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평나비대축제 10만 평의 유채꽃과 유휴농지 24만 평의 자운영꽃을 배경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개최되는 나비축제는 1999년도에 제1회를 성공적으로 치렀다. 주요행사로는 나비의 일생을 그린 나비생태관 운영, 멸종위기의 희귀나비와 곤충을 전시한 나비표본 전시관, 함평천지 한우의 우수성을 알리는 소싸움대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행사로 자연을 소재로 새롭게 시도된 생태학습 환경축제. △주관 : 함평군 나비대축제추진위원회, △기간 : 5월 초순 △장소 : 함평천광장, 군민복지회관
◈ 함평문화제 매년 10월 중에 개최되는 이 행사는 초·중·고교생 문예작품공모전, 한시백일장, 향토문화논단, 향토작가초대전, 전국남녀시조경창대회 등의 행사를 펼친다. △주관 : 함평문화원 △기간 : 10월 20∼23일 △장소 : 함평군민복지회관
◈ 기산제 함평의 영산 기산에 제를 올리는 행사이다.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행사였으나 일제강점기시 잠시 중단되어 그 맥이 끊겼다가 1984년 복원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90년대 초반 상수도 집하장 공사를 하려고 기산봉우리를 파헤친 적이 있는데 공사기간이었던 3개월 동안 군민 27명이 아무런 이유 없이 죽어나가는 불상사가 있었다. 그 후부터는 더욱 신령스럽게 제를 모시고 있다. 현재 군민의 날 전야제 행사 중의 하나로 치러진다.
◈ 국악협회 함평군지부 함평군 함평읍 함평리 154-1번지 군민회관 내 ☎ (061)322-9990
◈ 기산영수제전승보존회 함평군군사 편찬위원회 사무실을 이용하였으나 현재는 따로 사무실이 없음. ☎ (061)322-2952
◈ 대한시우회 함평군지회 회원수 33명. 매년 전국시조경창대회를 열며, 그 저변확대를 위해 노인복지회관에서 함평장날 교습을 함. 함평군 함평읍 함평리 154-1번지 군민회관 내 (함평문화원사무실이용) ☎ (061)322-1041
◈ 함평문림회 함평읍 내교리268 ☎ (061)322-2043
◈ 함평군향토사연구회 향토사에 관심이 많은 회원 27명이 모여 문화유적순례답사, 고문서번역사업, 향토문화강좌 등의 일을 하고 있음. 나산면 삼축리321-1번지 ☎ (061)322-8301
◈ 샛별문학회 1977년 4월 김철수, 김창훈 등 이고장 출신의 젊은 문학동호인들의 발의로 샛별문학회가 결성되었다. 그후 장족의 발전을 거듭하는데 현재 전국적인 회원망을 확보하고 있으며 함평읍 기각리 784-6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함평 문학동호인들의 구심체역할을 하고 있는 단체 중의 한곳이다. ☎ (061)322-0203
◈ 함평군민의 상(문화교육부문) 향토문화교육에 공이 있는 분에게 매년 군민의 날에 시상, 현재까지 19명이 수상하였음.
◈ 신호열 한학의 대가로 한문서예에 능통하였으며 그의 글씨는 서울 남산공원의 안중근의사 기념비, 광주공원의 함평출신 의병장 심남일 기념비 등에 새겨져 있다.
◈ 이학 한글서예의 선구자라고 불리며 여성으로서는 최고의 영예인 신사임당상도 수상
◈ 서희환 1960년대 말엽에 국전사상 처음으로 대통령상을 받았으며 국전심사위원장,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위원, 예술의전당 자문위원 등을 역임.
◈ 안동숙 한국화 가운데 창의적인 동물을 통한 추상화를 즐겨 그리는 남종화 화풍의 원로이다.
◈ 기성가(箕城歌) 나산면 삼축리 출신의 박봉혁이 38세 되던 1874년에 지은 것으로 함평의 여러 마을에 대한 충효와 경관을 노래한 것으로 풍수지리에 연계한 유교적 사상을 근간으로 만들어졌다. 함평의 52개 마을, 54명의 인물, 그리고 14개의 산과 18점의 유적 유물이 소개된 가사 부피만도 2백여구에 달하는 대작이다. 따라서 기성가를 외우면 함평의 역사를 배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함평의 절경을 예찬한 함산가 함산가는 1821년부터 1823년까지 함평현감을 지냈던 권복이 지은 7언귀의 한시이다. 이시는 당시 동헌으로 사용되던 녹죽당에 현판으로 걸려 있어서 군민들에게 애송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판은 없어지고 1907년 간행된 군지의 제영조에 수록됨으로서 현재까지 전해오고 있다.
湖南從古說名區 先敎咸平第一州 佳景箕山臨潁水 靈刹龍泉傍君遊 縣東七面士冀北 家家讀書克明德 縣西往往出奇才 中白雪生顔色 走筆慢成咸山歌 咸山不老靑萬古
◈ 호남가 호남지방의 지명을 따라 풍경을 노래한 비교적 세상에 널리 알려진 옛 가요이다. 특히 노래의 첫머리에 나오는 함평천지로 인해 함평인들에게는 꽤나 친숙한 노래이다.
‘함평천지 늙은 몸이 광주고향을 보랴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