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화성군 경기도 화성군 정보
경기도 화성군 정보
(보기 : 목록별구성)
2023년 12월
2023년 12월 1일
2005년 6월
2005년 6월 3일
화성군의 어제와 오늘
about 경기도 화성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05.06.03. 01:02) 
◈ 화성군의 어제와 오늘
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화성은 충·효·신의 정신을 간직하는 고장으로 고대로부터 우국충정의 선열과 수많은 문화유적과 정신문화유산의 보고이다. 경기도의 서남부에 위치한 2읍 13면으로 인구 18만3천 여명의 도·농 복합지역이며 광활한 임해평야지대로 공해에 오염되지 않은 비옥한 농산물과 풍부한 수산자원이 생산되고 있으며 자동차 관련산업 외 첨단미래산업의 연구와 생산의 중심지로 급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동과 정서의 축을 잇는 서해 낙조가 일품이며, 심신의 휴양관광지역으로 발길이 끊이지 않으며 “화성8경의 볼거리와 화성8미”로 불리는 먹거리가 풍부하여 화성은 현대인의 최적의 생활조건을 갖춘 지역으로 손꼽힌다.
화성의 연원은 삼한시대 마한(馬韓)의 54개 부족국가 가운데 모수국(牟水國)과 상외국(桑外國), 원양국(爰襄國) 3개의 부족으로 형성되어 고구려 장수왕(재위, 413∼491)때 매홀(買忽)군, 상홀(上忽)군으로 불리었으며 이후 당성(唐城)군으로, 통일신라시대에는 수성군, 조선조에는 남양도호부, 1949년 8월 15일 수원군에서 수원시와 화성군으로 분리되었으며 2001년 화성시(華城市)로 승격될 예정이다.
또한 1999년 시화호 일대에서 세계최대의 공룡 알 화석지가 발견되어 기존의 문화관광자원과 함께 자연사적 임해자원이 매우 풍부한 문화관광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화성군 연표>
시 대
연 대
주 요 사 항
 
고대
선사
고포리(어섬) 산패지
쌍정리 선돌
병점리, 송산리 지석묘군
 
청동기
용소리(곱은옥·대롱옥·간살돌촉)
 
삼한
마한(馬韓)의 54개 부족국가 중 모수국(牟水國), 상외국(桑外國), 원양국(爰襄國)
 
고구려
장수왕
고구려의 남진정책으로 모수·상외국은 매홀군(買忽郡)으로
원양국은 백제의 당항성(唐項城)→고구려의 당성군(唐城郡)으로
 
통일신라
757
경덕왕(景德王) 16년 (전국 9주로 통합)
매홀군→수성군(水城郡), 당성군→당은군(唐恩郡)→당성진(唐城鎭) 흥덕왕(興德王)4년
 
고려
934
수성군→수주(水州)→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1271)→수주목(水州牧)→수원부(水原府·1310)
당성진→당성군(940)→익주목(益州牧·1308)→남양부(南洋府·1310)
 
조선
1394
태조3년(1413) 양광도(楊廣道)의 수원부, 남양부를 경기도로 편입하여 수원도호부, 남양도호부→수원유수부(수원부, 남양부1793)→고종33년(1896) 경기도관찰부(수원군, 남양군)
 
근대
1914
행정구역통폐합으로 수원군·남양군→수원군(水原郡)
 
현대
1949
화성군(華城郡)
2001년 화성시(華城市)로 승격(예정)
 
 
 
 
 
 
정조대왕 능행재연
 
 
 
 
2.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삼국시대의 혈전장 백제, 고구려, 신라가 당나라와 문물교역의 교두보로서 지리적, 군사적 요충지이며, 한강 이남의 비옥하고 넓은 영토를 차지하기 위해 빈번한 충돌을 하였으며 신라가 진출하여 서해 해상을 장악하여 당나라와의 왕래를 통하여 삼국을 통일하게되는 배경으로서 중요했다.
 
◈독산성(禿山城) 세마대(洗馬臺)와 삼천병마골(三千兵馬) 전투 선조25년 임진왜란때 한양지역을 노리는 왜군의 배후를 차단하여 후방과의 연락과 보급을 끊기 위해 휘하의 병사(관군, 의병, 승병) 4천여를 이끌어 화성의 독산성에 진을 치고 왜군을 유인하였다. 왜군 3만이 3개 방면으로 독산성을 포위하였다.
권율은 야음을 틈타 기습을 펼치며 세마대에서 흰쌀로 말을 씻겨 성안에 물이 풍족함을 과시하는 계략과 다양한 심리전을 펼쳐 왜군이 견디지 못하고 물러날 때 지금의 봉담읍 상리 일대에 삼천병마를 우회하여 매복 기습함으로써 대승을 거두고 이후 권율은 승승장구하여 행주대첩에 승리한다.
 
