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도봉구 서울특별시 도봉구 정보
서울특별시 도봉구 정보
(보기 : 목록별구성)
2005년 6월
2005년 6월 13일
도봉구의 역사문화자원
2005년 6월 3일
about 서울특별시 도봉구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05.06.13. 23:51) 
◈ 도봉구의 역사문화자원
목   차
[숨기기]
 

1. 역사문화자원

 

1.1. 역사적 사건과 현장

◈ 정약용의 『위례고』
도봉구 지역이 구체적으로 역사의 무대에 등장한 시기는 백제가 고대국가 체제를 갖추면서 한강중심의 통치구역에서 점차 남북으로 영토를 넓혀갈 무렵인 백제 8대 고이왕 때로 정약용의 『위례고』에서 “위례성은 백제 시조가 처음 도읍하였던 곳으로 옛 자리가 지금 한양성 동북쪽에 있다. 북위례의 옛 자리가 지금 경성의 동북쪽 10리 되는 곳 삼각산 동록(東麓)에 있는데 주민들이 그곳을 잘못 불러 한양고현이라 하였다”라고 하북위례성에 대해 삼각산 동록설을 주장하고 있어 하북위례성이 현재의 도봉구지역 일대임을 주장하였다.
 
◈ 덕해원(德海院)과 누원점(樓院店)
누원점의 원래 명칭은 덕해원(德海院)이었다. 조선시대의 도봉구는 양주의 해등촌면(海等村面)이었는데 이에 관하여『신증동국여지승람』양주목 역원(譯院)조를 보면 ‘덕해원은 도봉산 밑에 해촌이라는 언덕이 있고 덕해라는 원이 있는데 서울에서 30리 거리이다’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해촌(海村)은 해등촌면을 가리키는 것이고 덕해원이 오늘날의 누원점임이 분명하다.
누원점은 조선후기 상업의 중심지로 번성하였으며 원산, 철원과 인근의 송우점, 송파점 및 서울의 이현·칠패·경강상인들과 연결되어 도성의 경제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이렇게 누원점은 상업의 중심지였다.
 
◈ 나라의 큰 일 전하는 나무
방학동 은행나무는 서울시 보호수 제1호로 높이 24m 둘레 9.6m 수령이 1천년 된 서울시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나무다. 이 은행나무는 그 모습이 매우 고상하고 아름다우며 옛부터 많은 사람들이 신성시하고 지금까지도 많은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이 은행나무는 옛부터 불이 날 때마다 나라에 큰 변이 생겼다고 전하는데 박정희 대통령이 서거하기 1년 전에도 불이 나서 소방차가 동원되어 진화했다고 한다. 은행나무에 대한 구민의 애착이 각별하여 부근 아파트 단지가 조성될 때에도 뜻 있는 지역주민들에 의해 나무의 생육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아파트의 구조가 변경되는 등 많은 일도 겪었다.
 
 

1.2.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안맹담(安孟聃, 1415∼1462)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덕수(德壽), 함길도 관찰사 망지의 아들이다. 1428년 세종의 둘째딸 정의공주와 결혼하여 죽성군에 봉해졌고, 1432년 다시 연창군에 봉해졌다. 글씨에 뛰어나 초서를 잘썼으며, 시호는 양효(良孝)이다. 도봉구 방학동 산63번지에 묘와 신도비가 있다.
 
◈ 이인(李仁)
세종의 9남 영해군(寧海君)의 아들이며, 1474년 영춘군(永春君)에 봉해졌다. 그의 묘소는 도봉1동 산82-1번지 도봉산 기슭 무수골에 있는데 여기에는 그 뿐만 아니라 그의 부(父)인 영해군의 묘와 그의 동생인 길안군 및 아들인 완천군과 강녕군의 묘가 같이 모여 있으며, 현재 이 마을에는 영해군의 후손들이 이 고장을 지키고 있다.
 
◈ 조광조(趙光祖, 1482∼1519)
중종(中宗)때 도학자이며 진보적 정치가. 자는 효직(孝直), 호는 정암(靜庵), 본관은 한양(漢陽)이다. 관직은 대사헌(大司憲)으로 조선 중종(中宗) 때 성리학자(性理學者)요, 대유학자(大儒學者)이다. 삼사(三司)를 두루 거쳐 훈구세력의 부정을 척결하는 혁신 정치이념으로 유교적 도덕국가, 요순시대의 이상국가 건설을 목표로 도학(道學)에 의한 개혁정치를 단행하였다.
후에 영의정으로 추증되고 문묘에 배향되었으며, 문집으로는 『정암집(靜庵集)』이 있다.
 
