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충청남도 예산군 정보
◈ 예산군의 어제와 오늘
1. 어제와 오늘
 
 
 
예산군은 충청남도 북서부지역에 위치하는데 도로망으로 보아 예산읍이 중심이 되어 온양(아산)방면, 당진방면, 서산방면, 홍성방면, 공주방면, 청양방면 등 여섯갈래의 교통로가 펼쳐져 있어서 충남 북서부지역 도로교통의 중심적, 분기점적 역할을 함으로써 충남고속, 한양고속 등 충남 도내를 운행하는 시외버스 본사가 예산읍에 위치하고 철도는 장항선이 통과하여 예산역, 삽교역, 신례원역 등 3개역이 군내(郡內)에 설치됨으로써 도로교통과 연결짓고 있다.
예산군은 오산(烏山), 고산(孤山)등의 옛이름을 가진 예산(禮山)과 금물(今勿), 덕풍(德豊) 등 옛 이름을 가진 덕산(德山) 그리고 임존성(任存城)이란 옛이름을 가진 대흥(大興) 등 세 지역이 합하여 이루어진 고을로서 삼국시대 이래로 오랜 역사와 전통이 아로새겨져 있는 고장이다.
동쪽에는 차령산맥(車嶺山脈)이, 서북쪽에는 가야산맥(伽倻山脈)이 뻗어내려 울을 둘렀고 금마천(金馬川), 무한천(無限川)이 삽교천(揷橋川)으로 흘러들면서 그 사이의 기름진 평야를 적셔주는 곳이다.
예산은 이같이 역사 깊고 아름다운 고장이라 역대를 통하여 숱한 인물들과의 인연을 찾아볼 수 있으니 “이야말로 ‘땅과 사람이 서로 만나 더욱 빛난다(地人相得)’는 옛사람의 말 그대로인 것이다”라고 노산(鷺山) 이은상(李殷相)은 예찬(禮讚)하였다.
말해서 차령과 가야 봉수산(鳳首山)과 오석산(烏石山) 어느 산과 내인들 선조의 혈맥으로 지켜오지 않은 곳이 없으며 또 어느 골짝 골짝인들 선현(先賢)의 숨결이 스며들지 않은 곳이 없다. 이러한 인맥(人脈)과 지맥(地脈)을 따라 면면히 이어져온 나라 걱정하는 충(忠), 부모 걱정하는 효(孝), 우애(友愛)를 섬기는 의(義), 내집 걱정하는 정렬(貞烈)은 이 고을의 조상과 명현의 유지(遺志)가 깃든 맥(脈)이요, 전통적인 정신이기도 하다.
 
<예산군 연표>
시 대
연 대
주 요 사 항
 
백제
18~660
오산현, 임존성 일명 금주, 지분촌, 지삼촌, 마시산군과 금물현
 
통일신라
후삼국
660~918
고산현, 임성군 후백제에 속함. 마시산군을 이산군으로 고침. 금물현을 금무현으로 고침. 후백제에 속함
 
고려
918~1392
태조 2년 예산현으로 개명. 임성군을 대흥군으로 고침. 금무현을 덕풍현으로 고침
 
조선
1392~1910
고종 33년(1896)예산군으로 개편. 고종 33년 대홍군으로 개편. 태종 5년 이산군과 덕풍현을 병합하여 덕산으로 개칭. 고종 33년 덕산군으로 개편
 
근대
1910~1945
1914년 예산군, 대흥관, 덕산군이 통합되어 예산군으로 개편, 1917년에 예산군 임성면을 예산면으로 고치고 1940년에 예산면을 예산읍으로 승격시킴.
 
현대
 
 
 
1973년 7월 1일 대통령 제6543호에 의거 삽교면이 읍으로 승격하여 예산군은 2읍 10면이 됨.
 
