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경상남도 경상남도 정보
경상남도 정보
(보기 : 목록별구성)
2023년 12월
2023년 12월 1일
2005년 6월
2005년 6월 2일
경상남도의 어제와 오늘
about 경상남도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05.06.02. 16:31) 
◈ 경상남도의 어제와 오늘
경상남도는 동·서, 해안과 내륙의 자연적·인문적 성격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곳이다. 대체로 서북쪽은 소백산맥과 그 지맥인 지리산을 비롯한 내륙 산간지역이고, 동남쪽은 낙동강 유역의 평야와 해안지방이다. 이 지역은 예로부터 우리나라 남쪽의 관문 구실을 하여 일본을 비롯한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했고, 특히 임진왜란과 같은 국난 때에는 국방상의 요지로서 구실을 다하였다.
 

1. 경남의 어제와 오늘

 
경상남도는 동·서, 해안과 내륙의 자연적·인문적 성격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곳이다. 대체로 서북쪽은 소백산맥과 그 지맥인 지리산을 비롯한 내륙 산간지역이고, 동남쪽은 낙동강 유역의 평야와 해안지방이다. 이 지역은 예로부터 우리나라 남쪽의 관문 구실을 하여 일본을 비롯한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했고, 특히 임진왜란과 같은 국난 때에는 국방상의 요지로서 구실을 다하였다.
 
경남지역 문화의 원천은 가야문화이다. 가야는 철이라는 자원조건과 낙동강 하류라는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일찍부터 중국 군현들과 교류하면서 선진문물을 받아들였다. 가야의 건국설화를 살펴보면, 하늘에서 황금알 여섯 개가 내려왔는데, 그 중 맨 먼저 수로왕이 나와서 가락국(금관가야)의 왕이 되었다고 한다. 가야는 초기에 김해를 중심으로 한 금관가야가 연맹체의 주도국이었다가 이 가야연맹이 해체된 뒤, 그 중심은 낙동강 서쪽 내륙지역에 있던 고령 대가야를 중심으로 하여 다시 한번 그 문화의 저력을 과시했다.
 
경상남도는 지리적 요인으로 인하여 항상 왜구의 침입에 시달려야만 했고 임진왜란 때에도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임진왜란 당시 진주를 중심으로 한 경남서부 지역은 호남으로 진출하는 중요한 길목에 위치하여 왜구의 침공은 집요했다. 하지만 경남서부지역의 의병활동으로 왜구의 호남 침공을 최소화시켜, 호남지역을 장악하고 물자를 확보한다는 왜구의 전략에 차질을 빚게 하여 패주하도록 만들었다.
 
경남 서부에 위치해 있는 진주는 상주와 함께 ‘경상우도’ 혹은 ‘강우(江右)’로 부르던 지역의 중심으로, 경상좌도의 안동과 함께 영남유교문화 전통을 대표하는 쌍벽이었다. 남명 조식은 경상우도 즉 경상남도를 대표하는 유학자로 그에 의해 형성된 실천적 덕목인 ‘의(義)’ 사상이 바로 임진왜란 때 구국 의병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경남우도와 전라좌도는 서해, 지리산, 섬진강 등으로 연결되는 문화 교류의 현장으로서 일찍이 가야와 백제, 그리고 뒤이어서는 신라와 백제의 교류와 영역 전쟁이 활발했다. 이러한 지리적 조건은 이후 조선시대까지도 이어져 학맥이라든가 의병활동, 농민항쟁 등에서 그대로 연계되고 있었다.
 
한편 경상남도는 산수가 수려하고 곳곳에 유서 깊은 명승고적 등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주요 관광자원으로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지리산국립공원, 가야산국립공원 등이 있고, 팔만대장경이 간직된 합천의 해인사, 호법 사찰의 본산인 양산의 통도사 등의 명찰이 많이 있다. 또한 임진왜란 3대첩 중의 하나였던 곳인 진주성, 논개의 혼이 서려있는 진주 촉석루, 영남 제1의 누각으로 손꼽히는 밀양의 영남루 및 한산도의 제승당, 김해 김수로왕릉 등의 고적 및 사적이 즐비하다. 이 밖에 마산의 수출자유지역 등과 같은 산업관광지와 남해대교, 거제대교 및 충무의 해저터널 등도 주요한 관광자원이 된다.
경상남도 정보
• 경상남도의 생활문화자원
• 경상남도의 어제와 오늘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