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달서구 대구광역시 달서구 정보
대구광역시 달서구 정보
(보기 : 목록별구성)
2023년 12월
2023년 12월 1일
달서구의 생활문화자원
2005년 6월
2005년 6월 3일
about 대구광역시 달서구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23.12.01. 01:00) 
◈ 달서구의 생활문화자원
◈ 전통생활민속 - 천왕대왕신제, 당산제 / ◈ 구전설화 - 석샘, 곶감샘, 반고개, 황룡굴
목   차
[숨기기]
 

1. 생활문화자원

 
 

1.1. 전통생활민속

 
◈ 천왕대왕신제
진천동에는 일명, ‘용천계’라고도 하는 ‘천왕대왕신제’가 전해오고 있다.
 
정월 초여드렛날 대나무 장대에 뽕고리를 달아서 내림을 받은 사람을 제관으로 뽑아 이 제사를 관장하게 하는데 제관은 8명으로 모두 집안에 흠이 없어야 한다. 일단 제관으로 뽑히면 출입을 삼가고 몸을 깨끗이 찬물로 닦고 고기를 먹지 않는다.
 
열나흗날까지 제를 지내게 되는데 제물로서는 통돼지를 쓰며, 색깔이 없는 옷에 신발까지 모두 흰색으로 차림하고 동네 사람들의 무탈, 무병과 풍년을 축원하며 가축에게도 재앙이 없도록 빌었다.
 
◈ 당산제
현재 두류 3동의 일부인 안땅골 사람들이 중심이 되어 파종이 끝난 5월에는 파종 당산제를 지냈고, 추수가 끝난 10월경에는 햅쌀로 술과 떡을 빚어 추수 감사 당산제를 지냈다고 한다.
 
여름에 한발이 심하면 당산에서 기우제를 지냈으며, 기우제를 지낸 제관들이 마을에 도착하기도 전에 억수같은 비를 내리는 영험이 있었다고 한다.
 
당산제나 기우제를 모시는 제주는 그 마을에서 가장 정결한 사람을 뽑아서 한달 전부터 궂은 일에 참석치 않고 정성을 모아 제사에 임했다고 한다. 그리고 당산제를 지낸 후에 집집을 돌며 그 가정의 무사안일과 잡귀를 몰아내는 지신밟기놀이도 하였다. 이 당산은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신성시되었으며 마을 사람들이 협동하고 단결하는 계기가 되었다.
 
 
 

1.2. 구전설화

 
◈ 석샘
월배의 지명이 유래되었다고 하는 ‘달비골’ 또는 ‘달배고’라는 골짜기를 약 500m 쯤 깊숙히 들어가면 깎아 세운 듯한 층암절벽이 솟아 있는데 그 아래 바위굴이 있으니 이 굴을 ‘석샘’이라고 부른다.
 
약 천여년 전 이곳 절벽 아래 석주암이란 아담한 암자가 있었는데 이 암자에는 주지 한사람과 10여세 되는 상좌가 있었다. 이때는 지금 약수가 떨어지는 천장 바위틈에서 쌀이 졸졸 흘러나왔다고 한다. 이 쌀은 하루종일 모아야 중과 상좌 두 사람의 세끼 밥을 지어먹을 정도의 양이었다. 두 사람 중 어느 한 사람이 일이 있어 출타하면 쌀의 양이 줄어들 정도로 신기한 것이었다.
 
어느 날 주지가 외출하고 없을 때 매일 밥만 먹어 싫증이 난 상좌가 쌀을 좀 더 많이 모아 떡을 만들어 먹을 생각으로 부지깽이로 쌀 나오는 구멍을 쑤셨더니 쌀은 나오지 않고 붉은 핏물이 흘러나왔다.
 
얼마 후 핏물도 그쳐 버리고 그 다음부터는 지금처럼 맑은 물만 졸졸 흘러나왔는데 이곳에서 나오는 쌀을 먹고 생활하던 석주암은 그 뒤에 망해버렸다고 전해지는 이야기다.
 
이 굴은 사방이 암석으로 이루어진 석실이다. 이 굴속의 천장에는 사시사철 일정한 양의 맑고 차가운 물이 떨어지는데 이 물은 위장병과 임질 같은 병에 특이한 효과가 있어 약수로 널리 알려져 있다.
 
◈ 곶감샘
현 송현초등학교 부근인 송현 2동 1911번지 일대의 자연마을 이름은 구암리(九岩里)였다. 구암리에는 송현지(松峴池)라는 큰 연못이 있어서 이 물로 농사를 지었으나, 송현지의 남서쪽에 있는 논에는 현 월성아파트 정문 부근에 있는 큰 샘물로 물을 공급하였다. 이 샘은 사시사철 맑은 물이 흐르며 그 규모가 넓고 깊어 5∼6개의 징검다리가 있을 정도였다.
 
