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합천군 경상남도 합천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경상남도 합천군 정보
◈ 합천군의 역사문화자원
◈ 역사적 사건과 현장 - 태조 이성계와 무학대사, 합천의병운동, 합천 3·1독립만세운동 / ◈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최치원(崔致遠, 857∼ ? ), 조식(曺植, 1501∼1572), 정인홍(鄭仁弘, 1535∼1623), 정배걸(鄭倍傑, 생몰년 미상) / ◈ 내 고장의 문화유산 - 해인사 대장경판, 해인사 장경판전, 해인사 고려각판
목   차
[숨기기]
 

1. 역사문화자원

 
 

1.1. 역사적 사건과 현장

 
◈ 태조 이성계와 무학대사
합천군 대병에서 태어난 무학은 조선의 도읍지를 한양(서울)으로 정하여 우리나라의 유서 깊은 수도로 만들었다. 그는 태조를 도와 새 왕조 건설에 커다란 도움을 주었으며, 1392년 이성계가 조선의 첫 임금의 자리에 오르자 무학을 불러 왕사로 삼았다. 왕사란 지혜로운 스님에게 주는 최고의 자리로 중요한 일이 있을 때 임금의 의논상대가 되는 자리였다.
 
◈ 합천의병운동
합천의병은 정인홍을 중심으로 대규모 의병활동을 전개했다. 1592년 4월말에서 5월초에 의병을 모집하여 6월부터는 전국 최초로 왜적을 공격하였으며 왜적을 격퇴하는데 크게 공헌을 하였다. 합천의병(3천명)은 경상우도 지역을 왜적의 분탕질로부터 보호하였다.
 
◈ 합천 3·1독립만세운동
합천에서의 3·1독립만세운동은 1919년 3월 18일 삼가시장으로부터 시작하여 합천읍, 대병면 창리, 초계, 묘산, 야로, 해인사, 봉산에서 모두 농민 2만여 명이 참가하였다. 이때 일본경찰의 총탄에 맞아 현장에서 21명이 순국하고 60여명이 총상을 당하고 2백여명이 검거되어 그중 60여명이 6개월에서 4년의 징역을 살았다. 합천에서는 1999년부터 매년 3월 18일 합천 3·1독립만세운동재현 행사를 하고 있다.
 
 
 

1.2.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최치원(崔致遠, 857∼ ? )
호를 해운 또는 고운이라 하며 신라말 대학자이다. 그는 42세에 합천 가야산 근처 취적봉 아래에 은거하여 여생을 보냈다. 그의 저서로는 『사육집』 1권과 『계원필경』 20권이 있다.
 
◈ 조식(曺植, 1501∼1572)
자는 건중, 호는 남명(南冥)이다. 성리학자의 대가로서 이퇴계와 글로써 왕래하였으며 나라의 부름에도 나가지 않고 후생을 교육하는데 일념하였다. 삼가면 토동에 선생의 생가가 보전되어 있고 후생을 교육하던 뇌룡정에선 선생을 흠모하여 매년 3월 향화하고 있다.
 
◈ 정인홍(鄭仁弘, 1535∼1623)
자는 덕암 호는 내암이다. 조선 광해군 때 영의정이었으며 임진왜란 때는 합천에서 의병을 모아 의병장이 되어 왜적을 물리치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 정배걸(鄭倍傑, 생몰년 미상)
고려의 문신.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 현종 8년 괴과(魁科)에 장원급제하여 관이 예절상서 중구사에 이르고 문종 때 재상이 되었다. 일찍이 사숙(私塾)을 열어 자제들을 가르치니 이를 홍문공도(弘文公徒)라고 불렀다. 당시 고려 때에는 국자감(國子監)보다 사학의 12문도가 있어 사학이 융성하였는데 정배걸의 홍문공도도 12문도 중의 하나였다.
 