◈화성의 3·1운동과 제암교회 학살사건 화성의 3·1독립만세운동은 타 지역보다 격렬하였으며 일제의 보복 또한 매우 잔혹하였다. 일찍이 화성에 정착한 동학의 천도교 및 개신교 세력과 수원일대의 학생운동단체의 영향으로 중앙의 3·1운동 추진본부와 직·간접적으로 협력하여 기미년 3월 1일에 만세운동을 펼치게 된다. 3월 중순 들어 화성의 각 읍 면의 대소마을(20여 곳)마다 장날을 기하여 면사무소와 주재소, 우편소 등을 습격, 돌을 던지며 거센 독립만세 시위를 하며 일제와 대치하였다.
화성의 사강에서는 3월 26일 송산면사무소에 120명이 몰려가 면장이하 직원들을 만세시위에 가담시키고 주재소로 몰려가 독립만세를 외쳤다. 다음날 400여 명으로 늘어나 이웃 서신면으로 가 만세시위를 계속하였다. 3월 28일 1천여 명으로 늘어난 군중은 일경과 대치하던 중 일경이 발포하자 그 일경을 돌로 때려 죽였으며 주재소를 습격 대치하였다. 이로 인하여 일제의 보복으로 많은 사람이 죽고 구금되었으며 사강리, 봉가리 일대의 가옥이 방화되었다.
제암리에서는 기독교도 안종후가 2월 하순 상경하여 3·1운동 지도자 이승훈, 박희도를 만나고 돌아와 동민들과 거사하여 1919년 3월 1일 제암리교회 마당에 모여 독립선언서 낭독과 대한독립만세를 부른 후 지내산에 봉화를 올리고 만세를 불렀다. 이후 4월 초순까지 제암리 및 발안지역 일대에서 일경의 타살사건과 일본인가옥 방화사건, 악질적인 친일경관 조희창의 살해사건 등 항거가 계속되었다.
4월 9일 사강반도를 휩쓸며 방화와 살인을 하며 시위 가담자를 색출 검거하고자 일본군인들이 제암리에 들어와 제암교회에 마을 주민들을 모이게 하여 방화와 총을 난사하여 23명을 학살하였다. 1982년 유일한 생존자 전동례의 증언으로 방치되어 있던 유해를 수습하여 순국23위의 합동묘가 제암교회 자리에 안치되어 사적 제299호로 지정되었다.
 
 
 
제암 3·1만세 순국유적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효자 최루백 최루백은 고려 의종(毅宗)때의 효자, 문신. 수주부(水州府, 현재 화성군) 사람으로 그의 효행은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 수록되어 오늘에 이르기까지 널리 기려져오고 있으며 『고려사』열전 권34 효우조에 기록되어 있다. 아버지 상저가 사냥하다가 호랑이에게 물려 죽으니 15세의 루백은 호랑이를 잡아 부친의 원수를 갚고자 하였다. 곧 도끼를 들어 쫓아가니 호랑이는 배가 불러 누워있었다. 루백이 꾸짖어 “네가 나의 아버지를 먹었으니 나는 마땅히 너를 먹으리라”하며 달려드는 호랑이를 단숨에 내리쳐 죽였다. 호랑이의 배를 갈라 아버님의 뼈와 살을 가려내고 호랑이 고기를 독에 담아 냇가에 묻고 아버님의 유해를 홍법산 서쪽에 장례모시고 3년을 시묘 살았다.
이후 시묘살이를 끝내고 냇가에 묻어둔 호랑이 고기를 다 먹었다 한다. 루백은 학업을 연마하여 벼슬길에 나가 의종 7년(1153) 금나라에 다녀와 국정에 관한 왕의 자문에 응하였으며 뒤에 한림학사에 이르렀다. 현재 봉담읍 분천리에 그의 효행을 기리는 효자비각이 있으며 향토유적 제2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 문장의 기재 서거정(1420∼1488) 조선전기의 문신 학자로서 호는 사가정이며 본관은 달성이다. 세종 26년(1444) 과거에 급제를 하고 이후 여러 과시에 장원급제 등을 통하여 중용 되어 세조 6년(1460)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가서 문장과 시를 논하여 해동의 기재라는 평을 받았으며 귀국하여 6조판서를 두루 거처 성종1년(1470) 좌찬성에 올라 이듬해 좌리공신 3등으로 달성군에 봉해졌다.
그는 생애 4번의 과시를 오르고 여섯의 임금을 섬기며 45년 동안 관직에 머물렀다. 문장에 능해 『경국대전』, 『동국통감』, 『동국여지승람』, 『향약집성방』 등의 편찬과 국역 등에 참여하였으며, 『동인시화』, 『삼국사절요』, 『동문선』, 『역대년표』, 『필원잡기』, 『사가집』, 『태평한화』, 『골계전』, 『오행총괄』 등 많은 저술을 하였다.
묘소는 본래 광주군 송파 방이동에 있었으나 1975년 봉담읍 왕림리에 이장되었다. 당시 출토된 묘지석은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36호로 지정 경기도 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비운의 남이(南怡) 장군 조선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의령이며 의산군 휘(暉)의 아들이며 태종의 외손이다. 세조 3년(1457) 17세에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세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세조 13년(1467) 이시애의 난을 토벌하고 이후 서북지역을 평정하여 27세에 병조판서가 되었으나 1468년 그를 시기하던 유자광의 모함으로 살해되었다. 순조18년(1818)에 복구되어 충무라는 시호를 받았다. 묘소는 비봉면 남전리 존의동에 있으며 경기도 기념물 제13호로 지정되었다.
 
