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령군 경상북도 고령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경상북도 고령군 정보
◈ 고령군의 어제와 오늘
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경상북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령군은 서부와 남서부는 군의 경계를 따라 소백산맥 지맥에 해당하는 높은 산맥이 형성되고 중앙부는 모듬내(會川)와 그 지류들이 합류되면서 형성된 분지모양의 저지로 이루어졌으며 동부지역은 경상계 지질로된 300m 이하의 구릉지를 이루고 있다. 군의 동쪽 경계인 낙동강 연변에는 범람원이 넓게 이루어졌으며 본 군의 지형은 서부 산지, 중부 저지, 동부 구릉지, 낙동강 연안은 충적지로 되어 있다.
기후는 여름에는 기온이 높고 비가 많으며 겨울에는 한랭건조하고 연평균 기온은 12.5℃이며 강우량은 1,178㎜이고 습도는 70%로 약간 낮아서 사람이 살기에 적당한 곳이다. 총면적의 65%가 산이며 농경지는 20.3%인 77.9㎢인데, 그 중 70%가 논이고 30%가 밭이다. 군의 중앙부를 흐르는 모듬내(會川)와 지류인 소가천, 안림천, 대가천 일대는 수리가 좋아 매년 풍작을 이루며 낙동강 연안인 다산, 성산, 개진, 우곡면은 비옥한 농토로 쌀농사 및 수박, 감자는 전국에서도 인정한다.
『동국여지승람』에 ‘풍속이 강하고 무용을 숭상하며 농사에 부지런하다’했으며 정인지는 ‘힘써 농사를 짓고 부지런하며 물을 끌어 들이는 데에 방죽이 있다’했고 『삼국지』 『위지동이전』 「변진조」에는 ‘토지가 비옥하며 오곡이 풍성하고 누에를 기를 줄 안다’하였다.
고령의 주민들은 고려때 구족은 거의 없고 대개 조선초에 들어온 외지인으로 유학을 숭상하며 농축에 부지런하였다. 사례(관·혼·상·제)와 손님 접대하기를 즐겨하며 미풍양속의 향풍이 넘쳐 오늘날 고령을 가리켜 산고지령(山高地靈) 수청야옥(水淸野沃)이라 부른다.
<고령군 연표>
시 대
연 대
주 요 사 항
 
선사
시대
 
고령지역의 가장 오래된 유적지는 고령읍 장기리 알터 암각화, 고인돌 등으로 청동기 시대에 해당함(변진13국중 반로국 존재)
 
대가야
42년
뇌질주일이 대가야국 건국, 16대 520년간 왕조를 이어옴
 
신라
562년
진흥왕 23년 신라에 병합 대가야군이 됨
 
757년
경덕왕때 고양군이 됨
 
고려
1018년
영천현이 됨
 
조선
1413년
태종때 고령현
 
1592년
임진왜란 발발 6월 6일 김면 의병장 무계전투에서 대승함
 
1895년
고종 32년 현이 군으로 개칭
 
현대
1979년
고령면이 읍으로 승격
 
1983년
덕곡면 성동이 수륜면에 편입
 
1988년
우곡면 조지동이 봉산동응로 바뀜
 
 
 
 
 
 
 
 
2.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대가야국(大伽倻國)의 도읍지 고령은 서기 42년 뇌질주일(惱窒朱日)이 대가야국을 건국하여 이진아시왕<(伊珍阿棺王, 내진주지(內珍朱智)라고도 하며, 금관가야(金官伽倻)의 시조 수로왕(首露王:惱窒靑裔)의 형이다. 42년경 경북 고령(高靈)지방을 중심으로 대가야국을 세웠다>이 되어 그 왕조가 16대요, 520년간 찬란한 대가야문화를 이루어온 역사의 고장이다. 특히 철기문화의 발달로 농기구와 무기류 생산으로 국력이 신장되어 후기 가야의 맹주국으로 멀리 중국의 남제와 국교를 맺어 가야왕이 보국장군의 칭호를 받기도 하고 신라, 백제, 고구려와도 국교를 맺기도 하였으며 때로는 동맹국으로 어떤 때는 적대국으로 문물의 교류와 전쟁으로 독특한 가야문화를 이뤄온 곳이다. 대가야의 영역은 소백산맥을 넘어 남원, 임실, 곡성까지였으며 섬진강을 경계로 하동까지 영역을 넓혔으나 신라 진흥왕 23년 신라의 명장 이사부 장군과 부장이며 화랑인 김사다함의 5천 군사로 대가야국이 신라에 의해 합병이 되었다. 특히 일본의 잘못된 「임나일본부설」 사관에 따라 그들의 역사를 정당화 하기 위해 일제강점시 많은 가야문화의 유적지와 문화가 파괴되고 그들의 남굴로 대형트럭 2대분에 해당하는 많은 유물들이 일본으로 반입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일본 학자들에 의해 일본 황족의 조상이 고령에서 도래했다는 「고천원설(高天源說)」이 제기되어 학계에 비상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며 매년 수백 명의 일본인들이 이곳을 다녀가고 있다.
 
