층 100평으로 전시물로는 16세기 도자기 파편, 막사발, 현대자기, 미술작품 등 100여점으로 일년 연중 개관하며 도자기 제조과정도 실험할 수 있다.
 
도서관
◈군립도서관 읍내리 1087 건평(상하2층) 516.5㎡ 좌석수 208석, 장서 2,700권.
마을 문고 군내 총13개소(읍·면) 장서수 20,219권
 
공연장
◈문화예술회관 2000년 10월 완공예정 / 위치 : 하동읍 읍내리 1563-6 / 부지 : 12,683㎡(3,836.6평) / 구조 : 철근 콘크리트조. 지하 1층, 지상 3층 / 건축면적 : 2,901㎡(807.7평) / 건축연면적 : 6,670.66㎡(2,017.87평) / 내부 : 대공연장 972.0㎡ 788석·소공연장 376.8㎡ 200석 / 사무실 1실, 취미교실 2실 / 전시실 등 문화예술 창작 및 활동에 충분하다고 사료됨(총 공사비 6,810백만원).
 
문화원
◈하동문화원 하동읍 읍내리 450-5 ☎ (055)884-3929 원장 김철수
경상남도 하동군 정보
• 하동군의 역사문화자원
• 하동군의 어제와 오늘
(2005.06.03. 01:02)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