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일반 (일자별)
【문화】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 국립중앙박물관 정기 학술지 『미술자료』 제95호 발간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국립중앙박물관 정기 학술지 『미술자료』 제95호 발간
<통신사행렬도>의 주제와 발문, 제작 시기 규명 등 새로운 연구성과 수록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정기 학술지 『미술자료』 제95호를 발간하였다. 회화, 조각, 공예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 논문 6편과 자료 3편을 수록하였다. 이번 호에는 국립박물관 소장품을 깊이 있게 연구한 논문과 자료가 다수 게재되어 소장품 연구 활성화의 두드러진 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국립중앙박물관 문동수 학예연구관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통신사행렬도>의 고찰」 논문이 주목된다. 이 그림은 조선 화원이 그린 국내 유일의 작품으로 그림을 배관한 일제강점기의 조선 총독 등 6명의 발문과 그림의 주제와 양식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1636년작이라는 통설을 깨고, 1764년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정명희 학예연구관의 「1725년 義謙畫派의 송광사 불조전 <五十三佛圖>」 논문도 주목된다. 송광사의 <오십삼불도>는 18세기 전반 조계산, 지리산 등 호남과 전라 일대에서 활약한 불화승 의겸화파(義謙畫派)에 의해 제작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2016년 미국에서 반환된 송광사 오불도를 포함시키고, 국립박물관이 1969년에 실시한 송광사 조사 기록을 참고하여 송광사 불조전 <오십삼불도>의 배치와 구성을 복원함으로써 그 불교회화사적 의미를 규명했다.
  이 밖의 수록 논문으로는 이승희의 「고려후기 관경16관변상도의 원류와 독자성」, 심영신의 「인도의 神觀과 불교 神將 이미지의 형상화」, 배재호의 「玄奘의 귀국과 摩訶菩提寺 正覺像 - 西安 출토 善業泥 佛像을 중심으로 -」, 고바야시 고지(小林公治)의 「동아시아 螺鈿史의 관점에서 본 고려 螺鈿의 성립」이 있다.     
  자료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을 소개한 강경남 학예연구사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석제탁잔> 소개」와 이수경 학예연구관의 「근대 평양 출신 여성화가 함인숙의 遺作 - 최미리 기증 2건의 6폭병풍을 중심으로 -」가 있다. 국립전주박물관 민길홍 학예연구사의 「模寫를 통한 家傳과 傳承, 조선시대 <南池耆老會圖>」는 국립제주박물관 소장품을 소개한 자료이다.
  『미술자료』는 1960년 창간된 국내 최초의 미술사 전문 학술지로, 한국미술사가 미개척 분야였던 시기 관련 자료의 발굴이 잇따르자 국립박물관으로서 미술사학계의 발전과 연구 활성화에 이바지하기 위해 창간되었다. 매년 두 차례(6월, 12월) 발간되며, 학술논문 외에도 박물관의 미공개 소장품을 비롯한 새로운 자료를 게재한다. 최근에는 미술사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인 고고학, 역사학, 보존과학, 박물관학 등과의 활발한 공동 조사를 통해 새로운 연구 경향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하는 학술지평가에서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어 미술사 전문 학술지로서 더욱 확고한 위치를 다지게 되었다.
  『미술자료』의 모든 논문과 총 목차(제79호까지)는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
(www.museum.go.kr)의 ‘학술→정기간행물→미술자료’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연구사 채해정(☎ 02-2077-9485)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원문보기
【문화】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 국립중앙박물관 야외 정원 『솔숲 속 작은 서가』 조성
• 국립중앙박물관 정기 학술지 『미술자료』 제95호 발간
• 외국 박물관 한국실 지원사업 공개(미국 포틀랜드 박물관)
(2019.08.03. 15:4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