 
 
대가야국 성지비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이진아시왕 대가야국을 건국한 왕
 
◈가실왕 대가야 전성기를 만든 왕으로 가야금을 만들게 한 왕
 
◈우륵 가실왕의 명으로 가야금을 제작·연주한 악성
 
 
 
우륵기념탑
◈강수 통일신라시대의 대문호로 대가야의 후예임.
 
◈이인임(1312∼ ? ) 우왕을 왕위에 오르게 함. 고려 충숙왕때 급제, 공민왕 12년 경도순무사겸 평양부윤이 되고 나중 광평부윤이 됨.
 
◈이미숭 고려말에 안동장군에 올라 고려의 운이 다하자 고려를 되찾으려 항전하다 순절함. 지금의 미숭산은 그의 이름을 따서 미숭산이다.
 
◈김면(1541∼1593) 본관은 고령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많은 전공을 세움. 의병포대장, 우도병마절도사를 역임. 증병조판서, 가증이조판서가 되었다.
 
◈신숙주(1417∼1475) 본관은 고령. 집현전 부수찬으로 시작,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에 이름. 시호는 문충, 고령부원군에 봉해짐
 
◈곽률(1531∼1593) 본관은 현풍 홍산군수, 예천군수, 초계군수를 역임. 예빈시부정에 제수되었고 의병장으로 왜병을 물리치다 순직함.
 
◈성풍세(1572∼1649) 호랑이가 감동할 정도로 효성이 뛰어남. 창녕이 본관인데 그의 효성을 기리는 비각을 세워 백원문이라 함.
 
◈김상덕(1891∼) 독립운동가로서 건국훈장 받음.
 
◈김재열(1884∼1950) 독립운동가로서 건국훈장 받음.
 
◈남형우(1874∼1942) 독립운동가로서 건국훈장 받음.
 
◈신철휴(1891∼1980) 독립운동가로서 건국훈장 받음.
 
◈최영돈(1897∼1985) 독립운동가로서 건국훈장 받음.
 
내 고장의 문화유산
■보물
◈고령 지산동 당간지주 제54호,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4-2번지
 
◈고령 양전동 암각화 제605호, 고령군 고령읍 장기리 532번지
 
 
 
고령 양전동 암각화
◈죽유오운 종손가 소장문적 제1203호, 고령군 쌍림면 송림리 104번지
 
■사적
◈고령주산성 제61호, 고령군 중화리 산3번지
 
◈성산 사부동 도요지 제71호, 고령군 성산면 사부리 산6-1번지
 
◈고령 지산동 고분군 제79호,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산8번지
 
◈고령 고아동 벽화고분 제165호, 고령군 고령읍 고아리 산13-1번지
 
■중요민속자료
◈보부상 유품 제30호, 고령군 고령읍 고아리 61번지
 
■유형문화재(이하 도지정)
◈만남재 제48호, 고령군 쌍림면 평지리 241번지
 
◈반룡사 다층석탑 제117호,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17-1번지
 
◈고령 개포동 석조관음보살좌상 제118호, 고령군 개진면 개포리 87번지
 
◈점필재 문적유품 및 종가문서 제209호, 고령군 쌍림면 합가리 84번지
 
◈반룡사 동종 제288호,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17-1번지
 
◈고령박씨 소윤공파문적 제298호, 고령군 우곡면 도진리 61번지
 
■기념물
◈김면장군 유적 제76호, 고령군 쌍림면 고곡리 16번지
 
■민속자료
◈점필재종택 제62호, 고령군 쌍림면 합가리 84번지
 
■기념물
◈고령 안화리 암각화 제92호, 고령군 쌍림면 안화리 산1번지
 
■문화재자료
◈벽송정 제110호, 고령군 쌍림면 신촌리 산84번지
 
◈도연재 제111호, 고령군 쌍림면 합가리 112번지
 
◈성풍세효자비 제112호, 고령군 다산면 나정리 127번지
 
◈고령향교 제229호, 고령군 고령읍 연조리 608버지
 
◈고령대평리 석조여래입상 제359호, 고령군 운수면 대평일 427번지
 
◈고령대평리 분청사기요지 제279호, 고령군 운수면 산 252번지
 
 
 
