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창원시 경상남도 창원시 정보
경상남도 창원시 정보
(보기 : 목록별구성)
2023년 12월
2023년 12월 1일
2005년 6월
2005년 6월 3일
창원시의 어제와 오늘
about 경상남도 창원시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05.06.03. 01:02) 
◈ 창원시의 어제와 오늘
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창원시는 한반도의 동남단 경남의 중부지역에 자리하고 있으며, 동서남북이 병풍처럼 산(불모산·천주산·장복산·봉림산)으로 둘러싸인 분지로 남쪽에 봉암협곡을 통해 마산만에 이르는 내해만을 형성하여 기후가 온화하고 풍광이 수려한 온대기후 지역이다.
창원은 아득한 옛날부터 빼어난 선사문화를 바탕으로 원삼국 변한의 찬란한 철기문화를 꽃피운 진원지이자 신라구산 선문 봉림선문을 중심으로 피폐해진 통일신라 불교를 중흥시켜 고려 불교문화를 번성케 한 불교문화의 정토였다. 또한 창원은 국난극복에 있어 의병궐기의 진원지로서 임진왜란때 단 한사람도 투항한 일이 없이 관민이 총력을 다해 용전한 구국의 빛나는 항쟁으로 대도호부로 승격되었으며 열화 같은 기개와 저항의식으로 결코 불의를 좌시하지 않는‘의(義)와 부지런하고 진취적인 개척(開拓)정신’이 배여 있는 열정의 고장이다.
원삼국 변한의 찬란한 철기문화를 이어 받아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동(銅)의 주산지로 1974년 국가발전의 상징적인 세계적 기계공업공단지 건설에 착수, 1980년 우리 나라 최초의 인공계획도시로 창원시가 개청, 지자체 출범후 국내 처음으로 대동제를 실시했으며, 온천 휴양지와 세계적인 철새도래지(주남)이며, 수박의 명산지이고, 단감의 주산지인 동읍 북면과 전형적인 곡창 지대인 대산면을 비롯 15개 읍면동이 공단배후 도시로 성장하여 왔다.
오늘날 경남의 수부도시(도청소재지)로 정치·경제·산업·행정·문화의 중심도시로 전국 지자체 중 모든 부문에서 ‘가장 살기 좋고, 경쟁력이 높은 도시’로 평가 받았으며 ‘도전과 기회’의 도시로 세계를 향해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비음산의 철쭉
 
<창원시 연표>
시 대
연 대
주 요 사 항
 
고대
선사시대
시 전역에 대단위 패총이 산재해 있고 옹관묘 고분과 야철지가 있으며, 변한의 골포국으로 추정
 
676
통일신라 9주 5소경의 삽랑주 굴자군
 
757
경덕왕 16년 의안군으로 개칭
 
고려
1018
현종 9년 금주에 예속.
 
1282
충렬왕 8년 의창군으로 개칭. 여몽 일본정벌의 발진기지가 됨.
 
조선
1408
태종 8년 의창과 회원을 통합 창(昌)자와 원(原)자를 따서 창원부로 승격
 
1415
태종 15년에 도호부 개칭
 
1601
선조 34년에 대도호부로 승격. 임진왜란 전투에서 군관민이 일치 단결하여 성을 굳게 지키고 한 사람도 항복한 일 없이 장열히 용전함으로써 왕명에 의해 승격됨
 
1895
고종 32년 창원군으로 개칭. 진해군과 웅천군이 편입됨
 
근대
1899
광무 3년 5월 1일 열강의 요구로 마산포 개항
 
1919
창원읍 전역이 봉기 3·1독립운동 확산, 동양척식회사에 항거, 궐기 투쟁
 
현대
1973
창원, 상남, 웅남 3개면과 내서면 4개리, 구암면 4개리가 마산시에, 웅천면이 진해시에 편입됨
 
1980
창원, 상남, 웅남 3개면을 근간으로 창원시가 탄생
 
1983
경남도청이 창원시로 이전
 
1995
도농통합으로 동·북·대산 3개면이 통합. 동면을 동읍으로 승격
 
1997
전국 최초의 대동제 실시로 기존 24개 동을 12개 대동으로 통폐합, 15개 읍·면·동으로 개편
 
 
 
 
 
 
 
 
2.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임진왜란 항전-대도호부 은전 임진왜란을 맞아 왜 제3군(구로다) 2만여 명의 침공을 받은 창원은 군관민이 일치단결하여 2천명의 적은 병력으로 매복전으로 격렬히 항전하였으며, 최항이 이끄는 의병은 안민고개에서 대승을 거두는 등 전란 7년 동안 부사 김응서를 비롯, 단 한사람도 왜군에 항복한 사람 없이 용전분투한 사실을 체찰사 이원익의 장계로 알려져 선조 34년 창원은 대도호부로 승격되었음.
 
