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상주시 경상북도 상주시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경상북도 상주시 정보
◈ 상주시의 생활문화자원
◈ 전통생활민속 - 동제, 솟대(立木), 성황당(城隍堂), 견훤사당(甄萱祠堂), 낙상리 마당(洛上里 馬堂) / ◈ 구전설화 - 공갈못에 얽힌 이야기, 천봉산 미륵당
목   차
[숨기기]
 

1. 생활문화자원

 
 

1.1. 전통생활민속

 
◈ 동제
동제는 자연마을을 중심으로 마을의 수호신에게 기원하는 집단신앙으로 1992∼1993년까지 상주대학교(상주문화연구소)에서 관내 397개 전리동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61개 리동에서 확인되었으며, 현재까지 110개 동리가 동제를 지내고 있다고 한다. 명칭도 동제, 산신제, 골맥이제, 치성제 등으로 다양하였다. 대표적인 동제를 보면,·처녀바위 : 함창읍 윤직리 752번지 회나무밑에 높이 2m가 넘는 ‘우(위)하는 바위’가 있다. 늘 솔가지로 덮어 몸체를 드러낸 적이 없는데 만약 부정하게 하면 동리에 환란(특히 남녀간)이 일어난다고 여겨 음력 보름께 동제를 올려 왔다.
 
· 솟대(立木) : 사벌면 원흥리 동구에 세워져 있다. 옛날 어느 수해로 이곳까지 옮겨진 것을 현재의 자리에 세우고 해마다 치성을 드리고 있다. 솟대의 발생은, 삼한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매년 두 차례에 걸쳐 일정한 장소에서 질병과 재앙을 쫓기 위해 제사를 지냈는데 이 자리를 소도라 하고 거기에 솟대(立木)를 세웠다는 설이 있다.
 
· 성황당(城隍堂) : 이안면 대현리 마을 입구에 있는 서낭당이다. 마을의 이정표 구실과 잡귀를 물리치고 액을 떼어버리는 민속신앙으로 돌을 던져 돌무더기와 고목이 서있는 곳이다. 후대에 오면서 성황당이라고 불렀다. 사벌면의 솟대와 이 성황당은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민간신앙 숭배처로 신성시된 장소이다.
 
· 견훤사당(甄萱祠堂) : 화서면 청계리 청계산 기슭에 있는 동제당이다. 이곳은 ‘후백제 대왕 신위’라는 신위를 모시고 견훤의 넋을 기리고 있는 전국의 유일한 신당이다. 매년 정월과 시월에 제사를 드리고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셔왔다. 이곳의 뒷산은 성산산성의 유적이 있고 견훤이 머물렀던 대궐터와 훈련장이 있다.
 
· 낙상리 마당(洛上里 馬堂) : 낙상동의 도룡산(170m) 기슭에 있는 동제당이다. 정월 보름날 동제 지낼 때 말 꼬리털을 문주에 걸어 놓고 동제사를 올렸다 하여 마당제(馬堂祭)라 불렀다. 마당의 신위로는 파평 윤씨(정부인), 경주 최씨(숙부인), 충주 지씨(의인)등 세 성씨의 골맥이 시조신을 모시고 있다. 이 세 성씨의 할매신은 곧 낙상리 마을 시조신 수호신으로 동제를 지내 오고 있다.
 
 
 

1.2. 구전설화

 
◈ 공갈못에 얽힌 이야기
공검면에는 삼한시대에 축조된 공갈못이 있다. 상주에 사는 김씨 성을 가진 사람이 경주에 다녀 오다가 한 여인을 만났다. 날이 저물어 대구에서 묵게 된 그날 밤, 여인은 물동이를 이고 들어와 바닥에 쏟더니 황룡으로 변하여 “저는 경주 용담의 용녀인데 공갈못에 출가를 가는 중인데 못에 도착하면 청룡은 남편이고, 황룡은 저며, 백룡은 방해하는 용이라”고 하였다. 그는 약속한 시간에 공갈못에 도착하여 싸우고 있는 3마리의 용중 불행하게도 청룡의 허리를 자르고 말았다. 이에 황룡은 “나를 과부로 만들었으니 나와 살아야겠소”라고 하였다. 그는 하는 수 없이 집에 작별인사나 하러 갔다가 그 이튿날 죽고 말았다. 한 무당이 용의 장난이라 하자 가족들은 시체를 공갈못가로 가져가 제단을 쌓고 빌던 중 황룡이 나타나 시체를 안고 들어가 버렸다. 그 후 사람들은 공갈못로 가져가 물이 어는 것을 보고 풍흉을 점쳤으며, 정월 열나흘날 밤은 소들이 겨울에도 땀을 흘렸다고 한다. 이는 밤에 못의 얼음을 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못은 연꽃으로 유명하며 채련요를 탄생시켰다.
 