◈조선후기 실학자 우하영(禹夏永, 1741∼1812) 영조 17년에 태어나 순조 12년간의 인물로 본관은 단양이며 호는 취석실·성석당으로 조선후기 화성출신의 대표적인 실학자이다. 그는 여러번 과시에 낙방하나 실망하지 않고 청렴강직한 지사적 삶을 살며 경세치용(經世致用),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실학을 탐구하여 『천일록』, 『농가총람』, 『관수만록』 등의 저술을 남겼다.
그의 저서 『농가총람』은 18세기말의 대표적인 농서로서 정농사상을 높이고 시대가 당면한 농업과 전제(田制)의 문제점을 개혁과 실용적 측면에서 서술하였으며 『관수만록』은 화성지역의 농업, 행정, 군사, 사회, 지리, 경제 등의 여러 문제점과 개혁 방안을 깊이 있고 생생하게 제시한 명저로서 18세기 향토사와 사회경제사를 연구하는데 매우 획기적인 저술로 평가받고 있다.
 
◈태극기의 창시자 박영효(朴泳孝, 1861∼1939) 조선말의 개화파 정치가로 호는 현현거사(玄玄居士)이며 철종의 사위이다. 화성 태안 진안리에서 출생하여 13세에 철종의 딸 영혜옹주(永惠翁主)와 혼인하여 금릉위(錦陵慰)가 되었다. 선각자 유대치에게 사상적 영향을 받아 김옥균, 홍영식, 서광범 등과 개화당의 핵심인물이 되었다. 고종 19년(1882) 수신사가 되어 일본으로 갈 때 선상에서 태극기를 창제하였다. 이후 1884년 10월 17일 갑신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였으나 3일만에 혁명이 실패하여 김옥균 등과 일본으로 망명했다. 이후 각종 정치쟁점에 휘말리며 제주도에 유배되기도 하였다.
 
◈근대음악의 선구자 홍난파(1897∼1941) 한국 근대음악의 선구자로 본명은 영후이며 남양면 활초리에 생가가 있다. 1915년 조선정악전습소 양악부를 마치고 동경 음악학교를 졸업한 뒤 귀국하여 음악활동을 하였으며 1931년 미국으로 가 셔어우드 음악대학에 유학하고, 1933년에 돌아와 본격적인 양악의 전파 보급에 나선다.
그는 미국 유학시절 흥사단가를 작곡하고 3·1 기념식을 열어 만세를 불렀다는 혐의로 안창호, 이광수와 함께 72일간의 종로경찰서 구금시 고문으로 머리를 다쳤으며 미국유학시절 자동차 사고로 늑골을 다친 것이 재발되어 1941년 7월 사망하였다. 수많은 작곡으로 나라 잃은 국민들의 시름을 노래한 「봉선화」, 「성불사의 밤」, 「옛 동산에 올라」 등의 민족적 정서와 애수가 담긴 가곡과 「달마중」, 「낮에 나온 반달」등의 동요를 작곡하였으며 『음악만필』 『세계의 악성』 등의 저서를 남겼다.
 
◈「나는 왕이로소이다」 홍사용(洪思容, 1900∼1947) 근대 한국의 대표적 문인으로 호는 노작이다. 1916년 휘문의숙을 졸업하고 3·1운동에 가담하여 한때 구금되었다. 1922년 이상화. 박영희, 박종화 등과 『백조』를 창간하여 「백조는 흐르는데 별 하나 나 하나」, 「나는 왕이로소이다」등의 낭만적 서정시를 발표하였다.
이후 『백조』의 간행과 1923년 토월회의 동인으로 박승희 등과 신극운동에 참여하여 희곡과 소설을 발표하였다. 토월회, 산유화회 등 극단운영에 가산을 모두 소비하고 낙향하여 전국 방랑을 하였으며, 1941년 일제의 강요에 의해 『김옥균전』을 쓰다가 절필하였으며 해방 후에는 청년운동에 참여하다가 곧 탈퇴하고 1947년 1월 별세하였다. 동탄면 석우리 그의 묘소에 시비가 있다.
 