◈신라 구산선문 봉림사지 진경대사(854∼923)가 스승인 원감 현욱을 개산조로 추앙하여 효공왕 때(894년경) 창건한 통일신라 구산선문의 하나로 진경대사의 문하에는 500여 명의 제자가 있었으며, 고려 광종 때에는 봉림산파의 4대 종주 찬유선사에 의해 전국에 선풍을 떨쳤고 역대 왕들의 발원 귀의처였다.
신라 고려조에 번성하여 전국에 선풍을 떨치고 창원지역에 찬란한 불교문화를 꽃피웠던 봉림사는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어 잡초더미에 방치되어 왔으나, 창원문화원의 건의로 1996년부터 3년간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에 의한 학술조사 발굴로 그 실체가 밝혀졌다.
 
 
 
봉림사지 발굴현장
◈국난극복의 선봉-창원 정신 조선 인조 14년(1636) 병자년에 청 태종의 침입으로 남한산성이 포위되어 전국에 의병을 구할 때 창원인은 백선남 부사 이하 관민이 일치단결하여 대군을 인솔하여, 급거 남한산성으로 향했으며 1637년 1월 3일 남한산성을 30리 앞둔 경기도 광주군 쌍산령 아래 남한강변에서 적병의 기습을 받아 치열한 전투 끝에 백선남 부사 이하 전군이 장렬히 전사했다. 특히, 부사를 수행하던 황시헌은 창원부인(府印)을 끝까지 지키려다 적의 칼날에 양팔이 잘리고도 입으로 부인을 지키며 순절한 구국의 화신으로 조정은 후에 그의 공을 기려 공조정랑의 벼슬을 내렸다. 이것이야말로 창원인의 기질과 구국충정의 기개를 극명하게 표출한 역사의 단편이다.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정렬공 최윤덕 장군 최윤덕은 고려우왕 2년(1376) 창원 북면 내곡리에서 원종 공신이며, 지중추부사인 최운해 장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조선조 세종 원년 삼군도절제사로 이종무와 함께 대마도를 정벌하였고, 병조판서 판중군 부사, 판중추원사 우의정·좌의정·영중추원사를 거친 당대의 대표적인 무인이며 청백리로서 세종 15년 압록강변(함길도)의 여진족을 정벌하여 4군을 설치 국토를 개척한 민족의 횃불이다. 그는 전략전술에 있어 지장이며 인장으로 신출기묘한 전략가로 알려졌으며, 임진왜란 발발을 150년 전에 예언하고 성(城)을 쌓고 축성의 방비책을 수십 차 세종께 건의하여 ‘축성대감’이란 별칭을 가진 유비무환의 표상으로 세종 27년(1445) 향년 70세로 별세하니 세종은 3일간 조회를 폐하고 제문을 지어 하사하고 세종묘정에 신(臣) 1번으로 배향하였다.〈1997년 3월의 문화인물 선정〉
 
 
 
최윤덕
◈진경대사(眞鏡大師) 신라 문성왕 16년(854)에 임나(任那) 왕족의 후예로 태어나 경명왕 7년(923)에 입적한 신라 구산선문 창원 봉림산문의 개산조다. 시호는 진경대사, 탑호(塔號)는 보월능공, 속성은 김(金), 이름은 심희(審希)다.
대사는 9세에 해목산 원감대사에게 도(道)를 배우고 19세에 구족계를 받고, 강원도 명주에서 수도 중 진성여왕의 국사 초청에도 사양하고, 김해 서편에 복림(福林, 도읍지 또는 길지)이 있다는 말을 듣고 창원 진례산성에 머물면서 길지를 택해 사찰을 지으니 이 고장에 찬란한 불교문화를 꽃피운 봉림사였다. 당시 봉림사의 선풍은 크게 떨쳐 대사의 문하에 찬유, 경질, 융제, 홍준 대사 등 500여 제자가 있었으며 신라, 고려에 이르기까지 역대 왕의 귀의처로서 신라·고려 불교중흥의 지주로서 대사가 입적하자 고운 최치원의 종제 최인곤이 비명(碑名)을 찬(撰)하고 비문은 경명왕이 직접 친찬(親撰)하였다.진경대사의 보월능공탑(보물 제 362호)과 비(碑, 보물 제 363호)는 1919년 일본 총독부가 창원 봉림사지에서 경복궁으로 옮긴 후 지금도 그곳에 있다.
 