 
 

1.3. 내 고장의 문화유산

 
■ 국보
 
◈ 해인사 대장경판 - 제32호 가야면 치인리
 
◈ 해인사 장경판전 - 제52호 가야면 치인리
 
◈ 해인사 고려각판 - 제206호 가야면 치인리
 
 
■ 보물
 
◈ 반야사 원격왕사비 - 제128호 가야면 치인리
 
◈ 월광사지 3층석탑 - 제129호 야로면 월광리
 
◈ 치인리 마애불입상 - 제222호 가야면 치인리
 
◈ 청량사 석등 - 제253호 가야면 황산리
 
◈ 해인사 석조여래입상 - 제264호 가야면 치인리
 
◈ 청량사 석조석가여래좌상 - 제265호 가야면 황산리
 
◈ 청량사 3층석탑 - 제266호 가야면 황산리
 
◈ 영암사지 쌍사자석등 - 제353호 가회면 둔내리
 
◈ 합천 백암리 석등 - 제381호 대양면 백암리
 
◈ 영암사지 3층석탑 - 제480호 가회면 둔내리
 
◈ 영암사지 귀부 - 제489호 가회면 둔내리
 
◈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 제518호 가야면 치인리
 
◈ 해인사 고려각판 - 제734호 가야면 치인리
 
◈ 해인사 목조희랑대사상 - 제999호 가야면 치인리
 
◈ 해인사 길상탑 - 제1242호 가야면 치인리
 
◈ 해인사 대적광전 홍치4년 명동종 - 제1253호 가야면 치인리
 
◈ 해인사 영산회상도 - 제1273호 가야면 치인리
 
 
■ 사적 및 명승
 
◈ 가야산 해인사 일원 - 제5호 가야면 치인리
 
 
■ 사적
 
◈ 합천 영암사지 - 제131호 가야면 치인리
 
◈ 합천 옥전고분군 - 제326호 쌍책면 성산리
 
 
■ 천연기념물
 
◈ 합천 묘산면의 소나무 - 제289호 묘산면 화양리
 
 
■ 중요민속자료
 
◈ 광해군내외 및 상궁옷 - 제3호 가야면 치인리
 
◈ 합천 묘산 묵와고가 - 제206호 묘산면 화양리
 
 
■ 유형문화재(도지정)
 
◈ 대적광전비로자나삼존불 - 제38호 가야면 치인리
 
◈ 해인사법보전비로자나좌상 - 제41호 가야면 치인리
 
◈ 대동사지 석조여래좌상 - 제42호 대양면 백암리
 
◈ 삼가 기양루 - 제93호 삼가면 금 리
 
◈ 신라 충신 죽죽비 - 제128호 합천읍 합천리
 
◈ 사명대사비 및 부도 - 제145호 가야면 치인리
 
◈ 홍제암 - 제156호 가야면 치인리
 
◈ 경제선생 문집책판 - 제171호 야로면 야로리
 
◈ 호연정 - 제198호 율곡면 문림리
 
◈ 추담선생문집책판 및 구산선생책판 - 제210호 가회면 함방리
 
◈ 초계향교 - 제227호 초계면 초계리
 
◈ 합천향교 - 제228호 야로면 구정리
 
◈ 삼가향교 - 제229호 삼거면 소오리
 
◈ 구음재 - 제234호 가회면 합방리
 
◈ 봉서정과 도촌별표 - 제235호 봉산면 압곡리
 
◈ 존양제선생 문집책판 - 제248호 대병면 유전리
 
◈ 해인사 삼층석탑 - 제254호 가야면 치인리
 
◈ 해인사 석등 - 제255호 가야면 치인리
 
◈ 해인사 대적광전 - 제256호 가야면 치인리
 
◈ 쌍청당실기책판 - 제257호 청덕면 성태리
 
◈ 화산세교책판 - 제259호 대병면 회양리
 
◈ 추본사와 명곡사 - 제264호 야로면 정대리
 
◈ 합천외토리 쌍비 - 제291호 삼가면 외토리
 
◈ 합천 화양리 야천신도비 - 제301호 묘사면 화양리
 
◈ 해인사경학원 - 제329호 가야면 치인리
 
◈ 내암정인홍선생관계분석 및 서적 - 제330호 가야면 황산리
 
◈ 내암정인홍선생 선대배위 및 후손증직 교지류 - 제331호 가야면 황산리
 
◈ 정릉 교첩 및 교지류 - 제332호 가야면 황산리
 
◈ 합천 죽고리 삼존석불 - 제338호 적중면 죽고리
 
※이밖에도 기념물(삼가고분 등 7개), 민속자료(팔심리 윤씨고가), 문화재 자료(함벽루, 옥계서원 등 29개) 등이 있다.
경상남도 합천군 정보
• 합천군의 어제와 오늘
• 합천군의 역사문화자원
• 합천군의 생활문화자원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전체 의견 0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