 
 
1983년 오가면 효림리 일부와 월곡리 일부를 병합하여 월산리로 개편하고 좌방리 일부를 방아리로 하여 효림리, 월산리, 방아리를 삽교읍에 편입함
 
 
 
 
 
 
 
 
 
2.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지명유래 오늘의 예산이란 이름은 고려 태조(太祖)에 의해 처음 등장하게 된다. 의자왕 20년(660)에 백제가 멸망한 후 부흥운동이 계속된 3년 동안 부흥운동지역은 초토화되었으며 그러한 전란 속에 당시의 예산은 고려 태조 왕건과 후백제 견훤의 전략틈새에서 완충지대였으리라 추측된다. 후백제의 주 방어선은 대흥임존성이었고 예산의 오산성은 이렇다할 전투 없이 왕건의 세력권에 들어가 버렸기 때문이다.
태조 2년(919)에 왕건은 당시의 고산현(孤山縣)을 예산현(禮山縣)이라 개명하고 대상(大相 : 大相府의 벼슬) 홍유와 애선을 보내서 덕과 예절이 바른 유민 500호를 안주시켰다. 이때부터 예절이 바른 유민을 뜻하는 예(禮)자와 고산성의 산(山)자를 따서 예산(禮山)이라 칭한 것이다.
『삼국사기』 권 제36 잡지 제5 지리3에 백제의 오산현(烏山縣)을 통일신라의 제35대 경덕왕(景德王) 16년(757)에 고산현(孤山縣)으로 개명하였다가 고려 태조 2년에 예산으로 바뀌었다고 기록되었다.
『동국여지승람』에 본래 예산은 백제의 오산현이었으나 신라에서 고산으로 고쳤으며 고려 태조 2년에 지금의 이름(예산)으로 고쳤다고 기록되어 있다.
 
◈백제 최후의 항전지 대흥임존성 조국 백제를 다시 일으키기 위한 부흥군의 몸부림을 여기저기서 볼 수 있는 곳이 임존성이다. 예산군 대흥면 상중리와 광시면 동산리에 걸쳐 봉수산 동쪽의 능선과 남쪽의 계곡을 둘러 쌓았으며 둘레는 2,588m, 성곽 내부의 넓이는 937,686㎡이다. 성벽의 구조는 테뫼식 석축산성으로 높이 2.6m∼4.2m, 상부폭 약 1.6m이다. 백제시대 또는 마한 시대에 축성했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백제의 도성인 사비성이 함락당한 후에는 부흥운동의 거점으로 복신(福信), 도침(道琛), 흑치상지(黑齒常之), 지수신(遲受信) 등이 나라를 되찾기 위해 신라와 당군에 대항하여 최후의 항전을 벌였던 곳이다.
 
 
 
대흥임존성
◈이성만 형제의 효성 이성만은 고려 말 조선 초기에 대흥호장(大興戶長)을 지냈던 사람으로 조선 건국의 이념인 유교적 통치를 정착시키기 위한 정책적 배려로 역사의 기록에 남게 된 인물이다. 호장이란 향직(鄕職)의 우두머리로서 고려시대에는 지방의 토호적 대우로 상당한 세력을 가졌으나 조선시대에 와서 중앙집권체제가 발달하면서 그 지체가 수령의 밑에 있는 아전으로 낮아졌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대흥현조에는 ‘효자 이성만이 그 아우 순과 더불어 지극한 효성이 있어, 부모가 돌아가시자 성만은 아버지의 분묘를 지키고 순은 어머니의 분묘를 지키면서 각각 애통과 경근을 다하였으며 아침에는 아우가 형의 집으로 가고 저녁에는 형이 아우의 집을 찾았으며 한가지의 음식이 생겨도 서로 모여 만나지 않으면 먹지 않았으니 이 사실이 임금에까지 알려져 정문을 세워 표창하였다’라고 적혀있다.
우애비는 1418년 지신사(知申事) 하연의 주청에 의하여 세워졌다. 본래 이 비는 가방교(괴벵이다리) 남서쪽 50m지점에 있었으나 대흥면사무소 근처로 이전하여 옛 대흥현 동헌 앞에 세워져있다. 규모는 높이 203㎝, 폭 43.5㎝, 두께 25㎝의 화강암 재질이며 173자가 기록되어 있다.
이성만, 이순 형제의 이야기는 「의좋은 형제」란 이름으로 이 고장에 전해져 내려오며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실려오고 있다.
1973년 가방교 부근 수몰지역에 묻혀있던 우애비가 발견되어 『신중동국여지승람』의 기록이 사실이었음을 입증했다.
 