◈ 천봉산 미륵당
만산동 천봉산(435.8m)의 산신당 옆에 미륵당이 있다. 옛날 어떤 목사가 상주에 와서 북쪽길로 가면 귀신의 해를 입어 죽게 되고 남쪽길로 가면 해가 없었다. 북쪽 순시를 계획하던 밤, 어느 목사는 꿈속에서 큰 바위 한채가 흔들거리며 애원하기를 “원님, 도와 주십시오. 비록 돌이나 소원을 들어 주시면 악귀를 제거하고 잘 살게 하겠습니다”하고 사라지면서 또, “제발 바람이라도 피하게 해 주시오”라고 하였다. 꿈이 이상하여 천봉산의 바위를 찾아 집을 지어 주었다. 그날 밤에도 바위가 나타나 “목사님, 고맙습니다. 앞으로 평화로운 고을이 될 것입니다”하고 사라졌다. 그 후로 매년 풍년이 들자 모두가 미륵의 음덕이라 믿고 그 후로는 「미륵당」으로 숭배하게 되었다.
 
<방언(사투리)>
∼ 가니? ∼ 가여?
고추장  꼬이장, 꼬치장
나누다  농구다. 노눈다.
담벽   담부락, 비름빡
바위   방구, 방우, 바우
산모퉁이 산모티, 산모래이, 산모리
 
 
 

1.3. 주민의 종교생활

 
◈ 민속신앙
이 지역의 민속신앙에는 동신제, 암석신앙, 성황바위, 솟대신앙, 기우제가 있다.
 
◈ 종교
이 고장의 불교는 진감국사가 당에서 귀국후 장백사에 머물면서 활기를 찾았으며 사찰 59개소(전통 12, 일반 47)가 있다.
 
유교는 상주향교와 함창향교, 그리고 13개소의 서원이 있으나 종교의 경계로 획정하기는 어렵고, 기독교는 교회 155개소와 천주교의 성당 35개소가 있으며, 김주희가 창도한 동학이 있다.
 
 
 

1.4. 주민의 생활권역

 
◈ 상주시 중앙시장
남성동 85번지 일원으로 제일생명 빌딩 뒤편에 있다. 상주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각종 생활용품과 의류 등이 주로 거래되고 있는 상설시장이다.
 
◈ 상주시 북부시장
냉림동에 있으며 개, 염소, 닭, 토끼 등 중소가축 전용 시장이다.
 
◈ 상주시 풍물거리
남성동 85번지 일원으로 이곳은 상주 서민의 애환이 서려있는 생활상을 엿볼수 있는 상설 5일 장터(2, 7일)이다.
 
◈ 상주시 소주골목
서성동 50번지 일원으로 이 곳은 술집이 즐비한 곳으로 서민들이 애용하는 곳이다.
 
◈ 함창장
함창읍 구향리에 있으며, 전형적인 5일장(1, 6일)이다.
 
 
 

1.5. 지역의 별미음식

 
◈ 청화산 청정채소와 송어회
화북면 입석리 산 6-1번지에 있다. 땅속 208m에서 끌어올린 깨끗한 지하수로 재배되는 무공해 수경채소(국립농산물검사소의 품질인정)와 송어회는 별미중의 별미이다. △청화산영농조합법인 ☎ (054)535-5039 ◈뽕잎우리밀칼국수 지천동 317-1번지에 있다. 뽕잎은 폐질환, 근육통 등에 좋은 한약재이며, 항암과 당뇨병, 혈압강하에도 효과적이다. 우리밀에다 뽕잎가루를 넣어 만든 칼국수로 최근 개발한 전통식품이다. ☎ (054) 534-6402
 
 
 

1.6.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 상주곶감
상주는 쌀·곶감·누에고치를 예부터 생산해 오는 삼백(三白)의 고장이다. 감은 숙취에 특효약이며 칼슘이 많고 비타민C는 귤의 2배를 함유하고 있어 감기예방에 효과적이라 한다. 1700년대 식산 이만부는 상주의 감을 ‘대시기품(천하의 귀품)’이라 칭찬했다. 감을 건조시켜 만든 곶감은 당도가 뛰어나고 씨가 적으며 과질이 부드럽고 맛이 전국에서 최고이다. 생산량도 전국의 60%를 점유하고 미국, 일본, 호주로 수출되고 있다.
 
◈ 상주감식초
상주감식초는 탄닌과 비타민이 풍부한 질 좋은 상주감을 100% 원료로 하여 재래식 방법으로 발효한 알칼리성 식품이다. 피로회복, 숙취해소 및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단백질의 소화에 효과가 큰 감칠맛 나는 전통식품이다.
 
◈ 함창·이안 전통명주
누에의 본 고장 상주 함창에서 생산되는 전통명주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최고의 의류(실크, 비단, 견본)로 가볍고 따뜻하며 부드러운 질감과 다양한 색상 등 사람에게 가장 좋은 옷감이다. 천연 염료로 염색한 목도리, 스카프, 한복지, 수의, 한복 등을 생산하고 있다.
 
◈ 청화산 청정채소
속리산 문장대로 이어지는 길목인 화북면 입석리에서 땅속 208m의 깨끗한 지하수로 재배되는 수경채소이다. 국립농산물검사소의 품질인증을 받은 무공해채소로 미나리, 앤다이브, 치커리, 상추, 쑥갓, 콩나물, 뽕잎액상차 등을 생산하고 있다.
경상북도 상주시 정보
• 상주시의 역사문화자원
• 상주시의 생활문화자원
• 상주시의 예술문화자원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