내 고장의 문화유산
■국보
◈용주사 범종 제120호 태안읍 송산리 188
 
■보물
◈봉림사 목아미타불좌상 제980호 남양면 북양리 642
 
◈봉림사 목아미타불좌상 복장전적 제1095호
 
■사적
◈당성 제217호 서신면 상안리 산32
 
◈융·건릉 제206호 태안읍 안녕리 산1-1
 
◈제암리 3·1운동순국유적 제299호 향남면 제암리 322-4
 
■천연기념물
◈용주사 회양나무 제264호 태안읍 송산리 188
 
 
 
용주사 회양나무
◈시화호 공룡알화석산출지 제414호 화성군 송산면 고정리∼우음도 일대
 
 
 
시화호 공룡알 화석지
 
 
 
공룡알 화석
■중요민속자료
◈정용채가옥 제124호 서신면 궁평리 236
 
◈박희석가옥 제125호 서신면 궁평리 84-1
 
■유형문화재(이하 도지정)
◈금동향로 제11호 태안읍 송산리 188
 
◈청동향로 제12호 태안읍 송산리 188
 
◈용주사상량문 제13호 태안읍 송산리 188
 
◈전적수사본 제14호 태안읍 송산리 188
 
◈용주사 병풍 제15호 태안읍 송산리 188
 
◈용주사 대웅전 후불탱화 제16호 태안읍 송산리 188
 
◈용주사 불설부모은중경 제17호 태안읍 송산리 188
 
◈윤계선생 순절비 제85호 남양면 남양리 1392-1
 
◈서거정 선생 묘지석 제136호 봉담읍 왕림리 47-1
 
◈박세채 영정 제163호 동탄면 영천리 142
 
■무형문화재
◈부의주(동동주) 제2호 향남면 구문천리 540-4
 
■기념물
◈남이장군묘 제13호 비봉면 남전리 145
 
◈백천장선생묘 제86호 태안읍 기안리 산 7
 
◈수원 고읍성 제93호 태안읍 기안리 산 1
 
◈신빈 김씨묘 제153호 남양면 남양리 131-7
 
◈만년제 제161호 태안읍 안녕리 152
 
◈남양홍씨묘역 제108호 서신면 홍법리 산 30
 
■민속자료
◈정원채고가 제6호 남양면 송림리 68
 
■문화재자료
◈남양향교 제34호 남양면 남양리 335
 
◈용주사 대웅보전 제35호 태안읍 송산리 188
 
◈용주사 천보루 문화재자료 제36호 태안읍 송산리 188
 
◈홍승인 고가 제74호 정남면 문학리 628
 
■향토유적
◈안곡서원 제1호 서신면 상안리 585
 
◈최루백 효자각 제2호 봉담읍 분천리 165-1
 
◈이곤선생 효자문 제3호 봉담읍 상리 산97
 
◈홍담효자각 제4호 서신면 홍법리 산32
 
◈한명윤, 박행장 충렬각 제5호 양감면 정문리 189-2
 
◈박장철 효자각 제6호 동탄면 장지리 493-2
 
◈금산사 제7호 팔탄면 창곡리 산14
 
◈수촌교회 제9호 장안면 수촌리 674-1
 
■비지정 문화유적
◈선사·유적·패총·산포지·고분등(10점)
 
◈관방유적 등(16점)
 
◈불교유적 칠보사 등(19점)
 
◈유교유적 명고서원지, 매곡서원지 등(2점)
 
◈묘역, 비갈, 윤사물 묘갈 등(17점)
 
◈기념비외 사강리 3·1운동 기념비 등(8점)
 
◈가옥 남양홍씨 가옥 등(4점)
 
◈열녀·효자비 (각 6점)
 
 
 
 
 
 
3. 생활문화자원
 
전통생활민속
◈전승놀이 화성은 수도작을 주업으로 하여 왔기 때문에 전승되는 놀이로는 용줄다리기와 지신밟기, 농악놀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의 다산(多産)을 기원하는 전승놀이가 성하여 지금까지 전하여지고 있다. 정월 보름을 기하여 대동놀이로 보통내용줄다리기, 원리줄다리기, 기안말줄다리기와 역말농악, 모내고 논을 맬 때 부르는 구장터면생이 등을 비롯하여 윷놀이, 씨름, 연날리기, 그네뛰기 등의 놀이가 행하여지고 있다,
 
 
 
용줄다리기
◈집성촌 화성은 본래 남양이라는 옛 지명으로 남양홍씨(南陽洪氏) 당홍계(唐洪系)와 토홍계(土洪系)들이 집성을 이루어 살며 남양을 본향으로 하는 성씨로는 방(房)·전(田)·김(金)·송(宋)·갈(葛)씨 등이 있다.
 
구전설화
◈지역속담 수원 깍쟁이 발가벗고 30리 뛰어간다 / 남양 원님 굴회 마시듯 한다 / 짜다짜다 해도 남양소금보다 더 짜다
 
◈청태종이 눈 먼 이유 병자호란 때 청태종이 군대를 이끌고 남양 땅에 당도하여 지리를 살피니 이상하게도 마을 곳곳에 봉의 이름을 많이 쓰고 있어 주민에게 물으니 겁에 질려 “봉황새를 본 적은 없지만 봉황의 굴은 있습니다”하여 청태종은 주민을 앞세워 산에 다달아 이곳에서 잠시 기다리면 봉황을 볼 수 있다하니, 그만 잠시를 기다리지 못하고 불을 피워 연기를 굴 안으로 보내라고 명령하였다. 자욱한 연기 속에서 뚫고 나온 무언가가 청태종의 한쪽 눈을 치고 나갔다. 이 바람에 청태종은 한 쪽 눈이 멀었다 한다.
 