내 고장의 문화유산
<문화재 목록>
종별
문화재명
지정호수
 
보물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
좌상
제436호
 
사적
외동 성산패총
제240호
 
의창 다호리 고분군
제327호
 
천연기념물
신방리 음나무군
제164호
 
유형문화재(이하 도지정)
성주사 삼층석탑
제25호
 
봉림사지 삼층석탑
제26호
 
용화전 석조여래좌장
제43호
 
삼정자동 마애불상
제98호
 
불곡사 일주문
제133호
 
성주사 대웅전
제134호
 
창원향교 대성전
제135호
 
창원 성주사 관음보살입상
제335호
 
성주사 감로왕탱
제336호
 
무형문화재
문창제 놀이
제5호
 
기념물
외동 지석묘
제5호
 
달천구천
제32호
 
내동 패총
제44호
 
정렬공 최윤덕묘
제121호
 
창원 가음정동 고분군
제126호
 
봉림사지
제127호
 
창원 진례산성
제128호
 
최윤덕 장군 생가지
제145호
 
창원 남산 유적
제201호
 
문화재자료
관술정
제124호
 
어사옥비
제166호
 
창원 덕천리 유적
제206호
 
주남 돌다리
제225호
 
김명윤 유품 쌍검
제263호
 
성주사 동종
제267호
 
 
 
※ 이밖에도 가음정동 지석묘 등 73건이 있다.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 좌상
 
 
 
 
3. 생활문화자원
 
전통생활민속
◈문창제놀이 문창제놀이(지방무형문화재 제5호)는 창원지역 유일의 무형문화재로서 조선 인조 14년 병자호란 때 평민 출신인 31살의 젊은 나이로 장렬히 순절한 충신 황시헌공을 추모하기 위하여 제향, 추도무, 군노놀이, 매구굿 등 4과장으로 전승되는 놀이다. 이 놀이는 황공의 충의와 얼을 추모키 위해 창원대도호부의 역대 부사들이 관기와 백성들과 함께 제향을 올리고 추도무로 넋을 위로하는 군노놀이이다. 이 놀이는 당시 부사와 황공을 비롯한 창원 의병들의 장렬한 순절을 재현함으로써 호국충절의 얼을 일깨우며, 매구굿으로 부사 이하 관민이 어울려 함께 춤추고 놀이를 즐김으로써 관민일체의 화합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매구굿 「성신 선고」 축원문 사설에 “우리 농부 굿이요, 빠짐없이 모이소서”, “천년만년 울리소서”, “금년 농사 대풍되고”, “아들·딸 잘 길러 효자 충신 점지하소” 등을 보면 백성들의 안가태평과 풍농의 기원 및 충효사상을 고취하고, 자손만대 번영을 기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놀이는 정경수 기능보유자와 문창제놀이보존협회가 계승하고 있으며 창원문화원이 그 전승에 힘쓰고 있다.
 
 
 
문창제놀이
◈지신밟기 지신밟기는 정월대보름을 전후로 행해지는 민속놀이로 타 지역에 비해 창원지역에 가장 성행했던 놀이며, 슬기와 해학이 넘치는 가장행렬을 연상케 하는 흥겨운 놀이다. 집안의 잡귀와 액을 없애고, 질병을 막고, 한해의 안가태평을 기원하는 이 놀이로 농경사회에서 산업·정보화 사회로 변모된 오늘에도 이어지고 있는 이 지역의 대표적인 민속놀이다.
 
구비전승
◈민요 「지신밟기」 우리 지역 민요는 타지역에 비해 다양하고 많은 편이나 아직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리가 되지 않아 앞으로 연구과제로 남아 있다. 그 중에서도 여성 대상의 민요가 압도적이고 농요가 주축을 이룬다. 여성대상으로는 시집살이의 주제가 많고 농요는 모심기, 지신밟기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웅신사의 전설 통일신라 때 창원은 불교문화의 요람지였다. 구산선문 봉림사를 비롯 108개의 사찰이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모두 소실되고 지금은 성주사만이 재중창되어 남아 있다. 신라 무염국사가 창건(835)한 이 성주사가 임진왜란으로 잿더미가 되자 다시 중건하기 위해 아름드리 목재를 불탄 자리에 쌓아두었는데, 어느 날 하루밤 사이에 큰 곰이 내려와 쌓아둔 목재를 모두 절터 아랫쪽으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 이에 곰이 옮겨 놓은 그곳에 절을 중건하고 웅신사(熊神寺)라 하였으며, 지금도 성주사를 ‘곰절’이라 부른다.
 
주민의 종교생활
창원의 종교현황을 보면 불교사찰 56개소, 개신교 교회 183개소, 천주교 성당 8개소, 기타 12개소 모두 259개소로 늘어났으며, 신도수 또한 96,368명으로 10만명에 이르고 있다.
 
