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진주시 경상남도 진주시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일자별)
경상남도 진주시 정보
◈ 진주시의 어제와 오늘
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진주는 ‘풍속이 시서를 숭상하고, 학문을 좋아한다’하였고 ‘진양 산천의 훌륭한 경치는 영남에서 제일이다’라고 하였다.
진주시는 서부경남의 중심도시로서 산청·의령·함안·고성·하동군과 마산·사천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또한 영남과 호남을 연결하는 경전선 철도와 남해안 고속도로가 동서로 연결되어 문화교류의 교량역할을 하고 있다. 남으로는 사천시, 북으로는 거창·김천으로 연결되어 있어 바다와 육로를 연결시킬 수 있는 교통의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다.
대전∼진주∼통영간 고속도로 건설, 광양만-진주 광역권 개발 및 진사공단 개발로 도시개발과 산업개발의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며, 교육·의료·문화·관광 등 서부경남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촉석루
 
<진주시 연표>
시 대
연 대
주 요 사 항
 
고대
선사시대
대평면 등지에서 선사시대 유물이 대량 발굴되었고, 수정·옥봉 고분에서 철기와 가야시대 유물이 발굴됨
 
삼한
기원전 2세기
변한에 속하고, 12국 중 고순시국으로 추정됨
 
가야
42
고령가야의 고도로 추정
 
삼국
 
백제가 취하여 거열성이라 함
 
통일
신라
663
문무왕 3년에 신라가 취하여 거열주라 함
 
685
신문왕 5년에 9주로 정비하면서 거열주를 청주라 개칭
 
757
경덕왕 16년에 강주로 고침
 
고려
940
태조 23년에 강주를 진주라 개칭
 
995
성종 2년에 진주목이 됨
 
1200
신종 3년에 공사 노비의 민란이 일어남
 
조선
1392
태조 원년에 현비의 내향이라 하여 진양대도호부를 둠
 
1402
태종 2년에 다시 진주목이 됨
 
1592
선조 25년에 군사 3,800명으로 왜적 2만여명을 물리친 진주성대첩을 이룸
 
1862
철종 13년에 삼정을 바로잡으려고 농민들이 민란을 일으킴
 
1896
노응규가 의병을 일으킴
 
1909
한국최초의 지방지인 경남일보가 창간됨
 
근 · 현대
1923
백정들의 신분해방을 위한 형평사운동이 일어남
 
1995
진주시와 진양군이 통합되어 진주시가 됨
 
 
 
 
 
 
 
 
2.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정방의의 난 고려 신종 3년(1200) 4월에 공사(公私)의 노비들이 난을 일으켜, 주의 아전집 50여호를 습격하여 부수고 불을 질렀다. 체포되었다가 도망친 정방의는 무리들과 원한이 있는 6,400여 명을 살해하였다. 이 난은 주민들의 손에 의해 꼭 1년만에 평정되었다.
 
◈임진왜란과 진주성 싸움 1592년 10월 5일 진주목사 김시민은 군사 3,800여 명으로 왜군 2만여명의 공격을 6일간의 싸움 끝에 물리쳐,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진주성대첩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다음 해 풍신수길은 지난해의 패전을 설욕하고자 12만여 명의 군사로 진주성을 공격하였다. 치열한 공방 끝에 6월 29일 진주성은 함락되고, 김천일·최경회·황진·김준민·고종후·이종인 등은 성 안의 7만여 민·관·군과 함께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이때 진주기생 논개는 왜장을 껴안고 남강에 뛰어들어 순절함으로써 만고에 빛날 충절을 남
겼다.
 
◈진주농민봉기 1862년 5월 23일 삼정(三政)의 문란을 바로잡으려고 진주 백성들이 봉기하였는데, 12월 7일 황주에 이르기까지 전국으로 확산되어 민란이 연달아 일어났다. 이 진주농민봉기는 익산민란에까지 이어지고 끝내는 동학란의 불씨가 된 조선말기의 대사건이었다.
 
