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연천군 경기도 연천군 정보
경기도 연천군 정보
(보기 : 목록별구성)
2023년 12월
2023년 12월 1일
연천군의 생활문화자원
2005년 6월
2005년 6월 3일
about 경기도 연천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23.12.01. 01:00) 
◈ 연천군의 생활문화자원
◈ 전통생활민속 - 수레울 보막이, 숨은터의 민속, 달떡놀이 / ◈ 구전설화 - 감악산의 고비, 무등리와 우정리의 지명유래담
 

1. 생활문화자원

 
전통생활민속
 
◈ 수레울 보막이
보막이가 처음 시작된 것은 농경사회생활에서도 벼농사를 주곡으로 삼아 물을 이용하여 농사짓는 방법의 방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제일 중요하게 여겼던 것은 수자원이었다.
 
그래서 하천이나 도랑을 막아, 관개 용수로 끌어들여 일년간 농사를 짓는데 필요한 시설물을 설치하였던 것이 보막이다. 조선시대 전통적인 재래식 보막이는 대부분 하천이나 도랑을 가로로 적당한 간격으로 말목을 박고 물이 고이는 위쪽에 긴 통나무들이나 소나무 거섶을 가로질러 여기에 돌을 눌러놓고 그 위에 흙을 덮어 한쪽에 물 흐름을 조절하면서 수심을 높이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보는 홍수가 날 때마다 유실되어 매년 되풀이하여 보막이 하는 것이 통례였으며 마을 사람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음력 정월이 지나 해토가 되는 봄이면 논물을 가두고 연중행사로 보막이를 하였다.
 
연천의 보막이놀이는 1994년도 청산면 대전리 최윤식옹에 의해 처음 발굴되어 그해 9월 9일 제9회 경기도 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장려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 놀이에 구성된 출연진은 기수 10명, 농악조 22명, 농부 28명, 제관 및 선비 17명, 아낙 6명 등 총87명 인원이 동원되었다.
 
행사장막의 첫째 마당은 모든 출연진들이 마을을 출발하여 동구 밖 여록에 있는 수호신인 성황 및 장승에게 정성을 드려서 치성한다. 이때 농악 풍물패의 한바탕 놀이가 전개되면서 보막이 장소로 이동한다. 둘째마당은 보막이가 시작되는 선창과 후창으로 농요를 부른다.
 
셋째마당은 보막이가 완성되면 토지신께 풍요를 기원하는 제례를 올리고 풍악을 울리며 즐겁게 한마당 놀이로써 종료된다. 이와 같은 놀이는 마을공동 노동행위로 농경지가 천수답인 지역에 더욱 성행하였다.
 
◈ 숨은터의 민속
전곡읍 은대리를 ‘숨은터’라고 일컫는데 그 유래는 고려가 멸망한 뒤 불사이군의 절개로 움터에 은거한 일노정 김양남의 사적에 의하여 명명된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600년전 조선이 개국하고 태조 이 성계가 왕위에 등극하면서 왕권을 놓고 세자간의 다툼이 일어나자 한양으로 천도한 태조는 둘째 왕자인 방과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으로 가던 차 이곳에서 머물었는데 백성들은 임금님 행차에 잔치를 베풀고 국태민안 치성제와 풍년을 기원하는 민속놀이가 벌어졌던 것이다. 종목은 1.숨은터의 치성제 2.두레싸움 3.직게발 격투 4.장치기 5.숨은터 한마당으로 출연인원은 121명이 구성되어 놀이로써 전개된다.
 
