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일반 (일자별)
국가보훈처
◈ 평창동계올림픽 계기 네덜란드 참전용사 초청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에 동참하기 위해 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하는 네덜란드 총리 방한과 연계하여 6·25참전 네덜란드 참전용사(가족) 등 10여 명을 초청한다고 밝혔다.【국제보훈과 - 유수현 (044-202-5916)】
보훈처, 평창동계올림픽 계기 네덜란드 참전용사 초청
.네덜란드 총리 방한과 연계 네덜란드 참전용사(가족) 등 10여 명 초청
.네덜란드 총리, 네덜란드 참전용사(가족) 횡성전투기념비 추모행사 참석 및 네덜란드 선수가 출전하는 스피드 스케이드 경기 관람 등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에 동참하기 위해 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하는 네덜란드 총리 방한과 연계하여 6·25참전 네덜란드 참전용사(가족) 등 10여 명을 초청한다고 밝혔다.
 
* 참전협회장(1), 반호이츠부대 대표(2), 참전용사(3), 동반자(4)
 
□ 이번 방한일정 중에는 마크 루테(Mark Rutte) 네덜란드 총리, 로디 엠브레흐츠 네덜란드 대사, 피우진 국가보훈처장, 참전용사(가족) 및 최문순 강원도지사를 비롯한 지역 기관장과 지역민 등이 함께 네덜란드 횡성전투 참전기념비 앞에서 추모행사를 가진다.
 
추모식에서는 국가보훈처가 “2월의 6·25전쟁 영웅”으로 선정한 네덜란드 마리누스 덴 오우덴(Marinus P.A.den Ouden) 육군 중령의 유족을 대신하여 6·25참전 네덜란드 참전부대인 “반 호이츠 부대” 대표에게 선정패를 수여하고,
 
네덜란드 총리는 네덜란드 역사학자가 네덜란드 참전용사들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발간한 책 ‘가장 잔혹한 전쟁’을 국가보훈처장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 횡성전투 기념비 참배행사 세부계획 “붙임 1” 참조
 
□ 덴 오우덴 중령은 6·25전쟁 당시 유엔군 네덜란드대대 지휘관으로 참전하여 횡성지역에서 전투를 지휘하던 중 전사하였다.
 
* 전쟁영웅 선정 개요 및 덴 오우덴 중령 약력 “붙임 2” 참조
 
□ 방한일정은 다음과 같다.
 
. 9일(금) 오전에는 국립서울현충원을 참배한 후 전쟁기념관을 찾아 먼저 간 전우들의 넋을 위로하며 헌화 참배한다. 오후에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관람한다.
 
. 10일(토) 오전에는 한복체험 등 한국문화 체험행사를 갖고 오후에는 경복궁을 탐방한다.
 
. 11일(일) 오전에는 강원도 횡성군에 소재하고 있는 횡성전투기념비앞에서 네덜란드 총리, 국가보훈처장과 함께 추모행사에 참석한 후,
 
덴 오우덴 중령 추모비에 헌화참배한다. 오후에는 강릉으로 이동하여 네덜란드 선수가 출전하는 스피드 스케이트 경기를 관람한다.
 
. 12일(월) 에는 국가보훈처에서 주관하는 환영오찬에 참석한 후 오후에는 인사동을 방문한다.
 
* 재방한 세부일정 “붙임 3” 참조
 
□ 이번에 방한하는 네덜란드 참전협회장 호머스(Petrus Paulus Gerardus Gommers)씨는 “유엔참전용사 재방한 초청사업은 정말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 참전용사와 그 가족에 대하여 한국에서 큰 관심을 갖는 것에 대하여 매우 행복하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 유엔참전용사 등 재방한 초청 사업은 1975년 민간단체 주관으로 시작되어 2010년 6·25전쟁 60주년 사업을 계기로 국가보훈처에서 직접 주관하였다.
 
지난해까지 3만 2천여 명의 유엔참전용사와 가족이 한국을 다녀감으로써 은혜를 잊지 않고 보답하는 대한민국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첨부 :
180207_2월_네덜란드_참전용사초청_보도자료(최종).hwp
 

 
※ 원문보기
국가보훈처
• 동경 2.8독립선언 선포 제99주년 기념식 개최
• 평창동계올림픽 계기 네덜란드 참전용사 초청
• 대한독립선언 선포 제 99주년 기념식
(2019.11.05. 18:31)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