 
 
예산 이성만형제 효제비
◈덕산온천과 학(鶴) 예산군 덕산면에는 국내에서 유수한 천연 온천수로 너무나도 잘 알려진 온천이 숙박시설을 갖추고 여럿이 있다.
조선시대의 대 유학자인 율곡 이이 선생의 저서 『충보(忠寶)』에 기록된 이곳 온천의 유래를 살펴보면 재미있고 흥미로운 기록이 있다. 서기 1500년경 이곳 황금들판 한복판 논 가운데에 아름다운 학(鶴) 한 마리가 고고히 서서 하나의 화폭을 이루어 오고가는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다. 이 한 마리의 외로운 학이 온종일 날아갈 줄을 모르고 서서 있기만 한 것을 이상하게 여긴 마을 사람들이 가까이 가본 즉 그 학은 날개와 다리에 상처를 입고 그 상처에 논의 물을 열심히 찍어 바르기에 여념이 없더니 그러던 얼마 후에 이 학은 상처가 깨끗이 아물어 멀리 날아가 버렸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기이하게 여기고 학이 앉았던 곳에 가보니 덥고도 매끄러운 물이 솟아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고 이를 신기하게 여긴 마을사람들이 상처가 난 곳에 이 물을 발라보니 정말 이상하게도 상처가 나았다. 그후부터 이곳을 가리켜 온천골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병 치료로 쓰이는 이 물을 약수(藥水)라고 여겨왔다.
이곳은 그 이후에도 그저 좋은 약수터로만 알려져 오다가 조선말엽 순조 임금 때부터는 더욱 널리 알려져서 전국 각처에서 수많은 피부병, 위장병, 신경통 환자들이 모여들어 이곳에 초막을 치고 목욕을 하고 물을 마시기도 해서 치료를 해왔다고 한다.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김정희(金正喜, 1786∼1856) 추사 김정희선생은 정조 10년(1786) 음력 6월 3일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799-2번지(현 추사고택)에서 태어나 글씨, 그림, 금석학에 능통했던 실학사상의 선구자이다. 또한 그 당시 양반층의 실학사상을 중인층으로 넘어가게 함으로써 실학사상은 그 이후 개화운동과 연결을 짓게 되었다. 그림은 죽란(竹蘭)과 산수(山水)를 그려 사실(寫實)보다는 품격(品格)을 위주로 했고 금석학(金石學)은 종래에 승(僧) 무학의 비석이라 전해지고 있던 서울 북한산의 비석이 신라 진흥왕(眞興王)의 순수비(巡狩碑)임을 고증할 정도였다. 특히 글씨는 역대(歷代)의 명필들을 연구하고 그 중에서 장점만을 추려모아 독특한 추사체(秋史體)를 창안(創案)해 서양화가 피카소를 능가하는 동양의 예술가로 인정받고 있는 예산의 인물이다.
 
 
 
추사 김정희 영정
◈윤봉길(尹奉吉, 1908∼1932) 매헌 윤봉길 의사는 1908년 6월21일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78번지(현 매헌 윤봉길 의사 도중도 생가)에서 태어났다. 21세부터 독서회와 월례계몽강연회를 개최하고 야학 월진회 조직 등으로 민족정신 앙양과 농촌계몽운동에 심혈을 기울였다.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자 1930년 2월 7일 망명길에 올라 1932년 4월 29일 상해 홍구공원(현 노신공원)에서 개최된 일제의 천장절 기념 및 상해사변 전승기념 축하식장을 폭파하는 대의거를 거사(擧事)해 거류민단장과 상해사령관 백천대장이 죽고 일본 수뇌급 수십명이 중상을 입었다. 거사 후 현장에서 체포되고 향년 25세의 젊은 나이로 순국했다.
 
 
 
매헌 윤봉길 의사
내 고장의 문화유산
■국보
◈수덕사 대웅전 제49호, 덕산면 사천리 산4-1
 
■보물
◈예산 삽교 석조보살입상 제508호, 삽교읍 신리 산16
 
◈예산 김정희 종가유물 제547호, 신암면 용궁리 789(국립중앙박물관보관)
 
◈윤봉길의사 유품 제568호, 덕산면 시량리 139 충의사
 
◈예산 화전리 사면석불 제794호, 봉산면 화전리 61
 
◈수덕사 노사나불괘불정 제1263호, 덕산면 사천리 산20
 
■사적
◈대흥임존성 제90호, 대흥면 상중리 산8
 
◈매헌 윤봉길의사 사적지 제229호, 덕산면 시량리 산40-1
 
■천연기념물
◈예산의 백송 제106호, 신암면 용궁리 산73-28
 
■중요민속자료
◈보부상유품 제30호, 덕산면 읍내리 350(덕산면사무소 보관)
 