◈ 남언경(南彦經)
경서(經書)에 밝은 양명학자로 지평현감, 양주목사, 여주목사를 지냈다. 양주목사 재임시 1573년(선조 6) 도봉산 영국사 절터에 도봉서원(道峯書院)을 창건하였다.
 
◈ 송시열(宋時烈, 1607∼1689)
본관은 은진(恩津), 호는 우암(尤庵) 또는 우재(尤齋).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충청북도 옥천에서 태어나 사계 김장생으로부터 학문을 배웠으며, 봉림대군(효종)의 스승이요, 정암 조광조의 학통과 율곡 이이의 학설을 이어받았다. 영의정으로 추증되고 문묘에 배향되었으며, 저서로는 『주자대전차의』, 『주자어류소분』등 다수가 간행되었으며, 사후(死後)의 문집으로는 『우암집』, 『송자대전』등이 출간되었다.
 
◈ 김병로(金炳魯, 1886∼1964)
초대 대법원장을 지냈으며, 일제시대 고하 송진우, 위당 정인보와 함께 창동의 ‘세 마리 사자’라 불려졌다. 도봉구 창동 731번지에 살았다.
 
◈ 홍명희(洪命熹)
호는 가인(可人) 또는 벽초(碧初)이다. 일제강점기 최대의 장편소설로 꼽히는 『임꺽정(林巨正)』으로 문학사의 주목을 받았다. 이 작품은 1928년 조선일보에 첫 연재를 시작한 뒤 세 차례에 걸쳐 중단되었다가 광복직후 미완의 상태로 전10권이 간행되었다. 도봉구 창동 244-1호에 거주하였고, 한국전쟁 때 월북하였다.
 
◈ 송진우(宋鎭禹, 1892∼1945)
고하(古下) 송진우는 동아일보사장, 언론인, 계몽운동가(교육자)이다. 일제시대 ‘창동의 세 마리 사자’중 한 분으로 현재의 도봉구 창5동 281-1호에 거주하였으며 당시 가옥이 남아있다.
 
◈ 정인보(鄭寅普, 1893∼?)
위당(爲堂)은 한문학자이며 민족사학자이다. 언론인으로서 민족의 얼을 찾아 일제로부터 독립의지를 불태웠던 '창동의 세 마리 사자’중 한 분이다. 당시 도봉구 창동 733번지에 거주하였고 현재는 이 지역이 쌍문 2동 580, 597번지로 분할, 변경되었다. 위당은 해방과 더불어 대한민국 건국 준비사업에 참여, 건국후 초대 감찰위원장을 맡아 관기(官紀)를 바로 잡으려 애썼다. 그러나 6.25 전쟁중 병상에 납북된후 소식이 끊겼다.
 
◈ 함석헌(咸錫憲)
1901년 평안북도 용천에서 출생하여 당숙 일형(一亨)이 세운 삼천재에서 한학을 수학하다가 1914년 덕일학교를 졸업하였다. 안창호, 이승훈, 조만식으로부터 민족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1970년 4월 『씨알의 소리』를 창간, 민중운동을 전개하면서 반독재민주화운동에 힘을 기울였다. 1982년부터 타계하는 1989년 2월까지 도봉구 쌍문동 81번지의 78호에 거주하였는데 이 집에는 현재도 그의 아들이 살고 있다.
 
 

1.3. 내 고장의 문화유산

■ 사적
◈ 연산군묘 제362호, 방학동 산 77번지
 
■ 유형문화재(시지정)
◈ 양효안공신도비부묘소 제50호, 방학 4동 산63-1호
◈ 이인신도비 제106호, 도봉동 산81-1호
◈ 만월암석불좌상 제121호, 도봉동 산121호
 
■ 지정보호수(시지정)
◈ 방학동 은행나무 제 1호, 방학 4동 546번지
 
■ 서원
◈ 도봉서원 도봉동 512번지
 
■ 전통사찰
◈ 원통사 도봉1동 546번지
◈ 천축사 도봉1동 549번지
 
■ 향토문화유적
◈ 초안산 내시묘 창동 산192번지 일대
◈ 다락원(누원점) 터 도봉산자락 도봉산역 맞은편
◈ 원당천 방학동 547번지
◈ 창동리 석조이정표 창5동 동사무소
◈ 조대비 별장터 도봉1동 394-1(현,금득사)
서울특별시 도봉구 정보
• 도봉구의 생활문화자원
• 도봉구의 역사문화자원
• 도봉구의 어제와 오늘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