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일반 (일자별)
【문화】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 국립중앙박물관, 모두를 위한 디지털 전시안내 서비스,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서비스 강화 및 소속박물관 확대 개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올해 4월부터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이용 가능한 박물관 전시안내 시스템인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을 확대 운영한다. 【디지털박물관과】
모두를 위한 디지털 전시안내 서비스,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서비스 강화 및 소속박물관 확대 개시
 
-시·청각 장애인, 휠체어 사용자 등을 위한
장애유형별 맞춤형 전시안내 키오스크 및 모바일 챗봇 서비스 강화-
’23년도 기능 개선 및 소속관(경주, 광주, 부여) 신규 확산 -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올해 4월부터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이용 가능한 박물관 전시안내 시스템인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을 확대 운영한다.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은 인공지능 기반 장애유형별 맞춤형 전시안내 서비스다. 박물관에 설치된 키오스크는 센서 인식 자동 높이 조절기능이 있어 휠체어 사용자 및 저신장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며, 점자 키패드・음성 속도 조절 장치・수어 인식 센서 및 수어 아바타 등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을 탑재하여 비장애인・장애인 누구나 박물관 이용 안내 및 전시품 정보에 쉽게 접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센서를 활용, 수어를 인지하고 아바타를 통해 수어로 대화하는 안내 시스템은 농인(수어사용자) 관람객들로부터 많은 관심과 호응을 받고 있다.
 
  2022년 첫 선을 보인 후 2023년에는 사용패턴 분석 및 전문가 자문을 거쳐 수어인식률을 비롯하여 이용자 편의성을 제고했다. 키오스크의 큐알코드를 이용, 개인 모바일 기기(휴대폰, 태블린 등)를 연동하면 박물관 어디서나 키오스크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는 수어 챗봇이 함께 탑재되어 문자 외에도 수어로도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서울의 국립중앙박물관 뿐 아니라 지방의 3개 소속박물관(국립경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에도 신설하여 서비스를 지방으로 확대했다.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은 박물관 경험의 지평을 확장할 뿐 아니라 점자・수어 기반 지식정보서비스 기술력 향상에도 기여해 지난 2023년 한국지능사회정보진흥원(NIA)의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 프로젝트의 우수사례로 꼽힌 바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올해에도 관람객의 관심과 이용을 바탕으로 본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점자 및 수어 데이터베이스를 확충하여 지식정보 접근성과 기술력을 향상하는 한편 소속박물관 2개관에 신규 설치해 전국적 서비스로 확장하고자 한다.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은 국립중앙박물관의 대표 서비스로서 ‘누구나, 어디서나, 모두를 위한 박물관’으로 관람객을 맞이할 것이다.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욱 자세한 자료와 내용을 원하시면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박물관과 이태희 연구관(02-2077-9120), 백승미 학예연구사(02-2077-9098)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진1. 키오스크 수어 해설 화면
 
사진2. 모바일 챗봇 서비스 내 수어 해설
 
 
 

 
※ 원문보기
【문화】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 [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수어 전시 안내 서비스 개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스마트 키오스크’ 운영 시작-
• 국립중앙박물관, 모두를 위한 디지털 전시안내 서비스,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서비스 강화 및 소속박물관 확대 개시
• [국립김해박물관] 2024년 국립김해박물관 상반기 어린이 교육프로그램 운영
(2024.03.26. 09:48)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