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연천군 경기도 연천군 정보
경기도 연천군 정보
(보기 : 일자별구성)
(A) 연천군의 마을 소개
연천군의 역사문화자원
about 경기도 연천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23.12.01. 01:00) 
◈ 연천군의 역사문화자원
◈ 역사적 사건과 현장 - 숭의전사 왕순례의 비 / ◈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집현전 학사 최항, 고려진사 이양소, 항일독립투사 왕회종 / ◈ 내 고장의 문화유산 - 숭의전, 경순왕릉, 전곡리 선사유적지
 

1.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 숭의전사 왕순례의 비
미산면 아미산자락에 숭의전사 왕순례비가 있다. 이 비는 1988년 9월 마전∼아미간 도로가 개설되면서 확장공사하던 도중 처음 발견되었다. 비신의 규모는 높이 60cm, 너비 37cm, 두께17cm로 전면에는 「통훈대부 숭의전사 왕순례지묘(通訓大夫崇義殿使 王循禮之墓)」라고 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성화21년 8월 일(成化二十一年 八月 日)」로 음각되어 있다.
 
그 당시 공사현장에는 이미 묘지의 형태를 찾아볼 수 없었고 광중에 있던 숯단만 확인되었다. 이외에 다른 유품이나 유물은 발견되지 못한 상태에서 묘비만 도로변으로 옮겨 놓은 채 현재까지 그대로 방치되어 오고 있다.
 
왕순례의 본명은 왕우지(王牛知), 고려 현종의 원손(遠孫)으로 왕휴(王休)의 후취인 오씨의 소생 왕미(王美)의 아들이다. 고려가 망한 뒤 조선왕조의 핍박을 피해 양어머니의 손에 양육되어 공주 왕촌, 지금의 충청남도 공주시 상왕동 중동골(추정)에 숨어살고 있었다. 그런데 조선왕조는 유화정책으로 1397년(태조 6)고려 태조 왕건의 원찰(願刹)이었던 앙암사(仰巖寺, 지금의 숭의전 자리)터에 묘(廟)를 세우고 1399년(정종 원년) 고려 태조 왕건을 주향(主享)하여 많은 업적을 쌓은 혜종, 성종, 문종, 현종, 원종, 충렬왕, 공민왕 등 8왕 위패를 봉안하는 묘전을 만들었다. 그러다가 1425년(세종 7) 조선의 종묘에는 5실을 제사하는데 고려조의 8왕을 제사함은 합당치 않다는 유사(有司)의 헌의(獻議)에 의해 태조, 현종, 문종, 원종 등 4왕을 모셔두고 춘추로 봉향하였다.
 
1451년(문종 원년) 묘전을 숭의전이라 이름짓고 그곳에 고려조의 공신 정몽주 외에 열 다섯 신하를 배향(配享)하였다. 그 후 조선조 왕실에서는 태조 이성계가 왕위에 즉위 한지 60년이 지나서 전멸되어 가는 고려왕실의 후손들을 찾고 있을 때 왕우지가 공주에서 제(齊)씨로 개명하여 농사를 짓는 도중 하루는 밭을 갈다 말고 이웃사람과 밭 경계로 다투게 되었는데 이웃 사람은 왕씨가 변성한 자라 하며 관아에 밀고하여 붙잡혀 오게되자, 공주목사는 왕우지를 예우하여 한양으로 보내게 되었다.
 
한양에 올라온 왕우지는 왕명에 의해 왕순례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 그해 문종이 죽은지 5일 후인 1452년 단종 즉위 5월 19일 의정부에서는 예조의 정문에 의거하여 전조 왕씨를 봉사하는 조건으로 7월 왕순례를 숭의전 부사로 삼았던 것이다.
 
