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철원군 강원도 철원군 정보
강원도 철원군 정보
(보기 : 일자별구성)
(A) 철원군의 마을 소개
철원군의 생활문화자원
about 강원도 철원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23.12.01. 01:00) 
◈ 철원군의 생활문화자원
◈ 전통생활민속 - 토성농악, 상노리 지경다지기, 달맞이와 횃불싸움 / ◈ 구전설화 - 임꺽정과 고석정, 궁예와 금악산의 쓴곰취, 삼부연의 기우제, 도선국사와 도피안사, 승일교(承日橋)
목   차
[숨기기]
 

1. 생활문화자원

 
 

1.1. 전통생활민속

 
◈ 토성농악
농악은 우리나라 농경사회에서 희로애락과 생활감정을 뛰어넘는 예술적인 감각에서 각 지역마다 특이한 표현과 양식이 있지만 이고장 농악은 경기 농악의 쇠가락(리듬)과 연기 방법이 거의 동일하나 토속적 체취를 풍기는 토성농악(기능 보유자 최재길)이 있다(강원도 민속경연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 상노리 지경다지기
동송읍 상노리 마을은 주위에 금학산 등 높은 산봉우리들이 있으나 대부분의 지역이 강원도 최대의 곡창지대인 철원 평야에 속해 있고, 남북으로 길게 흐르는 한탄강 유역 곳곳에는 풍치가 좋고, 수려한 곳이 많아 자연스럽게 마을이 형성되어 가옥을 짓는 곳이 많았다. 상노리 지경다지기는 예로부터 마을 주위에는 논밭이 많아 생활이 넉넉하여 자연히 큰 기와집이나 재실을 많이 지었으며 농경지에 집을 짓다보니 터다지기가 성행하였다.
 
지경다지기는 음식을 차려 지신에게 제사를 드리고 마을을 돌며, 두레 풍물을 치고, 마을 잔치를 벌이는 농경사회의 생활을 보여주는 마을 공동체 형식의 민속놀이다(1999년에 전국민속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바 있다).
 
◈ 달맞이와 횃불싸움
정월 대보름날 횃불놀이 싸움은 지역별 동리마다 있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은 석전이나 횃불싸움이다. 동송읍민과 철원읍민이 영농을 위한 솔다리 놓기[無明川]와 읍민간의 화합과 결속을 모색하기 위한 선의적 경쟁을 벌이는 연중행사이다. 쫓기는 편이 패하므로 솔다리는 약속대로 지는 편에서 가설 또는 보수한다.
 
 
 

1.2. 구전설화

 
◈ 임꺽정과 고석정
천인의 자식으로 태어난 임꺽정(林巨正)은 용맹하고 인물이 출중하며 무술에도 능통하였다. 천인의 자식으로 등용하지 못한 울분을 품고 무리를 모아 큰 도적의 무리를 조직하여, 고석정(孤石亭)을 중심으로 석성을 쌓고, 함경도 쪽에서 상납되는 조공(朝貢)을 약탈해 서민에게 나누어 주었다. 조정에서 생포하려고 포졸들이 습격하면 고석정 아래 흐르는 한탄강 깊은 물속으로 들어가 ‘꺽지’로 변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훗날 임거정을 ‘임꺽정’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 궁예와 금악산의 쓴곰취
궁예(弓裔)가 도참설에 의해 905년 철원으로 천도하며, 도읍을 정할 때 금학산을 진산으로 정하면 300년은 유지되며, 고암산을 정하면 30년밖에 가지 못한다 하였으나 궁예는 고암산을 진산으로 정하게 되니 이로 인해 금악산이 대노하여, 3년간 울어 이 산에는 3년간 초목에 싹이 나지 않았으며 또한 그 후 금학산 주위에 있는 산까지 매년 자라는 식용 곰취의 맛이 매우 써서 먹을 수 없을 정도가 되어 쓴맛을 제거하여야만 먹을 수 있게 되었다 한다.
 
◈ 삼부연의 기우제
삼부연(三釜淵)은 가마가 셋으로 이루진 연유에서 붙여진 기암절벽을 이루는 철원팔경의 하나이다. 이곳에서 ‘용’ 이 승천하였다고 하여 용화동이라고 부른다. 기우제를 지내던 곳으로, 주민들이 삼부연(가마)에다 투석을 하여 그 가마가 메이도록 가득차면 우뢰와 동시에 폭우가 내려 순간에 투석을 쓸어 내리고, 원상으로 회복시키는 기이한 일이 생겼다고 한다.
 
