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북구 광주광역시 북구 정보
광주광역시 북구 정보
(보기 : 일자별구성)
(A) 북구의 마을 소개
북구의 생활문화자원
about 광주광역시 북구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23.12.01. 01:00) 
◈ 북구의 생활문화자원
◈ 전통생활민속 - 용전들노래, 충효동 성내 당산제(忠孝洞 城內 堂山祭), 충효동 배재 당산제, 일곡동 일곡 당산제(日谷洞 日谷 堂山祭) / ◈ 구전설화 - 견훤(甄萱)과 지렁이 전설, 용소의 전설, 배재의 달걀전설, 목호재의 전설 / ◈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 무등산 수박
목   차
[숨기기]
 

1. 생활문화자원

 
 

1.1. 전통생활민속

 
◈ 용전들노래
노래가락에 맞추어 삶의 애환을 달래면서 농사를 짓는 농요이다. 1960년 말까지 구전되다 북구문화원에서 2년여에 걸쳐 발굴하여 1999년 재현되어 제1회 광주광역시 민속예술축제 최우수상, 제40회 한국민속예술제 종합우수상(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 충효동 성내 당산제(忠孝洞 城內 堂山祭, 분류:민간신앙/공동체신앙, 행사시기:정월 보름, 전승장소: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성내마을, 개최빈도:매년)
• 충효동 배재 당산제(분류:민간신앙/공동체신앙, 행사시기:정월 보름, 전승장소: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배재마을, 개최빈도:매년)
• 일곡동 일곡 당산제(日谷洞 日谷 堂山祭, 분류:민간신앙/공동체신앙, 행사시기:정월 14일밤, 전승장소: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개최빈도:매년)
• 용전 들노래(분류:민속예술/민요, 전승장소:광주시 북구 용전동)
 
 
 

1.2. 구전설화

 
◈ 견훤(甄萱)과 지렁이 전설
광주 북촌 부자집에 예쁜 딸이 있었는데 밤마다 자주빛 차림의 미동이 찾아와 통정을 하게 된 사실을 알게 된 아버지가 묘책을 딸에게 일러줬다.
 
처녀는 미동이 떠나기 전 긴 명주실을 단 바늘을 옷에 꿰매 두었다. 날이 밝자 그 실을 따라가 보니 북쪽 담 밑에 큰 지렁이가 허리에 바늘이 꽂혀 죽어 있었다.
 
그 뒤 처녀는 아들을 낳았는데 어느날 아기를 풀밭에 눕혀두고 한참 밭일을 하다 돌아와 보니 호랑이가 젖을 먹이고 있어 기겁을 하였으나 호랑이는 아기와 엄마를 해치지 않고 숲속으로 사라졌다.
 
아기가 성장하면서 체모가 웅장하고 지기가 비범하여 나이 15세에 성을 견(甄)으로 하고 이름을 훤(萱)이라 한 이 소년이 광주에서 기병(起兵)하여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이라는 전설이다.
 
◈ 용소의 전설
사촌 김윤제와 정철의 만남은 환벽당에서 이뤄진다. 정철이 열네 살 때 을사사화로 아버지는 귀양가고, 매부 계림군은 모함으로 죽고, 큰 형마저 귀양가서 죽자 어머니와 창평 고서에서 살게되었다. 그러던 어느 무더운 여름날 순천을 가다 환벽당 앞 용소에서 멱을 감았다.
 
때마침 환벽당 청마루에서 목침을 높이 베고 살풋 잠이 든 사촌의 꿈에 아래 용소에서 용이 승천하려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 일어나 내려가 보니 어린 소년이 멱을 감고 있었다.
 
사촌은 소년을 데려와 글을 읽혀 과거에 장원급제 할 때까지 뒷바라지를 하였는데 그 소년이 훗날 좌의정에 오르고 『성산별곡』 등을 지은 시인 송강 정철(松江 鄭澈)이라 한다.
 
◈ 배재의 달걀전설
옛날 성안 김씨 집에 머슴이 있었는데 달밤이면 집을 나가기에 몰래 따라가 보니 배재 산속에서 사방을 둘러보더니 ‘십년이 헛되지 않았구나’ 하며 무릎을 탁쳤다.
 
머슴은 막 낳은 알 하나를 슬쩍 감추었다 달이 밝자 다시 그곳으로 올라가 땅속에 알을 묻고 한식경 기다렸다 알을 귀에 대더니 '그러면 그렇지, 이곳이 바로 회룡고조지혈이 아니고 무어더란 말이냐’ 하며 마치 병아리 소리를 듣는 양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고향에 간 머슴이 해가 바뀌어도 오지 않자 김씨는 일찍 죽은 아내를 그 자리에 옮겼다. 머슴이 돌아와 자신은 중국인으로 장군대좌에 만약 조선인이 쓰면 신장(神將)이 나오나 뜻을 펴지 못하고 중국인이 쓰면 뜻을 제대로 펴게 되니 양보해 주면 삼정승 대좌를 알려 주겠다고 했다. 이 전설의 묘는 충장공 김덕령장군의 고조모 묘이고 이 묘로 인해 김덕령과 같은 신장(용력 또는 차력)이 출현하였으나 모함으로 뜻을 펴지 못한 것이 전설대로라 한다.
 