주민의 생활권역
◈세계 굴지의 창원기계공업단지 1974년부터 조성된 창원공업단지는 25.5㎢의 대단지에 기계·금속·전자·자동차 생산 등에 750여개 업체가 가동되고 있다. 이들 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 수는 7만여 명으로 생산액은 연간 15조 원, 수출은 50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향토색 짙은 5일장 조선시대가 열리면서 형성된 창원읍내장(2일, 7일)은 옛 창원대도호부 읍성 내의 치소 동편(현 북동)에 자리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져 시민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창원장의 상징이었던 장터 입구 소고기 국밥집은 6·25 이후 없어졌으나, 그 대신 닭전 옆 국밥골목이 새로운 먹거리 명소로 명맥을 이어 오고 있다.
 
지역의 별미음식
◈옛 대도호부의 향수 짙은 창원 장터국밥 5일장인 창원 읍내장터(북동) 닭전 옆 국밥골목은 서민의 먹거리 명소다. 소의 내장 국밥으로 값싸고 전통적인 장터 국밥맛을 볼 수 있으며, 수육 또한 푸짐하다.
 
◈판문점 불고기 옛 창원 읍내장터에서 시작된 판문점 불고기는 30년 전통의 창원 명물로서 경남전역에 알려졌으며, 지금은 도청 앞으로 옮긴 「원조 판문점 불고기」와 서상동 「임진각 불고기」가 성업중이다. 소고기를 짧게 다져 빈대떡 모양새로 숯불에 석쇠로 구워 낸 불고기로 그 맛이 연하고 일품이며, 특히 콩나물 소고기 국밥 또한 기름기를 제거한 담백한 맛이 별미다. 「임진각 불고기」 집은 2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시설을 갖추고 있다.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창원 대산수박 오래 전부터 대산면 낙동강변 퇴적층의 기름진 옥토에서 생산되던 창원 수박은 전천후 수리시설 완비와 유기농법으로 한 곳에서 연 1기작만 재배하는 특수재배로 당도(13%)와 무게(10㎏이상), 맛에 있어 전국 최고 품질을 자랑하는 수박으로 최근에는 생산량의 95%를 일본에 수출하고 있다.
 
 
 
수박품평회
◈창원단감 육질과 당도에서 전국 제일로 알려진 창원단감은 북면과 동읍을 주산지로 일조량을 최대한 활용하고 배수와 토질관리에 적합한 야산에서 생산되므로 최우수품종을 생산하고 있으며, 일본에도 수출하고 있다.
 
 
 
 
 
 
4. 예술문화자원
 
지역문화예술행사
◈창원야철축제 [상세정보] 창원 시민의 날(4월 1일)을 전후한 3월말부터 4월 초순에 걸쳐 창원시 일원에서 개최되는 종합 문화예술행사로서 창원시가 주최하고 각각의 축제위원회가 주관하는 행사이다. 행사내용은 일반행사로서 전야제(3월 31일)를 비롯하여 「창원대종타종」, 「기념식 및 시민체육대회」,「열린마당」, 「음식축제」, 「공단의 밤」, 「바다축제」, 「민속축제」, 「바둑대회」 등과 문화예술 행사로서는 학생미술실기대회, 무용경연대회, 학생백일장, 시조경창대회, 사진공모전, 수석전, 연극백일장, 비디오촬영, 분재전시, 합창단 공연 등이 개최된다.
 
 
 
야철제
◈진례산성 진달래축제 [상세정보] 매년 4월 둘째 주 일요일에 사파동 비음산 정상에서 창원문화원과 창원시 주최로 열린다.
 
◈창원수박축제 [상세정보] 매년 5월 10일∼11일에 대산면 농협 농민편의시설에서 창원수박축제 추진위원회 주최로 열린다.
 
◈창원단감축제 [상세정보] 매년 10월 하순(2일간)에 북면 마금산 온천 일원에서 창원단감축제 추진위원회 주최로 열린다.
 
지역문화예술단체
◈예총 창원지부 용호동 62-2 동민의 집 2층 ☎ (055)283-1014
 
◈창원시립예술단 교향악단, 용호동 2번지 성산아트홀 ☎ (055)239-3310∼2, △무용단 용호동 2번지 성산아트홀 ☎ (055)239-3310∼2, △합창단, 용호동 2번지 성산아트홀 ☎ (055)239-3310∼2, △소년소녀합창단, 용호동2번지 성산아트홀 ☎ (055) 239-3310∼2
 