그후 숭의전은 훈(勳)으로부터 긍수(兢修)에 이르기까지 10세(世)를 대(代)로 전하여 전감(殿監)이 되었는데 1870년(고종 7)에 이르러 전감의 직책을 고쳐 참봉을 전임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왕순례 묘비는 숭의전을 비롯한 마전군 연혁의 상당한 실증적 사료로서 매우 중요한 금석문일 뿐만 아니라 우리 나라의 여조(麗朝)사료에 가치 있는 귀중한 문화재이다.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집현전 학사 최항
1409(태종 9)∼1474년(성종 5) 조선 세조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 자는 정부(貞夫). 호는 동량(梁), 태허정(太虛亭).1434년(세종16) 문과에 급제 1443년 집현전 학사로 정인지 등과 더불어 『훈민정음』창제에 참여했으며 다시『용비어천가』를 주해했다.
 
1453년 세조를 도와 정난공신 1등에 책록되고 이듬해 이조참판이 되어 『공신연곡』4장을 지어 바쳤다. 1455년 좌익공신 2등에 책록되고 공조판서에 승진되었으며 1459년 (세조 5) 『육전』의 수찬을 비롯하여 『관음현상기』, 『십이준도』등을 찬하였고 중추원사로 『명황계감』을 언해하는 한편 『동국통감』을 찬수하였다.
 
1464년 어제구현재시(御製求賢才試)에 1등으로 합격하고 가자(加資)를 받았으며 1466년 영의정까지 이르러 영성군(成君)으로 봉해졌고 『소학』, 『주역구결』, 『예기구결』등을 정하고 1469년 『경국대전』을 찬수하였다.1471년 『세조실록』, 『예종실록』등을 찬수하고 부원군에 진봉되었다. 시호는 문정공이다. 저서로서 『태허정집』,『관음형상집』등이 있다
 
◈ 고려진사 이양소
1367(공민왕 16년∼?) 고려말의 문신. 자는 여건(汝建). 호는 금은(琴隱). 본관은 순천(順天). 정몽주의 문인. 1382년(우왕 3) 평소 친교가 두터웠던 이방원(태종)과 함께 사마시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고 태학에도 같이 들어갔다. 1392년 조선이 건국되자 연천읍 현가리의 도당골에 숨어살며 은거하였는데 태종이 친히 연천을 행차하여 옛 친우의 정을 더하고 주창하며 곡산군수를 제수하였으나 물리쳐 사양하고 고려신하로써 절개를 굽히지 않자 이에 탄복한 태종은 그가 살고 있는 곳의 산 이름을 청화산(淸華山)이라 명명하고 저택을 지어주어 편액을 이화정(李華亭)으로 명하였으나 스스로 숲속에 초가집을 새로 짓고 안분당(安分堂)이라 하여 예를 익히며 일생을 마쳤다. 죽음에 이르러서도 자기 명정에 「고려진사 이 모」라고 썼다고 한다. 이양소의 부음을 전해들은 태종은 “이 사람은 살아서는 그 마음을 굽히지 않았고 죽어서는 그 몸을 더럽히지 않았다. (此人生 不可屈基心 不可其身也)”라고 하였고 시호를 청화(淸華)로 내려주었다. 묘소는 중면 적거리 신포동에 있다.
 
◈ 항일독립투사 왕회종
일제 강점기 의병장. 본관은 개성. 미산면 아미리에서 출생. 1905년11월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통분을 참지 못하고 동지를 규합하여 1906년 연천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그리고 김진묵을 부장으로 대동하고 5백여명의 의병을 거느리면서 일본군과 유격전을 전개하여 많은 전과를 올렸다.
 
1907년 정미7조약이 체결되고 8월에 조선군대가 해산되자 조인환, 권준, 김진묵 등과 함께 1천여명의 의병을 이끌고 양주, 파주, 적성일대에서 일본군 토벌대와 치열하게 전투를 하며 활발하게 의병활동을 하였다. 또 삭녕, 안협, 토산 등지에서 다시 의병 4백여명을 모집하여 임진강유역에서 활약하고 있는 김수민, 연기우 등과 연합하면서 일본군 토벌대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주었다.
 