◈형평운동 계급타파운동으로서 진주에서 제일 먼저 천민 대우를 받던 백정들의 인간동등, 귀천부재(貴賤不在)를 기치로 봉건사상의 타파를 내건 민권운동이다. 개화인사인 신현수, 강상호 등이 주동이 되어, 1922년 4월 25일 형평사(衡平社)를 결성하고 본격적인 인권운동에 나섰다. 다음해 4월 15일에는 진주극장에서 전국대회를 열고 만민평등의 인권운동의 선구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지금 촉석루 정문 앞에 형평운동기념탑이 세워져 있다.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하공진(河拱辰, ?∼1011) 고려 목종 때의 문신으로 진양 하씨의 시조이다. 상서좌사의 낭중이 되어 강조(康兆)의 정변에 가담하였고, 거란의 성종이 왕을 폐립한 강조의 죄를 문책한다는 핑계로 고려에 침입하자, 자신이 볼모로 가는 조건으로 철병시키는데 성공하였다.
 
◈강민첨(姜民瞻, ?∼1021) 고려 현종 때의 장군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안찰사가 되어 동여진을 격퇴하고, 거란이 침입하였을 때는 강감찬의 부장(副將)으로 홍화진·대산 등지에서 적을 대파하였다.
 
◈하륜(河崙, 1347∼1416) 여말 선초의 문신으로 호는 호정(浩亭),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우왕 14년에 최영의 요동정벌을 반대하여 유배되었고, 조선 개국 후 한양 천도를 주장하였다. 제1, 2차 왕자의 난 때 방원을 도왔고, 태종 때 영의정부사로 군정을 개혁하였다.
 
◈하경복(河敬復, 1377∼1438) 조선 세종 때의 무신으로 시호는 양정(襄靖)이다. 무과에 급제하고, 다시 무과 중시에 급제하여 첨지총제·병마절제사·동지총제 등을 지냈다. 세종 15년에 정인지·정초·황보인 등과 함께 『계축진설』을 편찬하였으며, 동왕 18년에 찬성을 지냈다.
 
◈정분(?∼1454) 조선 세종 때의 문신으로, 호는 애일당(愛日堂), 시호는 충장(忠莊)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쳤고, 문종 때 김종서·황보인과 함께 세자의 보호를 부탁받았다. 단종 원년에 계유정난으로 낙안에 안치되었다가 사사(賜死)되었다.
 
◈강맹경(姜孟卿, 1410∼1461) 조선 세조 때의 문신으로,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요직을 두루 거쳐 영의정이 되었다. 세조 즉위에 공이 있어 좌익공신 진산부원군에 봉해졌고, 저서에 『수서시』가 있다.
 
◈유순정(柳順汀, 1459∼1512) 조선 중종 때의 문신으로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김종직의 문인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성종 22년 허종의 막하에서 야인 정벌에 공을 세웠다. 중종반정 때의 공으로 청천부원군이 되고, 경상도 도원수로 삼포왜란을 평정하고 영의정이 되었다.
 
◈조식(曺植, 1501∼1572) 조선 명종 때의 학자. 호는 남명, 시호는 문정(文貞). 본관은 창녕으로 언형(彦亨)의 아들이다. 유학의 대가로 지리산에 은거하여 성리학을 연구하여 일가를 이루었다. 후진 양성에 힘써 저명한 학자들을 많이 배출하였다. 광해군 때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저서에 『남명집』, 『남명학기유편』이 있다.
 
◈논개(論介, ?∼1593) 조선 선조 때의 의기(義妓). 진주의 관기(官妓)로서 선조 26년 임진왜란 중 진주성이 왜군에게 함락되자 왜장 한 사람을 유인하여 그를 껴안고 남강에 투신하여 함께 죽었다.
 
내 고장의 문화유산
현재 진주에는 국보 1점, 보물 7점, 천연기념물 2점, 사적 2점, 중요무형문화재 1점과 유형문화재 24점, 무형문화재 5점, 기념물 11점, 민속자료 1점, 문화재자료 28점이 있다.
 
 
■국보
◈청곡사 영산회 괘불탱 제302호, 금산면 갈전리 18 청곡사 보물
 
 
 