◈일기 예보하는 비석들 비봉면에 창녕조씨의 묘역에 얽힌 이야기로 조상 대대로 이 비석들은 평상시에는 잘 보이는데 이상하게도 그 비석들이 하나도 보이지 않을 때면 영락없이 비가 내렸다. 따라서 비석이 보이지 않을 때면 마을 사람들은 홍수에 대비하는 준비를 미리 할 수 있다고 한다.
 
◈송충이를 깨문 정조대왕 정조대왕께서 부왕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으로 옮겨와 능 주변에 소나무, 잣나무, 상수리나무, 밤나무, 호두나무 등을 조림하였는데 어느 해 송충이의 피해가 극심하여 융릉 주변 마을에 명을 내려 송충이를 잡게 하여 송충이 한 사발에 엽전 7푼을 대가로 주었는데 그렇게 잡은 송충이가 수천 섬에 달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송충이의 극성은 날이 갈수록 더하여 결국은 급한 전갈을 받은 정조가 몸소 행차하여 보니 송충이의 기승이 말이 아니었다. 정조는 참을 수 없어 송충이를 잡아 입에 깨물며 “아무리 미물일 망정 네 어찌 정성껏 가꾼 친산의 솔잎을 모두 갉아먹느냐”하니 갑자기 검은 비와 뇌성벽력이 치더니 나무의 송충이들이 모두 떨어져 죽었다는 효성 어린 일화는 이 지역의 충효정신의 근본이기도 하다.
 
주민의 종교생활
화성은 서해안을 접하고 있어 일찍이 외래종교의 유입이 빨랐으며 동학의 영향으로 천도교가 역시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화성에 넓게 자리잡고 있었다. 화성에는 천주교 박해성지 및 종교와 관련하는 문화유적이 있다. 화성의 개신교회사는 100년을 맞고 있다.
 
◈남양성지(南陽聖地) 남양면에 위치한 이 성지는 1866년 병인박해 때 무명의 교인들이 순교한 곳으로 성모의 품처럼 아늑한 자연경관을 지닌 곳으로 1991년 한국교회사상 처음으로 성모마리아 순례성지로 선포되었다.
 
◈제암교회 제암리 3·1운동 순국유적지는 1919년 격렬한 3·1 만세독립 운동을 하다가 일본 헌병들에 의해 교회에 갇혀 학살당한 천도교도와 개신교도 23위의 합장묘소와 기념관 등이 있다.
 
 
 
제암 3·1 독립만세 순국유적
지역의 별미음식
◈화성 불낙지 인근청정 바다에서 생산되는 낙지를 전통조리방식에 따라 조리하는 일품요리이다.
 
◈화성 굴밥 옛날 임금님께 진상하던 자연산 굴과 양념으로 밥을 지어 맛장과 굴탕을 곁들이면 더욱 담백하다. (10월~4월까지 먹을 수 있는 계절식)
 
◈게장 화성지역에서 많이 나는 꽃게와 박게를 이용하여 집집마다 색다른 게장의 양념과 조리방법 등으로 진미의 게장을 담가 먹었으며 회나 게장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곳이 있다.
 
◈바지락 칼국수 화성을 찾는 많은 관광객들이 지역특색 음식으로 선호하며 싱싱한 해물이 듬뿍 들어 시원한 맛이 입맛을 돋게 한다.
 
◈왕새우회와 소금구이 화성 해안지역의 염전 등지에서 왕새우(대하)를 대량 양식하여 곳곳에서 싱싱한 왕새우를 회나 소금구이로 먹을 수 있다.
 
◈각종 생선회와 조개구이 청정 해역의 싱싱한 생선과 조개를 위생적으로 조리하는`곳곳의 포구와 사강지역에 대규모 횟집촌이 있어 게장과 담백한 생선회와 매운탕 그리고 조개구이를 사철 맛볼 수 있는 별미이다.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부의주(경기도무형문화재 제2호) 향남면 구문천리에서 생산되는 부의주는 약간 불투명한 황갈색으로 맛과 외관이 일반 약주와 비슷하지만 양호한 술맛으로 잡미와 산미가 강하게 느껴지고 본래 주정도수는 16%인데 현재는 11%로 낮게 만들고 있다.
 