◈남은들상여 제31호, 덕산면 광천리
 
◈예산정동호가옥 제191호, 고덕면 오추리 568
 
■유형문화재(이하 도지정)
◈김정희선생고택<안채·사랑채> 제43호, 신암면 용궁리 799-2
 
◈김정희선생유물<혼서지·생원시권·농상실 > 제44호, 신암면 용궁리 799-2
 
◈화순옹주홍문 제45호, 신암면 용궁리 799-2
 
◈이남규선생고택 제68호, 대술면 상항리
 
◈예산상항리석불 제69호, 대술면 상항리 332-2
 
◈이광임선생고택 제83호, 대술면 방산리 344
 
◈예산 이성만형제 효제비 제102호, 대흥면 동서리 106-2
 
◈수덕사 3층석탑 제103호, 덕산면 사천리 수덕사
 
◈전일상영정및한유도 제127호, 고덕면 호음리 22
 
◈보덕사극락전 제145호, 덕산면 상가리 277
 
■무형문화재
◈소목장 제18호, 덕산면 읍내리 226
 
■기념물
◈김정희선생유적 제24호, 신암면 용궁리 799외 13필
 
◈최익현선생묘 제29호, 광시면 관음리 산21
 
◈예산산성 제30호, 예산읍 산성리
 
◈예산 호서은행 본점 제66호, 예산읍 예산리 482
 
◈남연군의묘 제80호, 덕산면 상가리 산5-28
 
◈도응선생묘일원 제90호, 응봉면 지석리 산141-16외 1필
 
◈이응로선생사적지 제103호, 덕산면 사천리 산41
 
◈대흥향교 제136호, 대흥면 교촌리 538
 
◈덕산향교 제137호, 덕산면 사동리 121
 
◈예산향교 제138호, 예산읍 향천리 132-1
※이밖에 문화재자료로서 향천사 천불전, 향천사 9층탑 등 27점이 있다.
 
◈수덕사 대웅전(국보 제49호)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건물로서 부석사 무량수전과 쌍벽을 이루는 법당건물이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34년(1308)에 건립하였다. 정면 3칸, 측면 4칸으로 형태가 장중하고, 수법이 견실하고 치밀하며 내부에 그려져 있던 벽화는 고려시대의 벽화로서 1937년부터 실시된 수덕사 대웅전 해체수리공사 중 발견되었다. 실물은 6·25동란으로 인하여 파괴되고 현재는 당시 임천(林泉)이 그린 모사도(模寫圖)의 일부만이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이 벽화들은 수덕사 대웅전 수리시 발견된 묵서명 「至大元戊申四月十七日立柱」에 의하여 1308년에 그려진 것을 알 수 있는데, 부석사 조사당벽화 외에는 고려시대의 벽화가 현존하지 않는 현재로서는 모사도이긴 하지만 당시 사원벽화(寺院壁畵)의 양상을 단편적으로나마 알려준다. 섬세한 구성과 정교한 묘사, 능란한 필치 등 고려시대 사원벽화의 우수한 양식을 잘 보여주는 벽화이다.<자료제공 : 수덕사 근역성보관(槿域聖寶館)>
 
 
 
수덕사 대웅전
◈예산 화전리 사면석불(보물 제794호) 백제 무왕(武王, 600∼640)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사면불(四面佛)은 동서남북의 방위에 따라 사방정토(四方淨土), 아미타불(阿彌陀佛), 석가불(釋迦佛), 미륵불(彌勒佛)로 이루어진다. 이 불상(佛像)의 위치는 태안반도의 가장 동쪽에서 북류(北流)하는 가장 큰 하천인 삽교천의 서북쪽 지류인 대천(大川)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사실과 이 불상의 특징인 광배(光背)에 조각된 불꽃무늬는 불상이 위치한 곳이 당시 백제의 해상세력의 발진(發進)기지였다는 것을 추정(推定)토록 하는 표상(表象)이라고 인식하는 견해가 있으며 사람 키 이상의 크기를 가진 거대한 규모의 불상 제작은 백제의 수도가 있던 부여나 공주 어디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니, 실제로 백제문화의 중심지는 백제의 수도가 있던 부여나 공주지역이 아니고 백제 해상세력의 근거지가 되고있던 이 내포지역(內浦地域)이었다는 사실이 이로써 증명된다.
 