청곡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단성석조여래좌상 제371호, 망경동 산3
 
◈용암사지부도 제372호, 이반성면 용암리 219
 
◈효자리삼층석탑 제379호, 수곡면 효자리 448
 
◈차륜식토기 제637호, 남성동 171-1, 국립진주박물관
 
◈중완구 제858호, 남성동 171-1, 국립진주박물관
 
◈현자총통 제885호, 남성동 171-1, 국립진주박물관
 
◈청곡사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제1232호, 금산면 갈전리 18 청곡사
 
 
■사적
◈진주성 제118호, 남성·본성동
 
◈평거동고려고분군 제164호, 평거동 산44-2
 
 
■중요무형문화재
◈진주검무 제12호 신안동 15-24, 민속보존회
 
 
■유형문화재(도지정)
◈김시민 장군 전공비 제1호, 본성동 499-1
 
◈촉석정충단비 제2호, 본성동 500-1
 
◈쌍충사적비 제3호, 본성동 500-3
 
◈용암사지석불 제4호, 이반성면 용암리 207
 
◈청곡사삼층석탑 제5호, 금산면 갈전리 18 청곡사
 
◈진주향교 제50호, 옥봉동 232-1
 
◈청곡사대웅전 제51호, 금산면 갈전리 18 청곡사
 
◈삼선암고려동종 제55호, 상봉서동 878
 
◈평거동석조여래좌상 제67호, 평거동 391
 
◈응석사대웅전 제141호, 집현면 정평리 734
 
◈김해김씨비각 제155호, 남성동 251
 
◈주자어류책판 제161호, 수곡면 사곡리 광명각
 
◈동강선생문집책판 제162호, 지수면 압사리 용강서당
 
◈진양부원군신도비 제191호, 미천면 오방리
 
◈두방암다층석탑 제200호, 문산읍 상문리
 
◈고산암석조비로사나불좌상 제236호, 수곡면 원내리
 
◈태계선생문집책판 제241호, 명석면 관지리
 
◈청곡사 괘불함 제261호, 금산면 갈전리 18 청곡사
 
◈향약사창계절목 제285호, 상대2동 301-2 강원매
 
◈강의영효행추거문서 제302호, 상대동 301-2 강원매
 
◈청곡사 금강역사상 제348호, 금산면 갈전리 18 청곡사
 
◈청곡사 영산회상도 제349호, 금산면 갈전리 18 청곡사
 
◈성전암 목조여래좌상 제350호, 이반성면 장안리 산31
 
◈의암사적비 제353호, 본성동 500-8
 
 
■기념물(도지정)
◈진주옥봉고분군 제1호, 옥봉남동 산546
 
◈은열사 제14호, 옥봉동 622
 
◈이충무공진배미유지 제16호, 수곡면 원계리 717-18
 
◈오방리조선조팔각형고분군 제41호, 미천면 오방리 산166-45
 
◈효자리조선조팔각형고분군 제42호, 수곡면 효자리 산139
 
◈우수리 방형고분군 제43호, 명석면 우수리 166, 168
 
◈양정공하경복의묘 제53호, 수곡면 원계리 산59
 
◈정평리 무환자나무 제96호, 집현면 정평리 산77-1
 
◈동례리 느티나무 제108호, 금곡면 동례리 1234-10
 
◈광제산 봉수대 제158호, 명석면 덕곡리 산1
 
◈상대동고분군 제159호, 상대동 산3-2
 
 
■민속자료(도지정)
◈명석 자웅석 제12호, 명석면 신기리 산278
※ 이밖에 문화재자료로 영남포정사 문루 등 28건이 있다.
 
 
 
 
 
 
3. 생활문화자원
 
전통생활민속
◈소싸움 고려 광종 4년의 노비민란 때 소싸움을 시키면서 민란을 계획했다는 전설이 있다. 본래 추석 뒤 3일에 남강 백사장에서 3일간 소싸움을 벌였다고 한다. 지금은 개천예술제 기간 동안 열린다.
 
 
 
소싸움
◈집성촌 대곡면 단목, 금곡면 검암의 진양하씨, 대곡면 마진, 지수면 청원의 재령 이씨, 금곡면 죽곡의 김해 김씨가 집성촌을 이루고 산다.
 
구전설화
◈나막신쟁이날 말띠고개 언덕받이에 사는 마음 착한 나막신쟁이가 돈 석냥에 부자 대신 곤장 서른대를 맞고 돌아오는 길에 죽었는데, 이상하게도 그날은 매섭고 모질게 바람이 불고 추웠다. 그 후로 매년 그 날이 되면 가장 추웠는데, 진주사람들은 나막신쟁이날이라고 부르는데, 음력 섣달 스무이튿날이다.
 
◈무학대사와 진주의 지맥 태조가 진주에 인물이 많이 나는 것을 싫어하여 무학대사로 하여금 진주의 지리를 살피게 하였다. 대사는 명당인 가마못이 있는 등을 끊고, 향교를 옮기고, 새벼리덤 고개 밑의 석룡을 부수었다고 한다.
 