<화성8미>
종 류
내 용
 
보약이 따로 없는 화성수라정 쌀
 
포도
당도가 전국 제일의 화성 꿀포도
 
느타리버섯
무공해 청정수로 키운 화성 느타리버섯
 
꿀참외
유기농업으로 재배한 화성 꿀참외
 
한우고기
푸른들과 청정자연에서 키워진 화성한우고기
 
알타리 무
무공해 황토에서 재배한 화성 알타리 무
 
불낙지
맛의 왕 갯벌 화성 불낙지
 
바지락
갯벌속의 진미 화성 바지락
 
 
 
 
 
 
 
 
 
4. 예술문화자원
 
지역문화예술행사
◈화성군민의 날 매홀문화제 [상세정보] 매년 9월 28일부터 5~6일간 화성의 매홀 문화축제 기간으로 정하고 2000년 현재 제25회 화성군민의 날 및 제12회 매홀문화제 행사가 개최되고 있다.
△매홀문화행사 내용 : 정조효행대제 / 쌀아가씨선발대회 / 매년 군민노고를 위안하기 위하여 전국노래자랑대회 형식으로 진행 / 재향, 출향 예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하여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
 
◈단봉예술제 문화수련센터 ‘쟁이골’에서 매년 각 장르의 문화예술인과 단체들이 참여하여 한마당 예술의 장을 펼치고 있으며 폐교된 학교를 활용하여 실내외에서 조각, 도자기, 사진, 미술, 서예 등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으며 평시에도 문화예술 휴식장소로 개방되고 있다.
 
◈노작 홍사용 추모 문학행사 (사)한국문인협회 화성지부에서 매년 노작 홍사용을 추모하는 행사로서 학생백일장 및 시낭송 등을 하여오고 있으며 2000년은 노작 탄생 100주년을 맞아 『노작 홍사용 전집』 발간, 「노작의 생애와 문학」이란 세미나와 그의 생애를 연극화하여 공연하였다.
 
◈제암3·1독립만세운동 재현 행사 매년 3월 1일 제암순국유적지와 발안장터에서 3·1독립만세운동재현에 따른 만세 행진길놀이, 시낭송, 넋풀이 고전무용, 마당극 등을 통하여 숨져간 영령들의 넋을 달래기 위한 행사를 펼치고 있다.
 
◈포도축제(송산·서신 포도축제) 전국 제1의 당도를 자랑하는 포도의 주산지인 송산면, 서신면 일대에서 전국 유일하게 면 단위에서 농특산물을 소재로 한 포도축제를 통하여 도시와 농촌간의 직접 염가 판매 및 농민위안행사로 노래자랑대회, 체육행사, 무료 포도시식행사 등을 하고 있다.
 
지역문화예술단체
◈(사)한국문인협회화성군지부 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조암리 270-1 ☎ (031)351-0915
 
◈넝쿨문학회(여성문우회) 경기도 화성군 봉담읍 유리 67번지 ☎ (031)227- 1491
 
◈매홀 사진동호회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평리 81-51 화성문화원 ☎ (031)353-6330
 
◈화성군어머니합창단 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조암리189-12 동명2차 가-10 ☎ (031)351-6262
 
지역언론기관
◈경인매일 경기도 화성군 남양면 남양리 산 235-1. ☎ (031)355-9691∼6. www.kmail.co.kr
 
◈화성오산신문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장짐리 273-2. ☎ (031)3535-116. HOSH6321@chollian.net
 
◈화성네트워크(유선방송) 경기도 화성군 봉담읍 수영4리 648-13. ☎ (031)297-5736
 
문화예술교육·연구기관
◈수원대학교·대학원 인문학부, 미술학부, 음악학부, 체육무용학부, 경기도 화성군 봉담읍 와우리 산 2-2. ☎ (031)222-2101
 
◈협성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디자인학과, 음악학과, 미술학과, 경기도 화성군 봉담읍 상리 8-1 ☎ (031)299-0900
 
◈수원과학대학 산업미술학과, 음악학과, 방송연예, 경기도 화성군 정남면 보통리 산9-10 ☎(031)353-8980
 
◈장안대학 문예창작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산업금속공예학과, 경기도 화성군 봉담읍 상리 460 ☎ (031)299-3000
 
◈비봉종합고등학교 산업디자인과, 경기도 화성군 비봉면 양노리 260-1 ☎ (031)356-0794
 
지역문화예술 시상제도
◈화성군문화상 화성군청에서 주관하며 6개 분야(애향봉사, 효행, 향토교육, 지역개발, 문예진흥, 체육진흥)의 공헌 봉사자에게 매년 8월 수여함.
 
지역출신 예술인
◈박승극(朴勝極) 1909년 12월 경기도 화성군 양감면 정문리에서 태어나 조국해방운동과 농민운동에 투신하여 일제에 의해 감옥생활을 하기도 했다. 카프에 가맹하여 1929년 『조선지광』에 일제하의 농민문제를 다룬 단편소설 『농민』을 발표하였다.
이후 소설창작과 문학비평을 하였으며 『농민문학 진흥론』, 『농민문학 신과업』등의 주장은 토지분배, 토지개혁 등의 이슈가 되었으며 조선 문학가동맹의 임원으로 활동하다 1948년 월북해 1970년대 중엽까지 활동하였다.
 