가야토기
 
 
 
 
3. 생활문화자원
 
전통생활민속
◈고령좌사(高靈左社, 負商契) 지신밟기 정월보름 좌사계원 전원이 시접장댁에 모여 장비를 갖추고 접장집 대청부터 마굿간까지 돌면서 시작한다. 전반수가 꽹과리를 치는 순간 선창하는 지신요는 장엄하고 구슬프다. 주인되는 계원은 쌀 또는 헌금을 상 위에 준비하여 내어놓고 주로 계원댁을 돌면서 진행한다. 모은 곡식과 돈은 좌사기금으로 사용하며 비계원이 요구하면 좌사놀이를 놀아준다
 
구전설화
◈대가야국의 건국설화 『삼국유사』의 「난생설」과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가야산신감생설」 또는 「정견모주설」이있다.
 
◈고천원(高天源)설 『일본서기』에 기록된 액유각인의 이야기인데 일본천황 천조대신의 동생 쓰사노오노미코도가 대가야 고령의 우두산(가야산)에서 웅천을 거쳐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천황가의 선조가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박부자와 용마등」, 「효자를 도운 황새」, 「봉화산의 처녀곰」, 「미숭장군과 애마」, 「신동의 비녀」, 「상비리와 서유재」, 「새밤」, 「되남골에 얽힌 이야기」, 「상룡의 구름다리와 선녀」, 「원쉬골에 얽힌 얘기」, 「의봉산의 봉황새」, 「도선의 각자 삼천동」, 「풍등골과 장승백이」 등 구전 설화가 많이 있다.
 
주민의 종교생활
◈무(巫) 알터 암각화(보물)는 선사시대의 종교 생활을 알 수 있는 제단이다. 자연신을 섬겨오면서 무속신앙으로 이어져 지금도 고령의 진산인 주산과 만대산에는 전국의 무속인들이 많이 찾아오고 있다 .
 
◈불교 쌍림면 용리에는 보조국사가 창건(800년 신라 애장왕 3년)했다는 반룡사가 있으며 고령에는 16개 사찰이 있다.
 
◈유교 『고령군지』에 의하면 태조 13년(1413)에 고령향교가 건립되었다. 1592년 임진란때 소실, 위판을 관음사 뒷산에 매안한 것을 1701년 현감 구문유가 현재 위치에 고령향교를 건립하여 많은 유생을 양성했다.
 
◈천주교 고령읍 지산리에 1964년 고령천주교회를 건립했으며 관내 3개의 공소가 있다.
 
◈기독교 1902년 덕곡 원송교회 쌍림안림교회의 설립을 시작으로 고령에는 13개 교회가 있다.
 
◈기타 통일교회, 여호와의 증인, 대한천지교, 한얼교 등이 있다.
 
주민의 생활권역
◈시장로 고령상권의 중심지이다. 지산리에 전국에서 알아주는 재래시장인 고령장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며 신흥상가이다.
 
◈주산로 고령주산으로 통하는 길인데 주산에는 주산산성, 대가야고분군, 산림욕장이 있어 전국에서 많은 관광객과 소풍객들이 모여드는 곳이다.
 
◈대학로 종합대학 가야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학원도시이다.
 
지역의 별미음식
◈관동스므주 고령읍 본관1리 성산이씨 집안에서 내려오는 전통주인데 담근지 20일만에 먹는다고 스므주이다. 맛과 향이 뛰어나다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모산골 수시감 진상품으로 맛이 달고 수분이 많아 꿀물을 먹는 맛이다.
 
◈노동쌀 진상미로 가야산에서 내려오는 깨끗한 물과 퇴비로 농사를 지어 그 맛이 천하일미이다.
 
◈쌍림딸기 맛과 향이 전국 제일이다.
 
◈성산참외 맛과 향이 전국 제일이다.
 
 
 
성산참외
◈우곡수박 당도와 맛이 전국 제일이다.
 
◈개진감자 품질이나 생산면에서 전국에서 알아준다.
 
◈고령한와 문화재관리국에서 품질과 모양을 인정 받아 전국문화재 보수공사에 납품되는 이름있는 기와인데 수요량을 생산이 따르지 못하고 있다.
 