◈처녀골 조선 중기에 진주 원님의 딸이 지방호족인 함안조씨 양반집으로 시집가기로 결정되어 납폐를 마쳤으나, 딸이 갑자기 병이 들어 죽었다. 조도령은 그 후 처녀를 잊고 열심히 공부하여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진주로 돌아오며 처녀골을 지나는데 묘막의 위패가 갑자기 공중으로 뛰기 시작하더니 그의 도포 속으로 들어갔다. 이에 자초지종을 알아보니 자기와 혼약한 처녀라는 것을 알고 제각을 지어 영혼을 달래고, 벼슬도 참판에 이르렀다고 한다.
 
주민의 종교생활
현재 진주에는 불교 사찰 137개소, 천주교 성당 11개소, 개신교 교회 155개소가 있으며, 그 외에도 대순진리교, 천리교, 원불교 등이 있다.
 
구분
이름
소재지
 
사찰
호국사
남성동 239
 
연화사
옥봉동 449
 
의곡사
상봉동 415
 
두방사
문산읍 상문리 325
 
성전암
이반성면 장안리 산 31
 
청곡사
금산면 갈전리 18
 
응석사
집현면 정평리 741
 
성당
문산성당
문산읍 소문리 58
 
칠암성당
칠암동 496-14
 
옥봉성당
옥봉동 443
 
교회
동산교회
중안동 8-1
 
중부교회
중안동 144
 
성남교회
신안동 3-4
 
진주교회
봉래동 37
 
 
 
 
주민의 생활권역
◈중앙시장 오래된 서부경남의 중심시장으로 진주시의 중심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주위에 지하상가도 있다.
 
 
 
중앙시장
◈도동 도동시장을 중심으로 대형유통시설을 갖추고 있다.
 
◈배건너 칠암동의 자유시장을 중심으로 인근 지역의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 그 외에도 신안동, 평거동 일대의 신도시를 중심으로 생활권이 형성되었다.
 
지역의 별미음식
◈진주비빔밥 신선한 나물과 야채, 고명으로 육회를 넣은 것으로 보탕국과 함께 나오는데, 담백한 맛을 자랑한다. 제일식당, 천황식당, 갑을가든 등이 대표적인 식당이다.
 
◈장어구이 남해에서 잡은 신선한 장어에 양념을 발라 구운 것으로, 남강변에 장어집 거리가 형성되어 있다.
 
 
 
장어집 거리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비단 지리산의 맑은 물이 만들어내는 질 좋은 명주는 국내 생산의 70%를 차지하며, 우수한 날염으로 색상이 선명하고 촉감이 부드럽다. 한복지, 양장지, 넥타이, 스카프 등을 만든다.
 
◈은장도와 목공예품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0호인 은장도는 임차출 씨가 기능보유자이다.
 
◈장생도라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다년생 도라지 재배법에 의해 생산되는 23년근 도라지이다.
◈그밖에 온화한 기후와 비옥한 토지에서 생산되는 배, 단감, 딸기, 애호박, 마, 고추 등은 국내시장은 물론 일본에도 수출된다.
 
 
 
 
 
 
4. 예술문화자원
 
지역문화예술행사
◈개천예술제 [상세정보] 주최·주관-개천예술재단, 개최시기-매년 음력 10월 3일 전후, 행사종목-예술경연, 소싸움, 연날리기, 가장행렬, 유등, 불꽃놀이 등
 
 
 
개천예술제
◈의암별제 주최·주관 의암별제제전위원회, 개최시기-매년 음력 9월 9일
 
◈소싸움 주최·주관 경남일보 진주MBC 한국투우협회, 개최시기 매년 4월, 10월
 
◈남인수가요제 주최·주관 경남일보 한국연예협회 진주지부, 개최시기 매년 개천예술제 기간 중, 행사종목 신인가수선발, 축하공연
 
◈진주탈춤한마당 주최·주관 삼광문화연구재단 ☎ (055)747-7084, 개최시기 매년 5월중
 
지역문화예술단체
◈예총진주지부 칠암동 500-15 ☎ (055)755-9111 회원수 550명
 
◈삼광문화연구재단 동성동 9-9 ☎ (055)747-7084
 
◈진주오광대보존회 평안동 110-2 ☎ (055)746-6888
 
◈큰들문화예술센터 봉곡동 444-1 ☎ (055)742-0802
 
지역언론기관
◈경남일보 1909년에 창간된 우리나라 최초의 지방지로 일간이다. 상평동 237-4 ☎ (055)751-1000
 
◈KBS 진주방송국 신안동 13-22 ☎ (055) 740-7100
 
◈MBC진주문화방송 평안동 47 ☎ (055)740-2114
 
◈진주신문사 1990년에 창간된 지역신문으로 주간이다. 평안동 110-2 ☎ (055)745-6277
 
문화예술교육·연구기관
◈경상대학교 민속무용학과 가좌동 900
☎ (055)751-6201 교수 3명, 학생 75명, 매년 전통춤 발표회, 졸업작품발표회를 갖는다.
 