◈ 도선국사와 도피안사
신라 경문왕 5년(865) 도선국사가 철조비로사나불좌상(鐵造毘盧舍那佛坐像)을 제조하여 수정산에 자리잡은 안양사로 이 불상을 봉안하기 위하여 여러 승려들과 같이 불상을 암소 등에 싣고, 먼길을 재촉하면서 고개 마루터에서 쉬기로 하였다. 재출발 직전 암소 등에 실렸던 불상이 자취를 감춘 것이다. 그래서 각 승려들은 분산하여 부근 일대를 찾기 시작했더니 동송면 관우리에 위치한 도피안사 자리에 이르렀을 때 그 불상이 이곳에 안좌한 자세로 있는 것을 발견했다. 도선국사는 불상이 안좌했던 그 자리에 암자를 짓고, 이 불상을 모셨다. 당시 철조불상이 피안(彼岸)에 도(到) 했다하여 사명(寺名)을 도피안사(到彼岸寺)로 명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국보 제63호로지정).
 
◈ 승일교(承日橋)
한탄강 중류지점인 고석정 윗쪽에 가설된 중요한 다리로서 해방 이후 인공치하(人共治下)인 1948년 군사도로로 주민들을 강제동원하여 기초공사와 교각반을 시공 중 6·25동란으로 중단되고, 1954년 수복후 남한에서 나머지 반을 시공하여 준공을 보게 된 역사깊은 대교이다. 남과 북이 각각 반식 가설하였다 하여 이승만 대통령의 승(承)자와 김일성의 일(日)자를 따서 승일교(承日橋)라고 철원주민으로부터 전해내려오고 있다. 남북분단의 역사적, 민족적 의의가 깊은 한(恨)많은 다리로 이지역의 향토유적으로 길이 남을 것이다.
 
 
 

1.3. 주민의 종교생활

 
◈ 동신신앙(洞神信仰)
동신신앙으로 행하여지던 성황제, 산신제, 기우제 등과 가신신앙으로 안택제, 성주신, 삼신 등이 있었는데 동신신앙으로 기원제례하던 신사(神祠)가 철원에 있었다. 성황사(城隍祠) 여단(廬壇), 사직단(社稷檀) 등의 신사이다. 그러나 동신신앙은 오늘날 몇몇 지역 마을에서 명맥만이 유지되고 있고 대중종교인 불교와 천주교, 개신교 등이 있다. 철원에는 개신교 93개소, 천주교 8개소, 불교 19개소, 향교 1개소가 있다.
 
◈ 향교
철원향교는 태봉국 왕건이 살던 집터에 설립되었다. 임진왜란 등 많은 재난이 있었으나 지금까지 유림들의 손으로 유지 보존되고 있다.
 
 
 

1.4. 주민의 생화권역

 
◈ 동송, 신철원, 와수리 생활권
남북분단으로 철원은 최전방으로 현재 동송 이평리를 중심으로 한 생활권과 신철원, 와수리를 중심으로 한 생활권으로 구성되어 각각 상설시장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으나, 각 지역마다 5일장이 개장되어 옛 향수를 찾을 수 가 있다.
 
◈ 농공단지(農工團地)
철원에는 농공단지 2개소가 있는데 군탄리 농공단지는 13개 업체가 입주할 수 있는 규모이며 김화 농공단지 역시 10개의 업체가 입주할 수 있다.
 
◈ 철원 농·특산물 유통공사
관내에서 생산하는 각종 농·특산물을 공급할 수 있는 유통공사를 설립 운영하고 있다. 특히 철원평야에서 생산하는 선도가 높고 밥맛이 좋은 ‘철원오대쌀’이 유명하다.
 
 
 

1.5.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 현무암 공예품
내륙지방 중 철원에서 나오는 현무암으로 만든 각종 공예품 (손맷돌, 자동식 맷돌, 각종 공예품)
 
◈ 삼지구엽초
다년생 약초로 깊은산 계곡에서 자생하는데 이곳 근남면 산간에 많이 자생하고 있다. 한방병으로는 음양곽이라 부르는데 강장제와 미용에 좋다.
 
◈ 무공해 유기자연 농산물
비무장지대에서 흐르는 청정수로 재배한 무공해 식품으로 담백한 맛과 영양이 풍부하다.
 
 
 

1.6. 농특산물 주문 및 직거래 안내

◈ 고석정 특산물 판매
청결미, 현무암 공예품, 삼지구엽초 동송읍 장흥4리 ☎ (033)455-8555
 
◈ 철원, 김화, 갈말, 동송농협 청결미
각 읍면 농협판매장 ☎ (033)455-2536, 458-2036, 452-2215, 455-4969
 
◈ 유기 농산물(6월∼10월)
수박, 오이, 토마토, 고추, 양상치, 소망농원, 한아름농원 ☎ (033)458-2958, ☎ (033)455-5320
 
◈ 백합사
현무암 공예품, 삼지구엽초, 동송읍 이평리 ☎ (033) 455-2073
강원도 철원군 정보
• 철원군의 역사문화자원
• 철원군의 생활문화자원
• 철원군의 예술문화자원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