◈박팔양(朴八陽) 1905년 현 태안읍 곡반정리에서 출생, 1916년 배제고보에 진학하여 김기진 ,나도향, 박영희 등과 교류하면서 1925년 <카프>의 초기회원으로 조선프로문예운동을 하였으며 민족과 조국의 현실문제에 몰입하여 신경향파 문학을 지향케 된다. 1923년 동아일보 기자로 중외일보, 조선중앙일보를 거처 1937년 만선일보(滿鮮日報)의 학예부장, 사회부장으로 만주로 간다.
이후 해방이 되어 귀국이 늦어져 북한에 잔류하여 활동하다가 1966년 반당종파분자로 숙청되었다. 결국 월북작가로 분류 규제되었다가 1988년 해금되었다. 그는 『여수시초』외 『박팔양시선집』등을 남겼다.
 
◈정대구(鄭大九) 1936년 송산면 지화리에서 출생하여 명지대를 졸업하였다. 1972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시 「나의 친구 우철동씨」가 당선되어 활발한 시작활동과 명지대, 숭실대 등에 출강하며 시집 『나의 친구 우철동씨』, 『겨울 기도』, 『무지리 사람들』, 『우리들의 베개』, 『두귀에 바퀴를 달고』외 수권을 출간하였다.
 
◈홍신선(洪申善) 1944년 동탄면 석우리 능안마을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65년 시문학으로 등단하였다. 현재 동국대학교 국어 국문학 교수로 재직하며 『서벽당집』, 『겨울섬』, 『삶, 거듭 살아도』, 『우리 이웃 사람들』, 『다시 고향에서』, 『황사바람 속에서』 6권의 시집과 『현실과 언어』외 5권의 비평집을 펴내었다.
 
◈송영방 1935년 우정면 화수리에서 출생하였다. 현재 동국대학교 예술대학장으로 한국화를 전공하여 대표작으로 「정토」, 「귀몽」, 「천불천탑동」(산수화) 등의 많은 작품이 있다.
 
◈장윤우 1936년 남양면에서 출생하였다.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및 시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왈종 1945년 마도면 해문리에서 출생하여 건국대학을 졸업하였으며 제2회 미술기자상을 수상하는 등 활발한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지역소재 예술작품
◈『먼동』 작가 홍성원. 1993년 동아일보 연재. 개화기의 격변하는 시대상황 속에서 화성지역의 남양, 마산포, 수원 일대를 무대로 의병활동과 서민들의 생활상이 전개됨.
 
◈『다시 월문리에서』 작가 송기원. 1980년대 팔탄면 월문리를 배경으로 마을사람들이 소설 속에 등장 한다.
 
 
 
 
 
 
5. 관광, 여가문화자원
 
관광자원
◈화성8경
·제1경 융건백설(隆健白雪)태안읍 안녕리 융건릉
·제2경 용주범종(龍珠梵鐘)태안읍 송산리 용주사
·제3경 제부모세(濟扶모세)서신면 제부리
·제4경 궁평낙조(宮坪落照)서신면 궁평리
·제5경 남양황라(南陽黃羅)장안면 수촌리→우정면 이화리
·제6경 입파홍암(立波紅岩)우정면 국화리 입파도(섬)
·제7경 제암만세(堤岩萬歲)향남면 제암리
·제8경 남양성지(南陽聖地)남양면 남양리
 
◈제부도 조수간만으로 섬의 출입이 통제되며 바닷물이 갈라지는 장관을 ‘제부모세’라 일컬어 부르며 고운 모래사장으로 해수욕과 주변의 빼어난 자연경관, 갯벌체험을 할 수 있으며 주변의 회집에서 싱싱한 회를 맛볼수 있다.
 
 
 
제부도
◈궁평리 해변 제부도와 인근하며 해안가에 100년 이상의 소나무 군락있어 항시 바닷바람이 있으며 해수욕과 갯벌을 이용하는 일광욕과 우리나라 정서(正西)의 황홀한 낙조를 감상 할 수 있다.
 
◈왕모대 포구 작은 포구로 아기자기한 주변풍광과 바다낚시는 물론 수로낚시를 할 수 있으며 역사적 가치가 매우 깊은 곳이기도 하다.
 
 
 
왕포대 포구
◈선창 포구 어촌마을 포구로 철마다 다양하고 싱싱한 횟감과 어패류가 생산되어 많은 사람들이 내왕한다.
 
◈융건릉과 용주사 사도세자의 융릉과 정조대왕의 건릉이 있다. 또한 인근에 사도세자의 명복을 위해 건립된 용주사는 많은 국보급 문화재와 천연기념물 제264호 회양나무가 있으며 효행(孝行)문화의 육성 지역이며 화성팔경으로 수려한 경관을 볼 수 있다.
 
◈제암 3·1독립만세 순국유적 향남면 제암리에는 3·1독립만세 운동으로 일제에 의해 무참하게 학살된 23위의 순국 합장묘소와 기념관이 있다.
 
◈입파도 입파홍암이라 하여 화성팔경의 하나인 섬으로 항상 맑은 파도 속에 우뚝 솟은 붉은 바위의 경관과 고운 백사장으로 바다낚시와 해수욕을 함께 즐길 수 있으나 정기 여객선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공룡알 화석 산출지 2000년 4월 천연기념물 제414호로 지정된 송산면 고정리와 우음도 일대로 약 1억년전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층이 시화호 물막이공사로 인하여 세계최대 규모의 공룡알 화석이 발견되었다.
 