◈경남예술고 초장동 417 ☎ (055)759-3713 학생 306명. 음악과와 미술과가 있다.
 
지역문화예술 시상제도
◈진주시문화상 진주의 문화·체육·지역사회개발에 기여한 공적이 있는 사람으로, 격년제로 시민의 날에 각 분야 1명씩 시상한다.
 
지역출신 예술인
◈설창수 1947년 동인지 등불에 시 「창명」을 발표·등단하여, 국제펜클럽 한국대표,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대표의장, 문학협회이사장을 지냈다. 개인시집 『개폐교』와 『설창수문학전집』 6권이 있다.
 
◈이재호 작곡가로 서양의 반주음악을 우리 음악에 접목, 한국 대중가요의 슈베르트라 불릴 만큼 고운 선율을 표현했다. 「귀국선」, 「단장의 미아리 고개」가 대표작이다.
 
◈이봉조 작곡가로 「밤안개」로 데뷔한 이후 「맨발의 청춘」, 「떠날 때는 말없이」등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국내 작곡가 중 가장 많은 국제가요제 입상경력을 쌓았다.
 
◈박생광 한국화가로 한국의 샤머니즘, 민화 등을 주제로 폭넓은 정신세계를 전통적 색채와 현대적 조형성으로 표현하였다. 무당, 무속, 토함산의 해돋이 등이 대표작이다.
 
◈오제봉 서예가로 국전 추천작가·초대작가·심사위원·심사위원장을 역임하였다. 대표작으로 예술의 전당, 조계사, 용두산 국립공원, 태종대, 촉석루 등의 글씨가 있다.
 
◈남인수 본명은 강문수, 대중가수 중에 최고로 시대감각에 맞는 노래를 불렀다. 가수협회장을 지냈고, 「애수의 소야곡」 「낙화유수」 「감격시대」 「이별의 부산정거장」 등 수많은 히트곡이 있다.
 
 
 
 
 
 
5. 관광, 여가문화자원
 
관광자원
◈진주성 임진왜란 때 진주성대첩을 이룬 곳으로, 촉석루, 임진대첩계사순의단, 영남포정사, 호국사, 의기사 등 수많은 사적들이 있다.
 
◈진양호 지리산에서 흘러내려 경호강과 덕천강이 만나는 곳에 있다. 우약정, 팔각정, 동물원, 진주랜드가 있다.
 
◈진주팔경 진주성 촉석루, 남강 의암, 뒤벼리, 새벼리, 망진산 봉수대, 비봉산의 봄, 월아산 해돋이, 진양호 노을은 명소로 뛰어난 풍광을 자랑한다.
 
◈석류공원 시의 관문에 있으며 시화를 상징하고 인공폭포와 팔각정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공원이다.
 
관광시설
◈남가람문화거리 남강을 사이에 두고 진주성, 촉석루와 뒤벼리 등 천혜의 경관이 아름다운 곳으로, 야외공연장, 야생화단지, 전시공간, 어린이 교통교육장 등이 있다. 진양교∼천수교 남강변 일대 2.9㎞
 
◈산림환경연구원 산림과 동식물에 대한 자연종합학습교육장으로, 남부지방의 대표적 수목원이며, 전문수목원과 향토수종전시장이 있다. 산림자료관, 동물원, 인간의 집, 전망대, 원형온실, 침엽수길, 잔디광장이 있다. 이반성면 대천리 482-1 ☎ (055)754-6959
 
◈동방호텔 객실 73실 규모의 관광호텔로 남강의 야경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옥봉남동 803-4 ☎ (055) 743-0131
 
◈평화호텔 객실 44실. 중앙동 11-1 ☎ (055)745-3301
 
◈태원장호텔 객실 41실. 동성동 4-8 ☎ (055) 746-0022
 
◈아세아호텔 진양호가 한눈에 들어오는 언덕에 있다. 판문동 1077-1 ☎ (055)746-3734
 
관광코스
◈제1코스 진주성(촉석루, 임진대첩계사순의단, 영남포정사, 국립진주박물관, 북장대, 창렬사, 서장대) → 단성석조여래좌상 → 새벼리 → 석류공원 → 경상대학교 → 산림환경연구원 → 청곡사 → 금호지 → 신화직물
 
