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충주시 충청북도 충주시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충청북도 충주시 정보
◈ 충주시의 역사문화자원
◈ 역사적 사건과 현장 - 한반도의 중심 고을, 몽고항쟁과 충주성전투, 신립 장군과 탄금대의 전투, 충주댐 건설 / ◈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우륵(于勒, 생몰년 미상), 강수(强首, ?∼692), 김생(金生, 711∼791), 신립(申砬, 1546∼1592), 임경업(林慶業, 1594∼1646)
목   차
[숨기기]
 

1. 역사문화자원

 
 

1.1. 역사적 사건과 현장

 
◈ 한반도의 중심 고을
남한강변을 끼고 발달한 충주는 이 지역이 사람들이 살기에 알맞은 인문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일찍이 석기시대부터 사람들이 생활했던 흔적들이 발견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 이르러 백제가 먼저 이 지역을 차지하였고 5세기경 고구려 장수왕의 적극적인 남진 정책으로 고구려의 영토가 되어 국원성(國原城)으로 불렀고 이를 기념하여 가금면 용전리에 한반도에 유일한 중원고구려비를 세웠다. 그 뒤 6세기 중엽 신라 진흥왕의 북진정책으로 충주는 신라의 영토가 되어 경덕왕 때에 신라의 중앙임을 표방하여 중원경이라 칭하고 문성왕 때에 나라의 중앙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가금면 탑평리에 7층석탑(중앙탑)을 세웠다.
 
◈ 몽고항쟁과 충주성전투
고려 고종 40년(1253) 몽고군이 침입하였을 때 김윤후(金允侯) 장군 등이 충주성 싸움에서 70여일의 항전 끝에 적을 크게 물리쳤으니 이는 김윤후의 뛰어난 지휘력과 충주민들의 강인한 항전의지의 결과였으며 이 공으로 충주는 국원경으로 승격되었다.
 
◈ 신립 장군과 탄금대의 전투
임진왜란 당시 8도 도순변사 신립(申砬)장군이 휘하 장병 8천여명을 거느리고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치고 왜장 소서행장이 이끄는 왜적을 맞아 격전 끝에 장렬히 순국하였다.
 
◈ 충주댐 건설
1980년에 착공하여 1985년에 완공한 충주댐은 국내 최대 규모의 콘크리트 중력댐으로 총 저수량이 27억 5000만톤이며 만수위 때의 수면 면적이 97㎢로 우리 나라 최대의 담수호를 이룬다.
 
 
 

1.2.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우륵(于勒, 생몰년 미상)
우륵은 박연, 왕산악과 함께 우리 나라 3대 악성으로 추앙받고 있다. 우륵은 가야국의 성열현(省熱懸) 사람으로 가실왕의 명으로 가야금 12곡을 지었다. 대가야국이 멸망하기 11년 전인 진흥왕 12년(551)에 가야금을 가지고 신라로 귀화하였다. 진흥왕 13년, 왕은 우륵을 국원(國原, 지금은 충주)에 머물게 하고 계고(階古), 만덕(萬德), 법지(法知) 등 세 사람을 보내 그의 업을 전수하게 하였는데 계고에게는 가야금을, 법지에게는 노래를, 만덕에게는 춤을 각각 가르쳤다. 우륵은 탄금대에서 가야금에 전념하였다 한다.
 
◈ 강수(强首, ?∼692)
통일신라 초기의 유학자이자 대문장가로서 태종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3대에 걸친 문신으로 특히 외교 문서 작성에 능란하였다. 신라가 삼국 통일을 한 뒤에 논공행상을 할 때 그는 외교 문서로써 삼국통일에 큰 공을 세웠다고 하여 사찬의 관등과 세조 2백석을 증봉받았다.
 
◈ 김생(金生, 711∼791)
통일신라 시대의 서예가로 예서, 행서, 초서가 모두 입신의 경지였다. 왕희지를 능가하는 전무후무한 서예의 대가였다. 그의 유일한 서첩으로 「전유암산가서」가 있으며 특히 「여산폭포시」는 힘이 넘치는 필적이다. 충주시 금가면 유송리에 김생이 살았다는 김생사지가 있다.
 
