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일반 (일자별)
국가보훈처
◈ 노인들의 의열투쟁을 이끈 독립운동 지도자 2017년 1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노인들의 의열투쟁을 이끈 독립운동 지도자 2017년 1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공훈관리과 - 이광현 (044-202-5771)】
 
노인들의 의열투쟁을 이끈 독립운동 지도자 2017년 1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김치보(金致寶, 1859. 9. 17~1941. 11. 18.) 선생을 2017년 1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선생은 평안남도 평양 출생으로 1919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노인동맹단을 조직하고 강우규를 국내에 결사대로 파견하여 새로 부임하는 조선총독 사이토 암살시도를 지원한 분이다.
 
○ 1908년 경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한 후 덕창국이라는 한약방을 운영하며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 1909년 국민회 블라디보스토크 지방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청년돈의회 회장을 맡아 한인 교육활동에 힘을 쏟았다.
 
○ 1910년 성명회의 병탄조약 원천무효 선언서에 서명하였고, 1911년 권업회에 참여하여 통신부장에 선임되었다.
 
○ 1919년 2월 대한국민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3·1운동 소식이 들려오자 연해주 일대에서 대규모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 1919년 3월 노인동맹단 단장으로 선출되었다. 노인동맹단은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일본총영사관에 독립요구서를 제출하였고, 9월 강우규를 국내에 결사대로 파견하여 남대문역 앞에서 새로 부임하는 조선총독 사이토에게 폭탄을 던져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 1922년 4월에 해삼위천도교교구장 고문자격으로 귀국하여 최시형의 아들 최동희를 만나 고려혁명위원회를 조직하였다. 선생의 행적은 1924년 3월까지 확인되나 이후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 정부는 1996년 김치보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첨부 :
171130_2017년_12월의_독립운동가_김치보선생_보도자료.hwp
 

 
※ 원문보기
국가보훈처
• 2017년 12월의 전쟁영웅 감봉룡 경찰 경감
• 노인들의 의열투쟁을 이끈 독립운동 지도자 2017년 1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 우당 이회영 선생 순국 85주기 추모식
(2019.11.05. 18:31)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