 
■문화예술단체
◈국악협회 창원시 중앙동 88-6 ☎ (055)262-0580, FAX (055)262-0580
 
◈무용협회 창원시 남양동 남선상가 601 ☎ (055) 285-7409 (055)FAX 262-7908
 
◈문인협회 창원시 팔용동 66-10 ☎ (055)281-2421 (055)FAX 281-3360
 
◈미술협회 창원사림동 5-7 창원갤러리 ☎ (055) 263-8081 FAX (055)283-7228
 
◈연극협회 창원두대동 145 종합운동장 ☎ (055) 267-6590 FAX (055)267-6560
 
◈사진협회 창원용호동 62-2 동민의 집 ☎ (055) 283-1014 FAX (055)283-1014
 
◈음악협회 창원두대동 145 종합운동장 ☎ (055) 267-0370 FAX (055)282-8344
 
◈문화원 국악단 창원 토울동 955 창원문화원 문화교실 ☎ (055)284-8870 천리안ID:CC164CW
 
 
■민간예술단체
◈창원사랑시회 상남동 대동A 118-2005 ☎ (055) 222-7038, 262-8240
 
◈가향문학회 남양동 성원A 202-1206 ☎ (055) 296-9126
 
◈동운문학회 동읍 마룡리 87
 
◈둥지회 반림동 현대A 106-401 ☎ (055)261-9309
 
◈퇴촌농악보존회 두대동 145 ☎ (055)282-6876
 
◈한국비디오작가협회 창원지부 용호동 73-27 한성빌딩 9층
 
◈대한시우회 창원 시우 지회 내동 456-2 ☎ (055) 283-9166
 
◈한국분재협회 창원시지부 신월동 46-9 ☎ (055) 275-3411
 
 
■민간공연예술단체
◈창원윈드오케스트라 봉곡동 154-18 ☎ 017-854-3010
 
◈크로마하프 경남지부 중앙동성원오피스텔427 ☎ (055)262-0040
 
◈창원필하모니예술단 서상동 311 ☎ (055)255-7100~4
 
◈극단 사랑방 도계동 128B 10L ☎ (055)277-8896
 
◈솟대패 사물놀이 중앙동 86-4 ☎ (055)284-5960
 
◈TNT 레파토리 창원문지방 중앙동 중앙복지회관 2층 263-4511, ☎ (055)279-7215, 298-7627
 
◈샹그리라 합창단 명서동 20-8 ☎ (055)288-7295
 
◈하나송패밀리 상남동 경창상가 지하 ☎ (055) 288-3931, 282-0989
 
◈사물놀이패 들소리 ☎ (055)263-9030
 
◈극단 미소 내동456-18 현대상가3층 ☎ (055)263-0376, 283-9998
 
◈창원예술극단 두대동 145 ☎ (055)283-1014
 
◈아방가드로실내악 사림동 7-4 ☎ (055)282-6933
 
◈풍물패 바다소리 봉곡동 봉곡빌딩4층1호 ☎ (055) 266-5934
 
◈경남발레단 반림동 대동A104-1404 ☎ (055) 277-4037
 
◈심포니아앙상블 반림동 현대A110-203 ☎ (055) 282-6497
 
◈예음예술단 소답동 46B 26L ☎ (055)297-2878
 
◈창원죽향회 중앙동 수림상가 4층 ☎ (055)284-0735
 
◈경남 솔리스트 앙상블 남산동 한양A2-507 ☎ (055)261-6959
 
◈김경미전통춤 토월동 성원A 512-2003 ☎ (055) 283-8864
 
◈배귀영발레단 사림동 9 창원대학교 무용학과 ☎ (055)279-7723
 
◈창원크리스챤 필하모니오케스트라 신촌동 20-1 ☎ (055)283-8864
 
지역언론기관
◈경남신문사 신월동 100-5 ☎ (055)283-2211
 
◈KBS 창원총국 신월동 97-1 ☎ (055)280-7121
 
◈경남CA-TV방송 신월동 101-1 ☎ (055)267-6900
 
◈창원 극동방송 중앙동 117 ☎ (055)269-9810
 
문화예술교육·연구기관
◈창원대학교 창원시 사림동 9번지 ☎ (055)279-7000 관련학과로는 무용학과 30명, 산업디자인과 30명, 미술학과 30명, 음악과 50명, 2001년도에는 대학원에 문화예술관리학과를 신청해 놓은 상태로 학생수는 10명으로 예상된다. 연구기관으로는 디자인 연구소가 있다.
 
◈창원전문대학 창원시 두대동 196 ☎ (055)279-5114 관련학과로는 디자인과 안에 패션디자인과 80명, 야간학부 80명, 산업디자인과 40명, 그래픽과 80명(주·야), 피부미용과 120명(주 80명, 야 40명).
 