 
 
 
 
 
3. 생활문화자원
 
지역의 별미음식
◈산채정식 △그때그집 ☎ (041)337-6633 △중앙식당 ☎ (041)337-6677 △수덕식당 ☎ (041) 337-6022 △한일식당 ☎ (041)337-6050 △수덕골미락 ☎ (041)337-0606 △솔밭식당 ☎ (041) 337-6047
 
◈장어구이 △줄포회관 ☎ (041)333-9000 △금강식당 ☎ (041)335-2731
 
◈전통갈비 △소복갈비 ☎ (041)335-2401 △삼우갈비 ☎ (041)335-6230 △호서갈비 ☎ (041) 335-5604
 
◈매운탕 △황금연못 ☎ (041)335-7928 △돌고래회관 ☎ 332-2540 △서하가든 ☎ (041)332-0102 △산머루가든 ☎ (041)334-9235 △양어장가든 ☎ (041)335-4853 △예당가든 ☎ (041)333-4473 △소나무가든 ☎ (041)332-0458 △호반식당 ☎ (041)332-0121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황금쌀 예당호의 맑은 물과 황금벌판의 땅에서 생산된 밥맛 좋은 우수한 양질미
 
◈사과잼 잼은 과육이 65% 이상 농축되었으며 화학적 첨가제와 응고제가 전혀 들어있지 않은 국내 최고급 자연식 잼
 
 
 
황금쌀과 사과잼
◈창소쪽파 양념류의 필수식품이다. 매운맛에 열을 내는 식품이고 냉이 많은 사람에게 좋고 류마티스, 신경통, 관절염, 감기 등에 효과가 있다.
 
◈꽈리고추 일반채소의 성분에 없는 캠사신을 비롯하여 비타민 A와 비타민 C가 함유되었다.
 
◈팽이버섯 완전무공해 환경에서만 재배
※구입안내 : 예산군청 산업과 ☎ (041)330-2381
 
 
 
 
 
 
4. 예술문화자원
 
지역문화예술행사
◈대보름축제 △주최 : 예산문화원 △주관 : 예산군 문화예술단체 △개최시기 정월대보름
 
◈매헌문화제 [상세정보] △주최 : 월진회 △주관 : 예산군내 각단체 △개최시기 : 4월29일
 
◈백제부흥군축제 △주최·주관 : 예산문화원 △개최시기 : 6~7월
 
◈추사문화제 △주최 : 예산문화원 △주관 : 문화단체 및 협력기관 △개최시기 : 10월 첫 일요일
 
지역문화예술단체
◈예총예산지부 예산읍 예산리 593-12 ☎ (041)333-4156, E-mail:yesan200@piamail.net, FAX (041)333-3776
 
◈풍물패 아사달 예산군 예산읍 예산리 440-4 (3층 책마당 내) ☎ (041) 332-6161 (회장 : 우제풍 011-421-3125), 홈페이지 www.yesan.org
 
◈책마당 예산군 예산읍 예산리 440∼4(3층) ☎ (041)332-6161 FAX : (041)334-3996, 홈페이지 www.yesan.org
 
◈민족음악원 예산군 예산읍 오가면 양막리 71-5 ☎ (041)333-3777 FAX : (041)333-3776, 홈페이지 www.leekwangsoo.com
 
 
 
민족음악원 공연장면
지역언론기관
◈예산신문(발행처 : 예산신문사, 월요판) 예산읍 예산리 406-3 ☎ (041)333-8181, FAX : (041) 332-3781
 
◈예산소식(발행처 : 예산군, 화요판) 예산읍 예산리 600 ☎ (041)332-2114, (교) FAX : (041)330-2699 www.yesan.chungnam.kr
 
◈충남케이블TV 예산방송 예산군 예산읍 예산리 406-3 ☎ (041)333-8181, FAX: (041) 332-3781
 
◈무한신문(발행처 : 무한정보신문사, 월요판) 예산읍 예산리182 ☎(041)331-5000~1, FAX : (041)335-9116, E-mail : moohan2@kornet.net
 
지역출신 예술인
◈방인근(方仁根) 소설가 1900년 예산읍 금오산 아래 사직동(예산리 3구)에서 태어나 1933년 일본 중앙대(中央大)를 졸업. 문예지(文藝誌) 『조선문단(朝鮮文壇)』을 발간하는 등 신문학 개척에 공이 크며 대표작으로는 「마도(魔都)의 향불」, 「새벽길」 등이 있다. 1975년 1월 1일 새벽 3시 30분 서울 성북구 신장위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76세.
 