◈제2코스 진주성(촉석루, 임진대첩계사순의단, 영남포정사, 국립진주박물관, 북장대, 창렬사, 서장대) → 실크전시장 → 진주시향토민속관 → 강변관광도로 → 진양호(호반, 팔각정, 놀이공원, 동물원) → 평거석조여래좌상 → 의곡사 → 진주향교 → 뒤벼리 → 문화의 거리
 
 
 
실크전시장
관광쇼핑
◈문화관광센터 실크로 만든 한복지, 넥타이, 스카프와 목공예품, 특산품 등을 전시 판매한다. 본성동 10-4 ☎ (055)747-9841
 
◈골동품거리 전통의 유물을 보고 느낄 수 있는 거리로 새즈믄해 기념거리로 지정되었다. 진주성 옆 인사동에 있다.
그 외에도 지하상가, 중앙시장, 반성 5일장 등이 있다.
 
관광안내소
◈진주시청문화체육담당관실 본성동 5번지 시청1청사 내 ☎ (055)742-0101, 749-2055
 
◈진주종합관광안내소 진주의 관광정보를 제공하며, 숙박시설 및 관광차량과 연계되어 있다. 본성동 10 ☎ (055)746-5522
 
◈진주성관광안내소 진주성을 찾는 사람에게 관광안내를 하고 있다 ☎ (055)749-2482
 
여가시설
◈진주공설운동장 천연잔디구장이다. 그 외에도 문산공설운동장, 생활체육관이 있고, 송림공원, 남강변의 녹지공원 등에 체력단련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생활체육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락원 노인들의 건강관리와 여가선용을 위한 시설로, 강당, 영화감상실, 체력단련실, 실외 체육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 (055)749-2499
 
 
 
상락원
◈진주컨트리클럽 18개 홀의 골프장으로 국내 표준규격인 One Green제를 채택하였다. 진성면 상촌리 산1번지 ☎ (055)758-0400
 
 
 
 
 
 
6. 문화시설자원
 
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 임진왜란 상설전시실과 김용두 옹의 기획전시실로 이루어진 연건평 1,497평의 지상 2층 지하 1층 건물로, 보물 제1233호인 현자총통을 비롯하여 3,000여 점을 소장한 최초의 전문박물관이다. 남성동 169-17 진주성내 ☎ (055)742-5951
 
◈진주시향토민속관 장석전문박물관으로 장석 8,080여점과 고가구 25점, 민속품이 전시되어있다. 본성동 10-4 ☎ (055)746-6828
 
◈남부산림박물관 산림의 역사, 한국의 산림재와 임업사 등을 전시. 가좌동 719-1 ☎ (055)759-8231
 
공연장
◈경남문화예술회관 전통문화창달을 위한 종합문화예술의 전당으로, 대공연장(1,496석), 소공연장(280석), 옥상공연장 등이 있는 지하 1층, 지상 4층의 건물이다. 칠암동 500-15 ☎ (055)759-0501
 
 
 
경남문화예술회관과 남가람문화거리
◈야외공연장 민속 등을 공연하는 곳으로 진주성 내 국립진주박물관 앞에 있다.
 
전수회관
◈민속예술보존회 무형문화재인 진주검무, 포구락무, 한량무의 전수와 의암별제를 주관한다. 신안동 15-24 ☎ (055)741-5609
 
영화관·정보문화관
◈진주극장 대안동 11-13 ☎ (055)741-2380
 
◈동명아트홀 동성동 5-5 ☎ (055)745-8440
 
◈대한아트홀 본성동 8-13 ☎ (055)745-1177
 
◈성남극장 본성동 8-1 ☎ (055)746-8222
 
◈푸른극장 강남동 4-5 ☎ (055)746-0466
 
◈동명시네마 장대동 127-12 ☎ (055)741-4053
 
◈대한극장 본성동 7-18 ☎ (055)741-0002
 
문화원
◈진주문화원 본성동 10-4 ☎ (055)746-5001 원장 김계현
경상남도 진주시 정보
• 진주시의 역사문화자원
• 진주시의 어제와 오늘
(2005.06.03. 01:02)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