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충주시 충청북도 충주시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충청북도 충주시 정보
◈ 충주시의 생활문화자원
◈ 전통생활민속 - 중원 마수리농요(탄금대 방아타령), 목계별신제, 양진명소 오룡굿 / ◈ 구전설화 - 미륵리 석불입상에 얽힌 전설, 국망산(國望山), 국사봉(國事峰), 신립 장군과 열두대 / ◈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 사과하면 충주, 중원청명주, 두레촌 엿, 천등산박달주
목   차
[숨기기]
 

1. 생활문화자원

 
 

1.1. 전통생활민속

 
◈ 중원 마수리농요(탄금대 방아타령)
충주 지방에서 옛부터 조상들이 농사를 지을 때 풍년을 기원하며 부르던 노래로 일제말기부터 그 자체가 차차 잊혀져 가던 것을 1970년대에 신니면 마수리 마제마을에 의해 재연됨으로써 보존되게 되었다. 마수리농요의 선율은 충북만의 독특한 맛을 보여주고 있는데, 절우자, 아라성, 긴방아, 중거리방아, 자진방아, 어화금실대허리야, 여성 노작요인 진방아, 중거리방아, 자진방아, 갈뜯는 노래로 구성되며 약 60여명의 마을 사람들이 참여한다.
 
1972년도에 탄금대방아타령이라는 이름으로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 목계별신제
남한강 상류에 위치한 목계는 옛날에는 한강을 이용한 수운의 내륙항으로서 교통의 중심지였고 교역이 활발했던 큰 시장이 있던 곳으로 이곳의 주산인 부용산 아래 성황신을 모신 부흥당이 있어 별신제가 크게 거행되었던 곳이다.
 
이 별신제는 조선의 옛 풍습으로 민중적 연중행사인 마을수호제인데 시장의 번영과 동민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지만 주민들로 하여금 일체감을 불러 일으켜 공동사회의 기능을 살려갔던 것이다. 목계를 동서 양편으로 갈라 줄을 들여놓고 부흥당에서 제사를 지낸 뒤 동서 양편으로 줄을 메고 강가로 나가 줄다리기를 하여 승부를 내었으며 승부가 난 뒤에는 장마가 지면 줄을 강물에 떠내려 보내는 민속놀이이다.
 
◈ 양진명소 오룡굿
탄금대 아래 서쪽의 나룻터를 양진명소라고 한다. 이 곳 양진명소에는 사당이 있었는데 나라에서 향을 내려 국태민안을 위한 제사를 지내게 했었다. 또한 가뭄이 들게 되면 기우제를 지내기도 하였는데 이는 이곳에 모신 신이 오룡(五龍)이었으므로 이 용신에게 치성을 드리면 비를 내려준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 치성드리는 행사로 무당이 굿을 하고 주민들이 농악과 함께 춤을 추고 노래하면서 어울리는데 이를 오룡굿이라고 한다.
 
1979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연하여 장려상을 받았으며 이 행사는 영신(迎神), 오신(娛神), 송신(送神)굿의 3단계로 전개된다
 
 
 

1.2. 구전설화

 
◈ 미륵리 석불입상에 얽힌 전설
사적 제317호로 지정되어 있는 상모면 미륵리의 미륵사지에 미륵리석불입상(보물 제96호)이 있는데 신라가 망하고 마의태자가 금강산으로 가는 도중에 이곳에서 마의태자는 석불입상을 세우고 덕주공주는 월악산 덕주사의 마애불을 만들었다고 한다.
 
◈ 국망산(國望山)
노은면 가신리에 있는 해발 770m의 산으로 임오군란 때 명성황후가 이 고장으로 피난을 와 한양 소식이 궁금해서 매일 이 산마루에서 한양을 바라보며 초조해 했다는데서 유래되었다 한다.
 
◈ 국사봉(國事峰)
이류면 금곡리에 있는 산으로 고려말 배극렴이 주덕읍 어래산에 와서 은거하고 있을 때 이성계가 배극렴을 찾으려고 세 번씩이나 와서 겨우 만나게 되었는데 중대한 국사를 논의한 장소가 바로 이 산이어서 국사봉이라 부른다 한다.
 
◈ 신립 장군과 열두대
신립 장군이 도총도사로 있을 때 지금의 양주 근처에서 밤길을 가다가 어느 민가에 찾아들어 하루밤 쉬어가기를 청하였는데 처녀 혼자있어 연유를 물은즉 매일 밤 괴물이 나타나서 가족을 차례로 잡아가고 오늘 밤이 자기 차례라고 흐느껴 울었다. 신립 장군이 그날 밤 괴물로부터 그 처녀를 구하여 주었다. 그 후 신립 장군에게 데려가 줄 것을 간청하는 처녀를 두고 길을 떠났는데 그 처녀가 지붕 위에서 분신 자살을 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신립 장군이 조령에 진을 치려고 하였는데 밤의 꿈에 그 처녀가 나타나 이곳에 진을 치면 패하게 되니 탄금대에 진을 쳐야 한다고 해서 탄금대에 배수진을 치고 싸웠으나 참패하게 되었으며 탄금대에는 열두대라고 하는 곳이 있는데 전쟁중 신립 장군이 활시위를 식히려고 강물에 열두 번이나 뛰어 오르내렸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1.3. 주민의 종교생활

