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평창군 강원도 평창군 정보
강원도 평창군 정보
(보기 : 목록별구성)
2023년 12월
2023년 12월 1일
평창군의 생활문화자원
2005년 6월
2005년 6월 3일
about 강원도 평창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23.12.01. 01:00) 
◈ 평창군의 생활문화자원
◈ 전통생활민속
민요 - 나무하러 가는 총각, 소먹이 하는 늙은 농부, 부녀자들이 모여 앉아 젓가락 장단치며 흥겹게 노래하는 가락은 정선아리랑에 주를 두고 부녀자들이 불러오는 ‘다복녀’, ‘성님오네’ 같은 가락이 이 고장 특유의 가락이기도 하다.
목   차
[숨기기]
 

1. 생활문화자원

 
 

1.1. 전통생활민속

 
◈ 민요
나무하러 가는 총각, 소먹이 하는 늙은 농부, 부녀자들이 모여 앉아 젓가락 장단치며 흥겹게 노래하는 가락은 정선아리랑에 주를 두고 부녀자들이 불러오는 ‘다복녀’, ‘성님오네’ 같은 가락이 이 고장 특유의 가락이기도 하다.
 
◈ 농악
이 고장의 농악은 주로 농사일의 능률과 협동심의 고취, 마을주민의 일체감 조성에 기여하여 왔다. 농사철 농사일할 때 농악놀이를 즐기는 것으로 피로감을 줄이고 능률을 올리는 방법으로, 대부분 잊혀져 소수의 명맥이 유지되고 있다.
 
◈ 진부 심마니 산신제
오대산에서 산삼·약초 등을 채취, 생업을 이어왔던 마을의 풍속으로 심마니들의 산삼캐는 과정을 8장면으로 구분하여 진행하는 심마니들의 전통적 요람제이다.
 
◈ 황병산 사냥놀이
겨울철 곰이나 멧돼지, 토끼 등 산짐승을 잡아 주민들과 나누는 사냥놀이. 눈이 처마끝까지 쌓인 깊은 겨울날 마을 장정들이 창(槍)·설피·썰매·주루막 등을 준비, 황병산으로 사냥을 떠난다. 몰이꾼이 몰아오는 짐승을 창으로 잡는다. 잡아온 짐승을 서낭당에 차려놓고 주민들과 함께 마을의 안녕과 무병장수를 빌고 농사 풍년을 축원하는 제례(祭禮)를 지내는 산짐승 사냥놀이를 재현한 것이다.
 
◈ 용평 농사놀이
정월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 농사를 기원하며 가정의 평안과 화목을 빌어주기 위해 농악을 구성하였으며 특히 영서지방 특유의 전통농악으로 성황굿을 시작으로 논농사 모습을 재현하여 여흥놀이를 하는 것이 특색이다.
 
◈ 평창아리랑
놀이과장이 나무꾼조·산나물조·풀베기조·김매기조·합창순의 5과장으로 되어 있으며, 미탄면 한치동 동청옥산에서 산채를 뜯으며 촌부들이 불러온 노래이다.
 
 
 

1.2. 전통민속마을

 
◈ 용평면 마을
1979년 전국민속경연대회 국무총리상 수상, `1993년 도 민속예술경연대회 농사놀이 종합 우수상. 농사놀이 덩골성황제 등 많은 민속놀이가 전승되고 있다.
 
 
 

1.3. 구전설화

 
◈ 방아다리 약수(藥水)
진부 척천리에 방아다리 약수가 있다. 오래전 한 노인이 신병으로 고생하여 백방으로 약을 써도 효험이 없어 삶을 포기한 채 얼마 남지않은 생명으로 산수풍경을 찾아 나섰다. 그러다 이곳에서 잠을 자는데 꿈에 산신령이 나타나 노인이 병을 고칠 수 있는 약초를 가르쳐 달라고 하자 그 자리를 파보거라 하여 땅을 파니 물이 솟아올라 그 물을 먹었더니 병이 씻은 듯 나아 산신당을 모셨다. 지금도 이 약수는 위장병에 특효로 알려져 있다.
 
◈ 도임상과 잣죽
평창에는 예부터 잣나무가 많다. 옛날 원님이 도임하면 도임상에 반드시 잣죽이 나왔다. 이에 원님은 산골에 온 것도 억울한데 처음부터 죽을 먹고 산다는 것을 불평한다. 원님은 마지못해 죽을 먹고 잣죽맛에 감탄한다. 이처럼 역대 군수들이 도임해 잣죽에 속고 잣죽을 그리워했다 한다.
 
◈ 도로묵어 이야기
세조가 오대산에서 요양시 세조의 찬거리를 염려한 선비가 묵어(도로묵)를 진상해 맛있게 드시고 고기의 이름을 물어 묵어라하자 은어로 바꾸라 하였다. 그후 왕은 한양으로 돌아가 은연중 묵어가 먹고 싶어 다시 먹어보니 맛이 없어 다시 도로묵어로 고치라 하여 지금도 도로묵어라 부르고 있다.
 