◈ 달떡놀이
이 민속은 비무장지대의 삭녕지방에서 전해오는 전통생활민속인데 어느 시대부터 시작되어왔는지는 모르나 마을사람이 죽으면 장례를 치루기 전날, 주민들은 꽃상여를 꾸미고 상가집에서는 지름 20㎝ 정도되는 넙적하고 둥그런 달떡과 음식을 만들어 놓는다. 그리고 밤이 되면 상여꾼들이 헛상여를 매고 마을을 다니면서 망인을 대신하여 작별인사를 고한 다음 상여놀이가 시작되는데 구슬픈 상여소리와 선소리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리듬과 율동으로 마을사람들을 좌정시키는 가운데 심금을 울려준다. 이때 상여놀이가 끝나 달떡을 서로 나누어 먹으면서 돌아가신 선인의 넋을 위로하고 슬픔을 달랬다고 전한다. 이 민속은 6·25전까지 지속되어 왔던 것이다.
 
 
구전설화
 
◈ 감악산의 고비
전곡읍 눌목리 감악산 정상에는 비신의 높이 170㎝, 너비 70~79㎝, 두께15~19㎝ 규모의 화강암석재로 만든 감악산 고비가 있다. 이 고비를 일명「감악산 비」라고 부르고 있으나 비문이 없어 「몰자비」라고도 하고 전설에 의한 「설인귀 비」 또는 「설인귀 사적비」라고도 하며 구전에 의한 「빗돌대왕비」, 「비뜰대왕」이라고도 한다. 다양한 이름만큼 이 비의 실체에 대한 가설이 많아 현재까지도 확실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태이다.
 
지금도 하늘아래 첫 동네라고 불리우는 눌목리주민들은 오래전부터 감악산 고비에 산신제를 올리고 있는데 전설은 이러하다.
 
어느 날, 농부들이 잠을 자다가 꿈을 꾸는데 이상하게도 하얀 백발노인이 나타나 소를 빌려달라고 하는 것이었다. 그날밤 소를 빌려주기로 한 사람들은 아침에 외양간에 가보니 소가 땀에 흠뻑 젖어 있었고 그 와 반대로 소를 빌려주지 않은 사람들은 소가 모두 죽어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산모퉁이 길가에 서있던 감악비는 없어지고 감악산 정상꼭대기에 옮겨져 있었다고 한다. 그것은 필시 감악산 산신령님이 이 근처 마을 소의 힘을 빌려 비석을 옮긴 것 이라 생각되었다. 그 후 사람들은 감악산 고비를 영험한 신을 빌어서 비뚤대왕신이라고 믿었으며 신앙의 대상으로 섬기게 되었다고 전한다.
 
원래 이 고비는 눌목리초등학교앞 삼거리부근 대로변에 있었다. 이 앞을 통과하는 사람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고개를 숙여 말에서 내려 걸어가야만 했는데도 불구하고 어느 한 무관이 이를 무시한 채 그대로 지나가다가 말굽이 땅에서 떨어지지않아 화가 난 무관은 제 칼로 말의 목을 베고 그 목에서 흘러나오는 말의 피를 감악비에 바르려다가 그만 그 자리에서 죽었다. 그 후 감악산 고비는 영적으로 감악산 정상에 옮기게 되었다고 한다. 지금도 백련사가 있는 골짜기에는 감악비가 올라간 흔적이 남아있다고 한다.
 
 
◈ 무등리와 우정리의 지명유래담
옛날 무등리에서는 임진강변 앞을 두고 마을 산등성이에서 소를 많이 키웠다고 한다. 그것은 낮에는 목초가 많은 강변으로 소를 내몰아 방목하고 저녁이면 마을안 등성으로 소를 몰고 들어올 수 가 있었기 때문에 춤을 추며 등을 올랐다하여 춤출 무(舞)자 오를 등(登)자를 써서 무등리라 하였다는 설과 마을안 장대봉에는 옛 성터가 남아있는데 그 곳에서 불을 밝히며 적과 싸워 승리를 하였다 하여 춤출 舞자 밝힐 燈자를 써서 무등리라고 한다.
 
최근 지표조사에서 고구려산성으로 보루가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소를 방목시켜 물을 먹였던 곳을 소 牛자 우물 井자를 써서 우정리라고 불리운다.
 