 
전통적인 토속 신앙인 산신제나 동제 같은 마을의 수호신을 위하는 흔적은 곳곳에 남아 있으나 지금은 특별한 행사때에만 행해질 뿐 거의 사라지고 현대 종교의 급속한 확산으로 충주 지역에는 현재 개신교(교회) 233개소, 천주교(성당) 22개소, 불교(사찰) 89개소, 원불교 1개소, 유교(향교) 1개소와 기타 종교의 교당이 8개소가 있다.
 
 
 

1.4. 주민의 생활권역

 
◈ 성서동 차 없는 거리
충주시 성성동 현대 타운 부근 상가 밀집 지역에 시민들이 자유롭게 다닐 수 있도록 차 없는 거리를 조성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 곳에 몰려 쇼핑이나 먹거리를 즐기고 있고 시장 번영회에서는 매년 거리 축제를 열어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1.5. 지역의 별미음식

 
◈ 용왕정식
용왕정식은 강장 식품인 자라 요리로 다양한 종류의 요리가 개발되고 있으며 성인병, 중풍 등 노인성 치매, 항암 효과와 여성 피부 미용, 노약자, 임산부 산후 조리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제4회 충청북도 향토음식 경연대회에서 금상을 수상했다(안림가든).
 
◈ 장어구이
장어의 기름을 제거하고 보양제와 한약제 10여종과 함께 장어의 맛을 내는 구이 발림 소스를 3일간에 걸쳐 만들어 내는 것이 자랑이며 제4회 충청북도 향토음식 경연대회에서 동상을 수상했다 (댐팔각정).
 
◈ 오리백숙
오리에 황기, 밤, 인삼, 대추를 넣고 50분간 끓인다. 물에 불린 찹쌀로 밥을 하여 누룽지를 만든다. 오리에 오리 육수를 넣고 푹 끓여 죽을 만들고 각종 야채를 넣어 살짝 끓인다.
 
◈ 쏘가리 매운탕
쏘가리 내장을 빼고 비늘을 긁어 깨끗이 씻고 적량의 물에 고추장과 고추가루를 풀고 소금으로 간을 한다. 준비된 생선과 각종 채소를 넣고 국물을 부은 다음 매운탕의 맛이 우러나올 만큼 끓인 후 쑥갓을 위에 얹는다. 단백질, 비타민이 풍부하여 충북의 대표적 향토 음식으로 정착되어 있다.
 
◈ 향어 비빔회
향어를 깨끗이 씻어 회를 뜬다. 각종 야채는 채를 썰어 따로 준비한다. 참기름에 다진 파, 마늘을 준비하여 초고추장을 낸다. 충주 고장 호반 관광권역을 중심으로 발달한 향어 비빔회는 민물고기의 담백한 맛과 새콤달콤한 내륙 특유의 양념 비법을 이용하여 입맛을 돋구고 관광객들에게는 별미로 손꼽히고 있다.
 
 
 

1.6.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 사과하면 충주, 충주하면 사과
충주 사과는 충주댐 주변의 맑은 물과 공해없는 청정 환경의 4계절 온도 차이가 뚜렷하며 일교차가 크고 일조량이 많은 지역에서 재배되어 맛과 향이 좋고 때깔이 곱고 당도가 높으며 과육이 단단해서 저장력이 좋은 전국 제일의 사과 고장이다. 사과 축제, 각종 사과음식 개발, 전국 최초로 사과나무 가로수를 조성하고 시 나무도 사과나무로 하는 등 충주 사과 명품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 중원청명주
1년 24절기 중 청명일에 사용하기 위하여 술을 담그었다 하여 청명주라 불리며 조선조 궁중의 진상주로 선택되기도 하였던 명주이다. 재래 전통 비법으로 빚어 숙취가 전혀 없으며 그윽한 향취와 독특한 감칠맛이 그대로 살아 숨쉬는 전통 민속주로 1993년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어 있다.
 
◈ 두레촌 엿
이류면 만정리에 위치하고 있는 두레촌 엿은 1996년도에 농림부로부터 전통식품 지정업체로 지정되었는데 호박엿, 대추엿, 땅콩엿, 생강엿, 칡엿, 쑥엿 외에 1997년에는 국내 최초로 사과엿을 특허출원하였다.
 
◈ 천등산박달주
천등산 자락의 맑은 공기와 지하 천연 암반수로 빚은 전통 막걸리로 맛이 일품이고 마신 후 냄새가 없으며 진공 포장되어 장기간 보관되는 특징이 있다.
충청북도 충주시 정보
• 충주시의 역사문화자원
• 충주시의 생활문화자원
• 충주시의 예술문화자원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