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구미시 경상북도 구미시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경상북도 구미시 정보
◈ 구미시의 생활문화자원
◈ 전통생활민속 - 발갱이들소리, 무을풍물 / ◈ 구전설화 - 여우못의 유래, 의구총(義狗塚)의 유래, 의우총(義牛塚)의 유래 / ◈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 금오산 방울토마토, 금오산 고구마, 금오산 메론, 선산약주
목   차
[숨기기]
 

1. 생활문화자원

 
 

1.1. 전통생활민속

 
◈ 발갱이들소리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7호. 발갱이들(발검들)은 구미시 지산동에 위치한 대단히 넓고 기름진 평야이다. 이 들에서 예로부터 농사를 지을때 부르던 노래가 발갱이들소리이다. 지산동을 중심으로 발갱이들 주변의 괴평리, 문성리 등 일대의 농민들이 발검들노래보존회를 조직하여 1996년에는 구미 발검들 들노래 유래비를 세우고 전승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1991년에는 제32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참가하여 문화부장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모두 10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남 아리랑’으로 시작하여 농군들이 나무하거나 풀을 벨 때 부르던 어사용, 공동 작업을 할 때 부르던 가래질소리, 망깨소리, 목도소리를 비롯하여 농사일을 할 때 부르던 모찌기소리, 모심기소리, 논매기소리, 타작소리로 이어지고 세벌 논매기를 마치고 한바탕 놀 때 부르던 칭칭이로 구성되어 있다. 발갱이들소리 전승자 백남진씨는 구미시 고아읍 문성리에서 출생하였으며, 이 지방 토박이 소리꾼이다. 그의 소리는 경상도 특유의 메나리 토리 선율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유일무이한 이 지역 전승민요의 증인이다. 초성이 좋고 발갱이들소리 전과정을 보유하고 있다.
 
◈ 무을풍물
무을풍물은 원래 무을면 상송리 수다사란 절에서 시작되어 마을로 퍼져 나갔다. 현재는 무을면 무이리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으며, 제3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농악부문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 풍물은 ‘질(길)굿’, ‘마당딱기’를 비롯하여 열두(12)마당으로 구성되었는데 가락과 연행의 변화가 다양하다.
 
 
 

1.2. 구전설화

 
◈ 여우못의 유래
고아읍 문성리에 있는 문성지(못)는 ‘여우못’이라 불렀다. 옛날에 이 못의 둑이 터져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으면 앞산에서 여우가 울어서 재난을 예고하였다. 마을 사람들은 이를 고맙게 여겨 ‘여우사당’을 짓고 굿을 하였다고 한다.
 
◈ 의구총(義狗塚)의 유래
옛날 한 사람이 개를 길렀는데 하루는 개와 함께 이웃 마을에 갔다가 돌아오던 중 술에 취해 길에서 잠이 들었다. 그 때, 주변에 불이 나서 위험하게 되자 같이 있던 개가 몸에 강물을 적셔 불을 끄고는 지쳐서 죽었다. 잠에서 깨어난 주인이 자기를 구하고 죽은 개를 보고 감동하여 후히 장례를 치르고 무덤을 만들었으니 이를 의구총이라 한다.
 
◈ 의우총(義牛塚)의 유래
옛날 한 농부가 소와 함께 들일을 하는데 호랑이가 나타나 덮쳤다. 그 때, 소가 호랑이에게 덤벼들어 물리치고 주인의 목숨을 구했다. 그러나 다친 주인이 앓다가 죽자, 소도 슬피 울다가 따라 죽었다. 이에 사람들이 장례를 후히 치르고 무덤을 만들었으니 의우총이라 한다.
 
 
 

1.3. 주민의 종교생활

 
전통적인 마을신앙이 남아 전하니, 산동면 도중리의 동제, 옥성면 덕촌리의 동제, 수점동의 동제, 거의동의 진가지 용왕제 등이 지금도 전승되고 있다.
 
 
 

1.4. 주민의 생활권역

 
◈ 선산시장
조선시대부터 이어온 선산의 정기시장(2일, 7일)이다. 장꾼들은 철따라 곡식과 채소, 과일은 물론 어물과 잡화를 취급하는 난전을 이루어 전통적인 장날 풍경을 만끽할 수 있다.
 
이외에도 규모는 조금 작지만 해평장(4일, 9일), 장천장(5일, 10일)에서도 농촌의 낭만적인 장날 모습을 만날 수 있다.
 
 
 

1.5. 지역의 별미음식

 
◈ 낙동강 나루터에서 맛보는 잉어찜
낙동강의 옛 나루터에 자리잡은 매운탕집에서 맛보는 잉어찜이 별미이다. 감자를 큼직하게 썰어 넣은 잉어찜은 영양과 맛이 일품이다. 장어구이, 메기 매운탕, 피라미 조림 등 낙동강의 서정을 즐길 수 있는 별미음식들이 모두 갖추어져 있다.
 
 
 

1.6.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 금오산 방울토마토
낙동강변의 비옥한 토지에서 맑은 물로 재배하여 당도가 뛰어나고 껍질이 얇다. 자연친화 농법으로 생산하여 품질이 우수하다.
 
◈ 금오산 고구마
금오산 자락 황토지대에서 재배되는 수점동 고구마는 당도가 높고 맛이 좋다.
 
◈ 금오산 메론
산동면 일대에서 생산되는 메론은 유기농법으로 재배하며 그 품질이 우수하다.
 
◈ 선산약주
조선시대부터 전해오는 찹쌀로 빚는 순곡주이다. 여러대에 걸쳐 가업으로 이어진 전통 민속주이다.
경상북도 구미시 정보
• 구미시의 역사문화자원
• 구미시의 생활문화자원
• 구미시의 예술문화자원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