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환경부 보도자료
일반 (일자별)
【행정】 환경부 보도자료
◈ 침수위험 해소,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12곳 지정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하수도 용량 부족으로 인한 침수피해 예방을 위해 부산광역시 수민동 일대 등 상습침수지역 12곳을 '2019년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9월 27일 이를 공고한다.【생활하수과 - 나길 (044-201-7025)】
▷ 상습침수지역 12곳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
▷ 2025년까지 3,988억 원을 투입하여 하수도 시설 확충 추진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하수도 용량 부족으로 인한 침수피해 예방을 위해 부산광역시 수민동 일대 등 상습침수지역 12곳을 '2019년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9월 27일 이를 공고한다.
 
이번에 지정되는 지역은 부산광역시(수민동), 세종특별자치시(조치원읍), 의정부시(용현동), 청주시(모충동), 충주시(문화동, 연수동), 제천시(교동), 여수시(국동), 구미시(인동동), 김해시(내덕동), 밀양시(내이동, 가곡동) 등이다.
 
환경부는 2013년부터 '하수도법(제4조의3)'에 따라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지정 제도를 도입하여 매년 하수의 범람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했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지정하고, 지자체가 침수원인 해소를 위한 하수도 확충사업을 제때에 할 수 있도록 국비를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2018년까지 총 76곳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2019년까지 1조 605억 원의 국고를 지원하여 도시침수 대응을 위한 하수도 확충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 집중호우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빗물관을 큰 관으로 개량하고 하수저류시설 및 빗물펌프장을 설치·증설하여 빗물을 신속히 배제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중 하수도 확충사업(4~5년 소요)이 완료된 지역은 19곳이며, 사업 완료 후 현재까지 이 지역들이 침수되어 피해가 다시 발생한 사례가 없어 사업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올해에는 20개 지자체에서 신청한 26곳을 대상으로 서류검토와 현장조사, 선정위원회 심사 등을 거쳐 침수 피해정도와 시급성 및 타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12곳을 선정했다.
 
이번에 지정된 지역에 대해서는 2025년까지 총사업비 3,988억 원(국고 2,609억 원)을 투입하여 빗물관 63km를 개량하고, 빗물펌프장 19곳을 신설하거나 증설하는 등 하수도 시설을 집중적으로 확충하여 침수원인을 해소할 계획이다.
* 총사업비 및 사업물량은 구체적인 설계 결과에 따라 변동 가능
 
박미자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은 "이번에 지정된 중점관리지역에 대해 집중적으로 국고를 지원하여 하수도 시설을 적절한 시기에 확충함으로써 침수피해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1. 2019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지정 공고문.
        2. 그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지정현황.
        3. 질의응답.
        4. 전문용어 설명.  끝.
 

 
※ 원문보기
【행정】 환경부 보도자료
• (참고)환경부 차관, 아프리카돼지열병 대응 현장 점검
• 침수위험 해소,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12곳 지정
• 수소사회로 가는 디딤돌, 정부세종청사에 수소충전소 추진
(2019.09.29. 20:29)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