지역문화예술 시상제도
◈창원시 문화상 향토문화 창달과 지역사회 발전에 공적이 큰 시민에게 수여하는 상으로서 문예·학술·체육·지역사회개발 등 4개 부문에 걸쳐 매년 4월 1일 시민의 날에 시상하며 상금 3백만원의 부상이 수여된다. 주관 : 창원시
 
◈시민 불교문화상 창원시·마산시 지역을 중심으로 문화창달과 지역발전에 공적이 큰 시민에게 매년 12월에 시상하며 올해 10회째를 맞는 본 상의 특징은 심사위원회에서 본인이 모르게 비밀리에 추천·심사하여 2∼3명의 수상자를 뽑아 시상하며, 상금 3백만 원이 수여된다. 주관 마산·창원 불교연합회
 
지역연고 예술인
◈김종영(1915∼1982) 창원 소답동 출신으로 한국근대조각을 개척한 선구자로 한국 근대미술의 미명기에 조각계 최초의 동경유학도로서 현대조각을 도입시킨 작가이며, 교육자이다. 또한 1953년 런던 국제조각 대회에서 「무명정치인을 위한 기념상」이 입상함으로써 한국미술을 국제무대에 알린 최초의 작가가 되었다. 그는 서울대 미대 학장, 국민훈장 동백장, 예술원상을 수상하는 등 한국근대조각의 이정표를 세운 선구자였다.
 
지역소재 예술작품
◈이원수의 「고향의 봄」 작가가 어린 소년시절을 보낸 창원시 동정동과 뒷산 천주산이 전 민족의 노래인 「고향의 봄」의 배경이다. 창원의 중심공원인 용지공원에는 그의 동시 비가 세워졌다.
 
 
 
용지공원의 이원수 시비
 
 
 
 
5. 관광, 여가문화자원
 
관광자원
◈비음산 창원시와 김해시(진례)의 경계를 이루는 토월동 산44-1 일대, 해발 517m의 산으로 창원 역사의 시발지다. 산의 정상을 따라 통일신라 때 축성된 포곡산성인 진례산성이 있어 더욱 유명한 비음산은 성내에 자생하는 4월의 진달래와 5월 철쭉의 개화기에는 진홍의 수림으로 장관을 이룬다. 경남도청에서 동쪽(사파동)으로 1㎞ 지점(검찰청, 법원) 뒷산이 비음산이다.
 
◈주남저수지 동읍(東邑) 용산·가월·본포리 일대에 걸쳐 큰 호수를 방불케 하는 주남저수지는 동양 최대의 철새도래지로 11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고니, 재두루미, 청동오리 등 70여 종 20여 만마리의 철새떼가 장관을 이룬다. 교통편은 시내에서 동읍 본포행 시내버스가 30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남해고속도로 진영 인터체인지에서 덕산으로 500m지점에 진입로가 있다.
 
◈성산패총 외동 853-7번지 일대. 대규모 패총유적과 야철지가 있는 국가사적지다. BC 2∼3세기에서 원삼국시대의 유물이 집중적으로 발굴된 이곳에 야철지 보호각과 유물전시관이 건립되어 있고, 주변 조경이 잘 꾸며진 공원으로 조성되어 문화관광의 대표적인 명소이며, LG전자 1공장과 마주한 곳이다.
 
관광시설
◈마금산 온천 휴양지 북면 신촌리 일대의 마금산 온천은 일제시대부터 전국에 알려진 곳으로 연중 수많은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 창원의 대표적 휴양지며 관광지다. 창원단감의 주산지로 유명한 이곳은 쾌적한 숙박시설과 놀이동산, 휴양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온천단지 숙박시설>
업소명
소재지
전화(055)
 
천마산장호텔
북면신촌리
298-7111
 
우성온천호텔
299-5260
 
대원리조트온천여관
299-7007
 
신라온천장여관
299-9301
 
신촌온천여관
299-8080
 
중앙온천장여관
299-5995
 
북면온천여관
298-9890
 
용암온천장여관
299-7100
 
 
 
<시내 관광호텔>
업소명
소재지
전화(055)
 
인터내셔날호텔
중앙동
281-1001
 
창원관광호텔
283-5551
 
캔버리관광호텔
268-5000
 
올림픽호텔
285-3331
 
중앙장호텔
284-1721
 
 
 
 
◈성산아트홀과 문화벨트 용호동 2번지에 자리한 국내 최대최고의 시설(지하 2층, 지상 3층, 연면적 40.125㎡, 대극장 1,720석, 소극장 510석, 전시실 등)의 문화회관 「성산아트홀」을 중심으로 좌우에 용지호수와 용지공원 그리고 대형 야외공연장과 시민 휴식공간인 지름 211m, 둘레 662m의 동양최대 잔디광장인 창원광장을 잇는 문화벨트는 창원 문화관광의 상징이다.
 