◈남양성지 1866년 병인박해 때 무명의 교인들이 순교한 남양순교성지는 아늑한 자연경관의 순례지이다.
 
관광시설
◈어도 시화호 공사로 인하여 내수면으로 변했으나 넓은 갯벌과 일정한 풍향의 영향을 받아 경량비행기, 글라이더, 모형비행기, 윈드서핑, 승마, 자동차 및 모터사이클 경주연습, 모터보트 등 각종의 레저문화가 수용되어있다.
 
◈초록산삼림욕장 양감면 사창리 일대 97ha. 연중 무휴로 입장료 없음. 편의시설- 전망대, 대피소, 정자, 임간교실, 약수터, 음수시설, 족구장, 잔디광장 등이 있다.
 
◈경기종합사격장 양감면 사창리 810-2. 국제 경기 시설 (연중무휴) ☎ (031)352-6056/370-7931
△시설 클레이 사격장 (트랩, 스키트, 아메리칸트랩) 실내 사격장 (10m공기소총, 10m런닝 보아, 25m. 50m 화약총), 기타 편의시설(식당, 휴게실)
 
◈문화수련센터‘쟁이골’ 서신면 장외리의 폐교된 학교를 활용하여 실내외에 조각, 도자기, 사진, 미술, 서예 등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으며 단체 숙식 교육의 장소와 평시 문화예술 체험공간으로 개방된다.
 
◈청려수련원 동탐면 중리 계곡에 위치하여 완벽한 부대시설과 넓은 자연환경을 갖춘 연수시설이 있다.
 
◈문화의 거리 보통리 인근의 대학가와 보통저수지 주변의 자연풍광과 함께 찻집 및 전문 식당들이 밀집해 있으며 문화의 거리로 지정되었다.
 
◈사강 회집거리 송산면 사강시장에는 길 양편으로 50여 곳의 회집 거리가 형성되어있어 인근 바다의 싱싱한 횟감과 각종의 조개구이 등을 제공하는데 집집마다 독특한 게장과 색다른 조리솜씨로 유명하다.
 
◈화성온천지대 화성군 팔탄면 일대에 양질의 온천을 개발하여 성업중이다
 
◈낚시터 각 지역마다 내수면 낚시터가 있으며 해안에 접한 곳에서 수로낚시와 바다낚시를 할 수 있다.
 
관광코스
◈1일코스(승용차, 전세버스) ① 용주사(5)→ 융건릉(40′)→ 홍난파 생가(10′)→ 남양순교성지(25′)→ 당성(10′)→ 쟁이골(25′) →제부도(30′) →궁평해안(10′) →왕모대 포구 ② 용주사(5)→ 융건릉(30′)→ 경기종합사격장(5′)→ 초록산삼림욕장(30′) →제암3·1유적지(20′)→ 홍난파생가(10′) →남양순교성지
 
관광안내
◈화성군청 문화관광과 ☎ (031)370-7068~9 www.hwasung.kwonggi.kr
 
 
 
 
 
 
6. 문화시설자원
 
화성군립도서관
◈태안도서관 태안읍 안녕리 20-1. ☎ (031)223-4764. 장서수 - 도서 15,946권 비도서 924점. 열람석 372석. 향토자료실(24평) - 무자위 외 51종 민속생활용품
 
◈남양도서관 남양면 남양리 1584. ☎ (031)356-5241. 장서수 - 도서 23,096권, 비도서 678점. 열람석 250석
 
문고(작은 도서관)
◈진명문고 25평 / 20석 / 3,500수. 정남면 백리174 ☎ (031)352-2488
 
◈발안신협 문고 40평 / 25석 / 5,000수. 향남면 평리81 ☎ (031)352-5811
 
◈신현대 2차아파트 마을문고 16평 / 16석 / 1,365권. 태안읍 송산7리 신현대 2차아파트 ☎ (031)236-7536
 
◈송산2리 마을문고 10평 / 10석 / 3,500권. 태안읍 송산2리 마을회관 ☎ (031)223-9911
 
◈정남 천주교도서관 27평 / 40석 / 2,500권. 정남면신리 천주교 성당내 ☎ (031)352-3023
 
◈서신 작은도서관 13평 / 22석 / 2,000권. 서신면 매화리 374 ☎ (031) 357-2584
 
◈산호아파트문고 숲속나라 24평 / 24석 / 1.100권. 장안면 사곡리 170 ☎ (031)351-3814
 
◈화성 문고 11평 / 15석 / 1,200권. 태안읍 병점리 407-4 ☎ (031)222-0811
 
문화원
◈화성문화원 1964년 설립되어 지역의 향토문화의 발굴 보존과 각종의 문화예술 향유와 발전을 위한 다양한 문화행사를 하고 있다.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평리81-51 ☎ (031)353-6330∼1
경기도 화성군 정보
• 화성군의 역사문화자원
• 화성군의 어제와 오늘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