◈ 나옹대사와 소나무
나옹화상(1320~1376)은 고려 시대 고승으로 수도하던 중 매일 월정사로 내려와 비지(두부 만든 찌꺼기)를 가져다 공양하였다. 겨울날 비지를 발우(나무그릇)에 담아 가던중 소나무 가지에 쌓여있던 눈덩어리가 떨어져 비지그릇을 쳤다. 이를 보던 산신령이 노하여 상원사 위의 소나무를 모두 쫓아 버렸다. 또 하루는 철모르는 행자가 비지를 잿더미에 버리는 것을 보고 노하여 나옹대사는 다시는 월정사에서 두부가 되지 못하게 하여 지금도 두부가 안된다고 한다.
 
 
 

1.4. 주민의 종교생활

1300년 전에 창건한 월정사를 비롯 기독교와 천주교가 골고루 퍼져 있다. 월정사와 상원사 등은 천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원시의 천연자원 속에 묻혀 수많은 신비와 전설 속에 국보 동종·8각 9층석탑 등이 있으며 날로 발전, 많은 신도를 확보하고 있다.
 
<평창군의 종교현황>
불 교 - 31개소
개신교 - 78개소
천주교 - 6개소
유교 및 기타 종교 - 6개소
 
(1999년 말 문화관광과 통계)
 
 
 

1.5. 주민의 생활권역

평창군 8개 읍·면은 8개 시·군과 인접되어 있어 주로 희귀 생필품은 원주·강릉을 이용하고 그밖의 농·축·수산물은 골고루 분포하며, 약초·고랭지 채소 등은 대단위 도매상과 판매점이 있다. 약초는 진부면, 고랭지 채소, 감자는 도암면, 송어는 미탄면, 산채 등은 고루 자리잡고 있다.
 
■ 지역별 특산물 및 재래장날
 
• 평창읍 송어·산머루·느타리버섯 / 5, 10일
• 미탄면 송어·옥수수·산채 / 3, 8일
• 방림면 표고·태양초고추·옥수수 / 2, 7일
• 대화면 태양초고추·옥수수 / 4, 9일
• 용평면 감자·산채·토마토
• 봉평면 메밀·허브 / 2, 7일
• 진부면 약초·산채·서주·표고 / 1, 6일
• 도암면 감자·대관령황태·한우 / 1, 6일
 
 
 

1.6. 지역의 별미음식

 
◈ 오대산 산채정식
무공해 건강식으로 각종 산나물의 맛과 향이 좋아 식욕증진에 좋다
△ 부림식당 ☎ (033)335-7576 진부면 하진부리 △ 오대산식당 ☎ (033) 332-6888 진부면 동산리 △ 삼청식당 ☎ (033)336-5617 도암면 횡계리 △ 비로봉식당 ☎ (033)332-6597 진부면 동산리
 
◈ 평창 송어회
송어의 고장으로 평창의 송어회는 담백한 맛과 영양이 풍부하여 여성미용식으로 인기가 있다.
△ 평창송어장 ☎ (033)332-0505 평창읍 상리 △ 강원수산횟집 ☎ (033)332-3702 미탄면 창리 △ 청옥송어촌 ☎ (033)333-1184 미탄면 창리 △ 무지개송어횟집 ☎ (033)333-1118 용평면 노동리
 
◈ 평창한우
대관령 초원에서 방목한 한우의 연하고 부드러운 육질은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 평창갈비 ☎ (033)332-2545 평창읍 하리
△ 본전갈비 ☎ (033)332-2622 평창읍 천변리
△ 산정회관 ☎ (033)335-5664 도암면 횡계리
△ 강원식당 ☎ (033)335-7062 진부면 하진부리
 
◈ 토속음식
△ 올챙이묵 : 수분이 많은 옥수수를 갈아 녹말로 만든 국수. 올챙이처럼 생겼다. △옥수수쪄서 말리기 : 옥수수를 쪄서 말렸다 겨울에 다시 쪄서 먹는다 △강냉이엿 : 옥수수로 만든 엿 △메밀만두국 : 만두속을 메밀가루에 묻혀서 삶는다. △개구리튀김 : 개구리를 밀가루에 묻혀 튀긴다. △개구리구이 : 소금을 뿌려가며 숯불구이한 요리다. △메밀두루말이 : 메밀로 만든 전병이며 두루말이 총떡이라 한다. △옥수수범벅 : 나물, 감자와 함께 맷돌에 갈은 옥수수를 섞어서 찐다. △감자녹말송편 : 썩은 감자녹말로 송편을 만들어 먹는다. △막국수 : 메밀가루로 만든 국수로 별미다. △기타 도토리간식, 송이구이, 묵나물요리, 고사리, 호박죽 등
강원도 평창군 정보
• 평창군의 예술문화자원
• 평창군의 생활문화자원
• 평창군의 역사문화자원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