◈ 목호재의 전설
옛날 노모와 사는 효성이 지극한 나뭇꾼이 있었는데 으슥한 산길에서 아리따운 여인을 만났다. 필시 여우가 변신하였다고 생각한 나무꾼은 돌아보지 않고 가려하자 여인이 불러 세웠다.
 
“당신의 효성이 지극하여 말하니 잘 들으시오. 노모가 호식(虎食)을 당할 터인데 그 방패(액을 막는 꾀)를 일러주겠소”하였다. 나무꾼은 집으로 달려와 여인 말대로 쌀죽 한동이를 쑤어 마당에 두고 하얀 허수아비를 앉혀 놓고 방문을 단단히 걸어 잠그고 노모를 꼭 끌어 안고는 바깥 동정을 살폈다.
 
자시가 되자 큰 호랑이가 나타나 죽을 먹고는 허수아비를 물고 숲 속으로 사라졌다. 그뒤에도 쌀죽을 쑤어 마당에 두면 호랑이가 먹고는 마침내 집에서 키운 개와 같이 따랐다. 이에 노모도 살리고 호랑이도 키웠다는 목호(못)재의 전설이다.
 
 
• 무등산의 유래(분류:구비문학/설화, 전승장소:광주광역시 무등산일대)
• 김덕령 장군 이야기(분류:구비문학/설화)
• 호랑이가 살린 김덕령장군(분류:구비문학/설화)
 
 
 

1.3. 주민의 생활권역

 
◈ 말바우시장
담양, 곡성, 순창지역 농산물이나 토산품을 시골 아낙들이 광주 동부 사거리 무등도서관과 북구청으로 가는 도로변에서 파는 거리장이다.
 
이 부근에 난등이 있었다. 그 난등 동남쪽에 큰 바위가 마치 말발굽과 같아 말바우라 한 연원이다. 말바우시장 장날은 2, 4, 7, 9일이다. 말바우가 있었던 곳은 약간 높은 지대라고 학동 고귀순(93세)옹은 말한다.
 
◈ 우치공원(광주패밀리랜드)
생룡동 대야지 위 35만 7천여평에 1991년 개장된 패밀리랜드는 사직공원 동물원을 확장 이전하여 조성되었다. 이곳은 식물·동물원과 레포츠시설 등 20여 유락 및 공연시설을 갖추고 있다. 대부분 이용객은 가족단위로 연 백만명이 넘고 주로 5월과 10월이 성수기다.
 
◈ 북부관문의 못재
고래로부터 빛을 뿜어낸다는 서석(무등산)이 한눈에 보이는 고개다.
 
지겹다 못해 여한으로 오르고 또 올라도 끝이 없다는 재, 질다못해 못다(헤프지 않다)는 연원인 못재에 오르면 고즈넉한 무등산과 영산강이 갈증의 해후를 풀어주는 이 길로 광주 전남인 거개가 한양, 아니 가로막힌 금강산, 백두산까지 넘나들었던 재다.
 
이 재를 목호치(牧虎峙, 모고재), 목호→ 모고→ 못재로 토속적인 어원인 듯한 이곳에 전설이 있다.
 
◈ 동부관문, 저원과 도동고개
문화동 도동주유소 고개는 동부관문이자 옛 저원이 있던 곳이다.
 
돼지머리 형국이라서 저원(猪院)인데 흔히 돈두(豚頭)원이라 부르다가 돈을 도라하여 도두원이라 하고 돗재, 도동(道洞, 길동네)이라 전이되었다.
 
저원과 주막은 간 곳 없고 4차선으로 트인 도로는 옛 정취를 찾을 수 없는 도동고개가 되었다.
 
 
 

1.4. 지역의 별미음식

 
◈ 오리요리
현대백화점 옆에서 태봉로터리까지 오리를 다양하게 요리하는 집 22곳이 밀집되어 있다.
 
 
 

1.5.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 무등산 수박
옛부터 무등산에 심은 수박을 푸랭이라 하지 수박이라 하지 않는다. 다른 과일은 대체로 크면 맛이 없지만 무등산 수박은 크면 클수록 맛이 좋다. 거기다 무등산 수박은 보통 수박보다 3배정도 크고 쪼개면 빨간 속에 서리발이 일어 맛과 향이 일품이며 마지막 더위가 기승을 부릴 즈음 갈증을 풀어주는 수박이기 때문에 그 진가가 더 높다.
 
금곡동 유판성옹은 옛부터 부정한 곳에 가지도 않고 또 부정한 사람은 수박밭에 오지도 못하게 하고, 수박이 익으면 반드시 산신제를 올린다고 한다. 그것은 산짐승들이 해코지 못하게 한 답례의 의식이라 한다.
광주광역시 북구 정보
• 북구의 역사문화자원
• 북구의 생활문화자원
• 북구의 예술문화자원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