◈ 신립(申砬, 1546∼1592)
조선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팔도도순변사로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치고 왜적을 막아 싸우다 47세의 나이로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영의정에 추증되고 충장(忠壯)이라 시호하였다.
 
◈ 임경업(林慶業, 1594∼1646)
조선 중기의 명장으로 병자호란 당시 백마산성을 지킨 북벌의 명장이었다. 친명반청의 사회분위기와 함께 우국충정에 뛰어난 충신이요 무장이었으나 심기원사건으로 연루되어 숨지고 말았다.
 
충주시 단월동에 소재한 장군의 사당 충렬사는 사적 제189호로 지정되어 있다.
 
 
 

1.3. 내 고장의 문화유산

 
■ 국보
 
◈ 중원 탑평리 7층석탑(중앙탑) - 제6호
 
◈ 청룡사 보각국사 정혜원탑 - 제197호
 
◈ 중원고구려비 - 제205호
 
 
■ 보물
 
◈ 억정사 대지국사비 - 제16호
 
◈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 - 제17호
 
◈ 중원 미륵리 5층석탑 - 제95호
 
◈ 중원 미륵리 석불입상 - 제96호
 
◈ 충주 철불좌상 - 제98호
 
◈ 단호사 철불좌상 - 제512호
 
◈ 청룡사 보각국사 정혜원 융탑전 사자석등 - 제656호
 
◈ 청룡사 보각국사 정혜원 융탑비 - 제658호
 
 
■ 사적
 
◈ 임충민공 충렬사 - 제189호
 
◈ 중원 미륵리사지 - 제317호
 
◈ 충주 장미산성 - 제400호
 
 
■ 중요무형문화재
 
◈ 택견 - 제76호
 
 
■ 중요민속자료
 
◈ 중원 윤민걸가옥 - 제135호 충청북도지정문화재
 
 
■ 유형문화재
 
◈ 경종대왕 태실 - 제6호
 
◈ 중원 창동5층 석탑 - 제8호
 
◈ 중원 원평리 미륵석불 - 제18호
 
◈ 중원 미륵리 석등 - 제19호
 
◈ 중원 백운암 철불좌상 - 제21호
 
◈ 중원 미륵리3층석탑 - 제33호
 
◈ 충주향교 - 제57호
 
◈ 중강공 이상급 신도비 - 제63호
 
◈ 충주 청녕헌 - 제66호
 
◈ 충주 제금당 - 제67호
 
◈ 충주 축성사적비 - 제68호
 
◈ 충주 단호사3층석탑 - 제69호
 
◈ 중원 창동 마애불 - 제76호
 
◈ 최함월 고택 - 제87호
 
◈ 중원 봉황리 마애불상군 - 제131호
 
◈ 함흥판본 삼탄집 - 제137호
 
◈ 오갑사지 석불좌상 - 제144호
 
◈ 이수일진무공신록권 및 영정 - 제178호
 
◈ 충민공 임경업 영정 - 제179호
 
◈ 충경공 유백증 영정 - 제180호
 
 
■ 무형문화재
 
◈ 중원 청명주 - 제2호
 
◈ 중원 마수리농요 - 제5호
 
 
■ 기념물
 
◈ 충주탄금대 - 제4호
 
◈ 충무공이수일장군묘소 - 제21호
 
◈ 박팽년사우 - 제27호
 
◈ 충주산성 - 제31호
 
◈ 중원 누암리 고분군 - 제36호
 
◈ 임경업장군 묘소 - 제67호
 
◈ 중원 문주리와요지 - 제81호
 
◈ 중원 미륵리도요지 - 제100호
 
◈ 충주 대림산성 - 제110호
 
 
■ 민속자료
 
◈ 충주 영모사 - 제19호
 
※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국보 제102호)과 정토사홍법국사실상탑비(보물 제359호)는 동량면 하천리에 있던 것을 일제의 문화재 이관으로 경복궁에 옮겨져있으며 상모면의 주정산봉수를 도지정문화재로 지정예고하고 동량면 조동리 선사유적을 국가지정문화재(사적)로 신청중에 있다.
 
◈ 자양금(거문고) - 제9호
충청북도 충주시 정보
• 충주시의 어제와 오늘
• 충주시의 역사문화자원
• 충주시의 생활문화자원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