 
 
용지문화벨트
◈민속자료관 창원의 집 조선시대 생활상을 재현한 창원의 집은 전통문화와 향토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사랑채, 안채, 정자 등 14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마, 맷돌, 디딜방아, 연자방아 등 총 377점의 자료가 구비되어 민족의 전통생활문화를 오늘에 살펴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주소 : 창원시 사림동 69번지, ☎ (055)284-2600
 
관광코스
◈시내역사 탐방코스 창원시청 앞 창원광장 → 용지공원 → 용지호수 및 창원유허비·창원대종 → 창원의 집 → 불곡사 → 성산패총(탐방 소요시간: 5∼6시간)
 
◈시내 관광코스 시청 앞 창원광장 → 용지공원·성산아트홀 → 용지호수 → 성산패총 → 성주사 → 안민고개 → 삼귀해안(관광 소요시간 : 6∼7시간)
 
◈역사 자연사 관광코스 시청 앞 창원광장 → 용지호수 → 용지공원 → 성산패총 → 창원의 집 → 동읍 신방리 음나무군 → 주남저수지 → 마금산 온천단지(1일 코스)
 
 
 
주남저수지
관광쇼핑
◈쇼핑 대동백화점 - 상남동 ☎ (055)266-3900, 성원그랜드상가 - 상남동 ☎ (055)267-3196, 쇼핑 1번지 - 중앙동 일대 쇼핑가
 
◈음식점 밀집지역 도청앞 용호동 및 신월동 대로변에 밀집
 
◈도청 앞 용호동 도로변 △창원설렁탕 ☎ (055) 263-2459 △갈비집 한우촌 ☎ (055)282-4420
 
◈도청 앞 신월동 도로변 △복집 까치 ☎ (055) 275-4001 △복집 참복정 ☎ (055)282-0425 △복집 나들이 ☎ (055)261-5743
 
◈횟집 밀집 지역 삼귀동 해안일대 전역에 20개소의 대형 횟집이 해안도로변에 밀집해 있으며, 바다와 울창한 숲을 끼고 있어 수려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삼귀동은 귀산포도, 참다래(키위), 홍합, 바지락 등 풍부한 농수산물을 생산, 공급하고 있으며 또한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일주도로와 낚시터가 있어 사계절 싱싱한 자연산 회맛을 즐길 수 있는 관광명소이다.
 
◈명물음식점 △원조 판문점 석쇠불고기 도청 앞 신월동 도로변 ☎ (055)287-5514 △임진각 불고기 서상동 도로변 ☎ (055)256-3535 △대성추어탕 경창상가4층 ☎ (055)287-5757
 
 
관광안내소
◈창원시 교통관광과 용호동 1번지, ☎ (055)284-0101
 
◈창원시 문화예술과 용호동 1번지, ☎ (055)280-2225, 인터넷 http//city.changwon.kyongnam.kr/
 
◈(주)경창관광 가음정동 391-1, ☎ (055)267-3333
 
◈여행사 △대한항공지사 ☎ (055)297-2000 △아시아나 항공지사 ☎ (055)222-4000 △고속버스터미널 ☎ (055)288-3355 △경남관광협회 ☎ (055)284-4131
 
여가시설
◈공공체육시설 중앙동 종합운동장을 중심으로 한 체육단지에 있으며, 그 외 사격장은 봉림동에 있다.
 
시설명
규모
수용인원
 
종합운동장
36,000평
30,000명
 
시민생활체육관
3,200평
1,500명
 
실내체육관
4,280평
5,000명
 
종합사격장
210사대
1,000명
 
실내수영장
4,300평
3,000명
 
자전거경기장
10,800평
12,000명
 
국제자동차경주장
국제규격
10,000명
 
 
 
 
◈알뜰 생활관 가음정에 위치한 생활관은 1,500평 부지에 연건평 2,300평의 지하 1층, 지상 5층의 규모로 근로자 및 그 가족의 여가선용과 취미활동, 교양 및 어린이 집 등을 운영하는 종합복지시설이다.
 
◈청소년 수련장 「늘 푸른 전당」 삼동동에 소재, 청소년의 꿈과 미래를 열어갈 다목적 시설을 완비한 전당이다. 9,613평의 대지에 지하 2층, 지상 3층, 연건평 3,628평의 시설을 갖추었다.
 
◈골프장 봉림동산 능선에 위치한 창원 컨트리클럽은 도심속의 녹지공간으로 최적의 골프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내 곳곳에(12개소) 골프연습장(인도어)이 있다.
 
◈등산 및 레저 봉림동 사격장 뒷산 정병산(봉림산)은 등산코스 뿐 아니라 행글라이더 수련장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바다낚시터는 삼귀동 해안, 민물낚시는 동양 최대의 철새도래지인 주남저수지가 있다.
 
 
 
 
 
 
6. 문화시설자원
 
박물관
◈창원시립역사박물관 창원시립역사박물관 서상동 서상공원내 위치, 대지 31,780㎡, 연건평 11.993㎡(지하 2층, 지상 3층)이며, 박물관 건립에 관한 제반준비를 완료(설계 완료)하고, 2000년 하반기에 착공 예정.
 
◈창원대학교 박물관 전시실 200평, 수장고 120평. 사림동 9번지, ☎ (055)279-7816. 창원지역 선사유적 유물에서 원삼국, 가야, 삼국시대 유물로 석기·토기·옥·유리·구슬·청동·철기·자기 등을 갖추고 있다.
 