◈이응로(李應魯) 화가 1904년 1월 12일 출생, 16세부터 서화를 사사받기 시작하여 조선미술전에서 21세에 입선, 28세에 특선과 이왕직상 수상으로 그의 작품세계가 인정을 받아 동양화로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하였으며 1969년 예산의 수덕여관에서 요양생활을 하는 동안 수덕사 초입(初入) 바윗돌에 암각화를 제작함으로써 불멸의 문화재(기념물 제103호)를 남겼다. 1989년 파리 보인병원에서 심장마비로 별세, 향년 86세.
 
지역소재 예술작품
◈분례기(糞禮記) 방영웅(方榮雄, 예산읍 신흥동 출생) 장편소설. 예산읍내에 실존했던 미천(微賤)한 인물들인 「콩조지」와 「미친년」 그리고 「허바람이」 사이에 펼쳐지는 역경과 미담을 엮은 작품
 
 
 
 
 
5. 관광, 여가문화자원
 
관광자원
◈추사고택(신암면 용궁리) 길고도 먼 유배생활의 아픈 시름을 감싸주던 오석산 선영 아래의 고택에 들어서면 서예사상 지고의 경지와 금석학 실학의 대가인 추사 선생의 체취가 몸에 와 닿는다.
 
 
 
추사고택
◈수덕사(덕산면 사천리) 백제문화 향기 그윽하고 유서깊은 호서의 소금강인 덕숭산의 수덕사는 우거진 숲과 아름다운 경관으로 신비 묘경을 이루며, 유서깊은 선사들의 수도장으로 아름답고 정취깊은 곳이다.
 
◈남연군묘(덕산면 상가리) 조선 고종의 생부 흥선대원군의 부친인 남연군의 묘이다. 2대에 걸쳐 왕위에 오를 수 있는 묘자리라는 지관의 말을 믿고 그의 부친인 남연군의 묘를 이곳에 이장하고 그후 고종이 탄생하였고 왕위에 등극하였다.
 
◈충의사(덕산면 시량리) 장부출가 생불환이란 비장한 유서를 남기고 혈혈단신으로 망명, 구국의 일념으로 젊은 생애를 바친 숭고한 윤봉길의사의 영혼을 기린 이곳 「충의사우」, 다시한번 의사의 위대한 업적과 살신성인의 애국충절에 님을 추모하는 마음 간절하다.
 
 
 
충의사
◈임존성 (대흥면 상중리) 백제유민의 충혼이 서려있는 옛성터 임존성에서 바라보는 예당호의 아름다움은 말할것도 없거니와 서해바다의 북쪽 삽교천호, 기름진 광야 등 내포지방의 조망은 깊은 유서와 더불어 가히 절경을 이룬다.
 
◈예당관광지(대흥면, 응봉면일대) 전국에서도 우수한 밀도 높은 담수어 서식지가 되어 국내 제일의 낚시터로 손꼽히는 예당호는 마치 아름다운 그림 같은 경관을 이루며 수려한 임존성산이 이에 변화를 더하여 준다.
 
관광코스
◈서부코스 추사고택 → 충의사 → 수덕사 → 남연군묘 → 예산 화전리 사면석불
 
◈동부코스 이광임고택 → 이남규고택 → 강민첨장군묘 → 조익선생묘 → 대흥향교 → 예산 이성만형제효제비→ 예당관광지
 
◈산행코스 대흥임존성(도보 및 승용차)
 
관광안내·문화원
◈예산문화원 충남 예산군 예산읍 예산리 433 ☎ (041) 335-2441, 333-2441 원장 이지호
충청남도 예산군 정보
• 예산군의 어제와 오늘
• 예산군의 역사문화자원
(2005.06.03. 01:02)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