어느 곶감장수가 더운 여름날 대구로 곶감을 진 채로 샘물을 마시려 하다가 그 샘에 빠져 죽었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는데, 곶감 장수가 빠져 죽은 샘이라 하여 이 샘을 ‘곶감샘’으로 불려지게 되었다고 현재 전설만 전해 질 뿐이다.
 
◈ 반고개
반고개는 고개 반쪽이라는 의미로서 옛날 성내로 시집 온 성외 출신 새댁이 명절 때 차마 친정에 갈 형편은 안되고 안타까워서 고개 반쪽쯤에서 성외로 시집간 성내 출신의 새댁들과 안부를 묻곤 하였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 깨꿈(외발뛰기)바위
현 성서의 장동과 월배의 월암동과의 경계지점에 나즈막한 야산이 있다(달서구 장동 산 66번지).
 
이 산의 남단에 약 25도 경사의 바윗돌이 노출되어 있는데 그 가로의 길이가 30m, 세로의 길이가 약 40m가 넘어 사람들이 앉아서 놀기에 안성맞춤이다. 그런데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부인이 이 바위에서 깨꿈을 뛰어 올라갔다 내려오면 아기를 낳게 된다는 말이 전해오고 있다.
 
올라 갈 때는 경사 25도의 기울기라 힘이 매우 많이 들며 내려 올 때는 외발로 뛰기에는 미끄럽고 체중이 밑으로 쏟아져 퍽 어려운 일이었으나 아기를 낳기 위해서 이 어렵고 위험한 깨꿈을 뛰러 온 부인들이 줄을 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바위를 깨꿈바위로 불렀는데 지금은 성서공단조성으로 없어졌다.
 
◈ 황룡굴
달비골 임휴사에서 산골짜기를 따라 올라가다 보면 좌측 산중턱에 ‘원기사’라는 암자가 있고 그 암자의 측면 암벽에 천연동굴이 있다.
 
신라 때 석굴암에 암자가 있었는데 이곳에서 한 도승(원광국사)이 수도를 하고 있었다. 그때의 시봉은 남해의 용자인 황룡이었는데 이 굴속에 살면서 스님의 시봉을 드는 한편 득도를 위해 수도하고 있었다. 이 사실을 안 서해의 용녀인 청룡이 찾아 왔지만 스님의 꾸중으로 함께 지내지 못하고 맞은 편 청룡굴에서 황룡을 만날 날만 기다리고 있었다.
 
그 즈음 칠년 대한이라 산천초목이 마르고 중생들은 기아와 괴질이 돌아 생활이 처참하였다. 이때 스님이 청룡을 불러 세상의 어지러움을 전하고 비를 내리게 해줄 것을 부탁하였다. 스님의 부탁을 거역치 못한 청룡은 바위굴에서 나와 재주를 부리게 되었으나 이는 자연법칙에 어긋나는 행위라고 옥황상제께서 그를 벌하기 위해 사자를 보냈다. 그러나 스님이 사자를 꾸짖어 돌려보내자 사자는 상제의 영을 거역치 못하고 청룡굴에 벼락을 내렸다.
 
그때 마침 황룡이 굴에 함께 있다가 벼락을 맞았다고 한다. 그것을 말해 주듯 황룡굴은 그대로 보존되고 있으나 청룡굴은 흔적만 있고 그때 부서진 듯한 돌들이 돌밭을 이루고 있다.
 
 
 

1.3. 주민의 종교생활

 
주민들이 아직도 민속신앙을 믿고 있으며, 이러한 것을 통하여 마을축제를 열고 주민의 화합의 장을 마련하기도 한다. 한편으로는 개신교의 전파로 교회 192개소나 있으며, 그 외에는 불교 사찰이 33개소, 천주교 성당이 11개소 있다. 동별로는 상인 2동에 18개소의 개신교 교회가 있어 가장 우세하고, 다음으로는 감삼동, 진천동, 송현 2동이 각각 14개소의 개신교 교회가 있으므로 이 달서구도 개신교 세력이 우세하다. 불교사찰이 우세한 동은 송현 1동으로 10개소가 있다.
 
 
 

1.4. 주민의 생활권역

 
대형 백화점이나 도소매점은 없고, 일반 시장이 19개 있다. 총 부지면적은 43,919㎡, 건물면적은 70,398㎡이다. 장기동, 신당동, 월성 1동, 상인 3동, 도원동에는 시장이 없으며, 죽전동, 상인 1동, 송현 2동에는 2개씩 위치하고 있다.
 
그 밖의 동에는 각각 1개씩 일반시장이 위치해서 그 마을의 주민생활에 도움을 주고 있다.
대구광역시 달서구 정보
• 달서구의 예술문화자원
• 달서구의 생활문화자원
• 달서구의 역사문화자원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