 
■문화재 연구원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국가기관으로 경남, 부산, 울산광역시 전역을 관장함. 창원시 용호동 8-4 ☎ (055)285-1314∼15
 
◈경남문화재연구원 사단법인체로 지표조사, 발굴, 유물보존처리를 주업무로 함. 상남동 5-2 우진상가 4층 401호 ☎ (055)264-1777
 
미술관
<화랑 5개소 (갤러리)>
상호명
대표자
소재지
전화(055)
 
창원갤러리
황무현
사림동5-7
283-7484
 
갤러리모던
조효구
용호동7-4
287-9998
 
동성갤러리
장은준
용호동73-32
263-8419
 
금화랑
김민선
사파동124-1
267-2337
 
광주요갤러리
김명숙
중앙동97-2
268-5653
 
 
 
 
◈도립종합미술·박물관 창원시 퇴촌동 산 134(도청구내 솔밭 뒷편) ☎ (055)283-1121. 부지 5,911평 연건평 1,948평, 지하 1층에는 수장고, 다목적 홀, 지상 1·2층에는 전시실(미술실, 523평, 박물영상실, 51평) 지상 3층에는 보존과학실, 훈증실, 학예실, 실기실. ※ 2000년 8월 착공하여 2002년 8월 준공 예정
 
도서관
◈창원시립도서관 창원시 반송동 산 51-5(용지공원 문화벨트내), ☎ (055)281-6921, 부지 6,600㎡, 지하 1층, 지상 4층 1,300석, 장서 120,000권
 
◈시립 가음정도서관 창원시 가음정동 1번지, 규모-부지 11,880㎡, 지하1층, 지상3층, 연건평 5,202㎡, 1997년 착수하여 2000년말 완공 예정.
 
◈시립 서상동도서관 창원시 서상동 산 60번지 일대, 규모-부지 9,122㎡, 지하1층, 지상3층, 연 건축면적 5,135㎡, 1997년 착수하여 2000년 완공 예정
 
◈창원시 마을도서관 각 동 문화회관 및 복지회관, 문화시설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22개 마을도서관을 설립 운영하고 있으며, 공부방 9개(좌석 570석)를 운영하고 있음. 마을도서관 장서수 : 91,469권, 회원수 : 26,000명
 
◈창원도립도서관 창원시 중앙동 106-3 ☎ (055) 262-9661, 넓이 12,178㎡, 지하1층, 지상3층, 연 총면적 5,395㎡, 장서수-157,700권
 
공연장 및 영화관
◈성산아트홀 창원시 용호동 2번지 ☎ (055)239-3310∼2, 규모-부지 38,956㎡(11,784평), 지하 2층, 지상 3층, 연건축면적 40,890㎡(12,369평), 주차시설(옥내·외) 550대, 시설내용-대극장 1,720석(16,609㎡), 소극장 510석(4,464㎡), 야외공연장 (1,030㎡), 전시장 7개소 (2,104㎡), 야외조각전시장 (1,050㎡), 조경면적 18,400㎡
<일반공연장>
시설명
소재지
전화(055)
객석수
 
KBS 창원홀
신월동 97-1
280-7591
1,832
 
늘푸른전당
삼동동 산27-2
273-2820
648
 
창원씨네마
중앙동 96-1
287-3430
420
 
정우극장
용호동 73-62
281-1112
333
 
동환아트홀
서상동 동환산업
282-9111
607
 
창원YMCA강당
대방동 24
266-8680
120
 
창원YWCA강당
가음정 20-8
285-9488
400
 
경남교원단체회관
용호동 5-5
263-1842
160
 
경남운수연수원강당
반림동 6-4
285-3981
350,200,100
 
동남공단회관
외동 851-1
260-1315
시청각실160석
 
용지공원야외무대
신월동 98
280-2520
 
 
 
 
<기타 문화시설>
소재지(동별)
시설명
전화번호(055)
마을도서관
공부방
 
의창동
서상문화회관
251-3064
35평
14평
 
팔용동
팔용문화회관
251-4665
15평
15평
 
봉림동
봉곡복지회관
264-5173
38평
40평
 
봉림동
봉림복지회관
264-5713
33평
20평
 
봉림동
사림복지회관
264-5713
30평
45평
 
반송동
반지복지회관
285-0636
38평
24평
 
팔용동
대원복지회관
251-4665
35평
35평
 
사파동
사파복지회관
281-3120
35평
45평
 
중앙동
중앙복지회관
262-2840
15평
18평
 
 
 
 
문화원
◈창원문화원 창원시 토월동 955 시민생활체육관 6층, ☎ (055)284-8870, 281-3970, FAX 266-2749 원장 박현효
경상남도 창원시 정보
• 창원시의 역사문화자원
• 창원시의 어제와 오늘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