그러나 1907년 8월부터 심원사를 비롯한 보개산에서 활동하던중 의병진 800여명이 일본재경 50연대 6중대 1소대와 연합토벌대의 기습공격으로 법화동전투에서 20여명, 대광리전투에서 80여명의 의병들이 전사하였지만 일제도 상당한 사상자가 속출하였다.
 
1908년초 이인영을 총대장으로 하는 13도 창의군에 편입되어 서울진공작전에 참여하였으나 실패로 끝나자 허위를 총대장으로 추대하고 김규식, 이병채, 장순원 등과 더불어 임진강 일대에서 교란 전술로 일제를 괴롭혔다. 그러면서도 대외적으로 중국혁명당과의 제휴를 모색하고 전국적인 규모의 의병진연합을 시도하였으나 모든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고 조선총독부가 설치되면서 사실상 의병활동이 불가능해지자 의병진을 이끌고 만주지방으로 망명하였다.
 
그후 그 곳에서도 독립군으로 활동을 하였으나 의병활동 중 입었던 부상이 재발병하여 활동을 못하게 되었다. 이후 교민사회의 청년들을 모아 교육사업에 힘쓰다가 사망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내 고장의 문화유산
 
■ 사적
 
◈ 숭의전 제223호 미산면 아미리 7
◈ 경순왕릉 제244호 장남면 고랑포리 산 18-2
◈ 전곡리 선사유적지 제268호 전곡리 178-1 일원(23만평)
 
 
■ 유형문화재(이하 도지정)
 
■ 천연기념물
 
◈ 은대리 물거미서식지 제412호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 698-18 일원
◈ 오봉사지 부도 제131호 연천읍 고문1리 산78
◈ 심원사지 부도군 제138호 신서면 내산리 산 1-1
 
 
■ 기념물
 
◈ 정발장군 묘 제51호 미산면 백석리 산34번지
◈ 박진장군 묘 제110호 백학면 두일리 산 149-2
◈ 삼곶리 백제적석총 제146호 중면 삼곶리 421
◈ 호로고루 성지 제174호 장남면 원당3리 1259
 
 
■ 문화재자료
 
◈ 통현리 지석묘 제52호 연천읍 통현리 87
◈ 학곡리 지석묘 제158호 백학면 학곡리 261
 
 
■ 향토유적
 
◈ 낙성군 묘 제1호 청산면 궁평리 480-2
◈ 연천향교 제 2호 연천읍 차탄4리 345
◈ 양원리 지석묘 제 3호 전곡읍 양원리 401
◈ 운성부원군 박종우묘 제4호 장남면 반정리 산55
◈ 팔효문 제5호 중면 횡산리 168
◈ 영원부원군 윤호묘 제6호 미산면 아미2리 산131-1
◈ 미수 허목묘 제7호 왕징면 강서리 산48
◈ 남순하 효자문 제8호 전곡읍 간파리 212
◈ 형조참판 윤인함묘 제9호 청산면 백의2리 능안
◈ 아미산 울어리 제10호 미산면 유촌리
◈ 미산 성주걸이 제11호 미산면 유촌리
 
 
■ 비지정문화재
 
◈ 선사유적지 : 통현리지석묘군 등 4개소, 관방유적지 : 동박리 성령산 등 7개소, 고분 : 학곡리 백제적석총등 4개소, 사지 : 지장사지 등 4곳, 불상 : 복삼리 마애석불 입상, 사묘 : 임장서원 등 3곳, 태실 : 동막리 태실 등 2곳, 선정비 : 연천현감 허혼선정비 등 4점, 도요지 : 동막리 분청 사기요지 등 8곳이 있다.
경기도 연천군 정보
• 연천군의 어제와 오늘
• 연천군의 역사문화자원
• 연천군의 생활문화자원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