 
주민의 종교생활
종교는 민간마을, 가정신앙과 유교, 불교, 개신교, 천주교, 대종교, 천도교 등이 있으나 민간마을, 가정신앙과 대종교 천도교는 오늘날 밀레미엄시대의 문화에 밀려 쇠퇴되어가고 유교도 불교와 개신교에 기울어가는 현상이다.
 
※ 불교사찰 : 오봉사등 17곳, 천주교 : 연청본당등 3곳, 개신교 : 80곳, 기도원 3곳이 있다.
 
 
주민의 생활권역
 
<연천지역의 재래시장(5일장)>
연전읍 차탄리 60(상가주변) / 2. 7. 12. 17. 22. 27
전곡읍 전곡리 256 (버스터미널주변) / 4. 9. 14.19. 24. 29
신서면 도신리 285-36 (농협앞) / 1. 6. 11. 16. 21. 26
백학두일리528-9 (버스터미널주변) / 3. 8. 13. 18. 23. 28
왕징면무등리9-3(농협앞) / 3. 8. 13. 18. 23. 28
 
 
◈ 전곡시장내 먹자골목
이곳은 6·25이후 수복이 되면서 시장이 형성되어 오늘에 이르기까지 각종 물품을 취급하였던 곳이다. 언제부터인가 대중과 서민층이 즐겨찾는 순대와 만두, 떡집이 생겨나면서부터 많은 관객들이 모여들어 먹자 골목이 되었다. 더욱 주말과 연휴 때에는 외출한 국군장병들이 가세하여 음식점안에는 발디딜틈 없이 북새통을 이룬다.
 
◈ 연천 신망리 다방거리
경원선 철도와 3번국도가 지나는 도로변 동쪽에 있는 마을내에 그러니까 신망리역 맞은편에는 다방거리가 있다. 원래 건너편 마을에는 6·25가 끝난 후인 1954년 5월 피난민 정착지역으로 지정되어 미 제7사단에서 3만평의 부지 위에 가호100호를 건립하여 입주시켜 “새로운 희망을 가지고 살라”는 뜻으로 신망리(NEW HOPE TOWN)로 명명된 곳인데 연천지역이 처음 수복이 되면서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을 때 각처의 방문객이 찾아들면서 이곳에 민가와 상가가 형성되어 다방거리가 되었다. 현재는 농산물류 집하장 및 유통업으로 이용되고 있다.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 연천쌀 연중 연천군 일원 농업협동조합 ☎ (031) 834-2088
◈ 메주 연중 군남면 옥계리 대성실업 ☎ (031) 834-3049
◈ 김치 연중 청산면 초성리 청산김치 ☎ (031) 832-0983
◈ 병배 9월~11월 연천읍 와초리 연천과수영농조합 ☎ (031)834-7772
◈ 율무 연중 전곡읍 은대리 연천율무가공공장 ☎ (031)832-6400
◈ 참외 6월~8월 백학면 노곡리 참외작목반 ☎ (031)835-5092
◈ 오이 5월~8월 연천,청산,신서 오이품목회 ☎ (031)835-0804
◈ 인삼 9월`~10월 미산, 백학, 왕징, 장남 임협협동조합 ☎ (031)834-0071
◈ 참기름 연중 군남, 신서, 왕징 북삼리 부녀회 ☎ (031)835-8004
◈ 참깨 9월~12월 군남, 신서, 왕징 참깨 품목회 ☎ (031)834-1545
◈ 천마주 연중 중면 임협협동조합 ☎ 834-0071
◈ 버섯 연중 군남, 신서, 전곡, 왕징 ☎ (031)832-7609
◈ 밤호박 6월~9월 군남 한빛영농조합 ☎ 833-9001
◈ 석공예 연중 전곡읍 전곡리 이호진 ☎ 832-5878
◈ 포도 8월~9월 전곡읍 신답리 포도작목반 ☎ 835-3649
경기도 연천군 정보
• 연천군의 예술문화자원
• 연천군의 생활문화자원
• 연천군의 역사문화자원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