◈운수벼루 조선조에는 왕가에서 사용했으며 율곡의 유품 벼루가 운수벼루인데 정조임금의 어필이 조각되어 있다.
 
◈가야토기 운수면 신간리에서 대가야 토기를 제작, 전국에 납품하고 있다.
 
 
 
가야토기
 
 
 
 
4. 예술문화자원
 
지역문화예술행사
◈대가야문화예술제 주최·주관 : 고령문화원 ☎ (054)954-2347
 
◈대가야축제 [상세정보] △주최 : 고령군 ☎ (054)954-2201△주관 : 고령문화원 ☎ (054)954-2347
 
◈전국우륵가야금경연대회 △주최 : 경상북도 ☎(053)943-0811 △주관 : 고령군 ☎ (054)954-2201 고령문화원 ☎ (054)954-2347
 
◈청소년음악회 주최·주관 : 고령문화원 ☎ (054) 954-2347
 
◈선반수추모제 △주최 : 고령문화원 ☎ (054) 954-2347 △주관 : 고령좌사계
 
◈경연대회 △백일장, 미술실기대회, 서예대회 △주최 : 고령문화원 ☎ (054)954-2347 △주관 : 각종단체
 
◈문학의밤 △주최 : 고령문화원 ☎ (054)954-2347 △주관 : 참꽃글모임
 
◈다도회 주최·주관 : 예다회
 
◈판각체험 △주최 : 고령문화원 △주관 : 이산각연구소
 
◈도예체험교실 주관 : 가야대학교
 
◈상가거리축제 주관 : 상가번영회
 
지역문화예술단체
◈대가야미술협회 성산면 박곡리 ☎ (054)954-6350
 
◈여성합창단 고령읍 지산리 ☎ (054)954-2347
 
◈대가야풍물단 고령읍 지산리 ☎ (054)954-2347
 
◈우륵회(가야금) 고령읍 지산리 ☎ (054)954-2347
 
◈꽃꽂이 고령읍 지산리 ☎ (054)954-2347
 
지역언론기관
◈고령유선방송 고령읍 연조리 ☎ (054)955-3313
 
◈고령·성주신문 고령읍 쾌빈리 ☎ (054)955-9111
 
문화예술교육·연구기관
◈향토사연구회 고령읍 쾌빈리 554-4 ☎ (054) 956-0100
 
◈가야문화연구소 고령읍 지산리 가야대학내 ☎ (054)955-5964(교수 : 4명, 연구분야 : 가야문화 발굴 및 조사)
 
지역문화예술 시상제도
◈자랑스런 군민상 읍·면장 및 기관단체장 추천에 의해 선발하며 10월에 시상한다. (주관 : 고령군)
 
◈전국가야금경연대회 대통령상시상 전국을 대상으로 10월에 실시 최우수(대통령상), 우수상(문화관광부장관상) 등으로 매년 실시함
 
지역출신 예술인
◈권국명 시인, 1964년 현대문학으로 등단
 
◈이하석 시인, 1971년 현대시학추천 등단
 
◈문무학 시인, 제38회 월간 문학 신인 작품수상
 
◈서정은 1922년 대구문학 신인상 수상
 
◈곽홍란 시조시인, 매일신문 신춘문예 당선
 
◈최우석 시, 한국 문인협회 추천
 
◈송진환 시, 1978년 현대시학으로 등단
 
◈권영세 동시, 1981년 월간문학 신인상
 
◈문형렬 소설가(이야기 가야사)
 
◈신충식 탤런트(탤런트협회장)
 
지역소재 예술작품
◈『이야기 가야사』(소설) 대가야 역사를 소설화하였음(저자 문형렬)
 
 
 
 
 
 
5. 관광, 여가문화자원
 
관광자원
◈팔만대장경을 운반한 개경포 고령군 개진면 개포리 낙동강변인데 고려 고종 38년 1251년에 국가사업으로 만든 팔만대장경을 이곳 개경포에 배로 싣고와 이곳에서 고령을 경유, 가야산 해인사에 운반하였다. 이곳 개경포는 하루에 소금만 1,630섬이 들어왔으니 얼마나 큰 포구인지 짐작이 간다. 또 이곳에는 조선조에 들어와 1580년 선조때 낙강칠현인 김면, 이기춘, 이승, 이홍량, 정구, 박성, 이홍우 선생이 뱃놀이를 하면서 많은 시를 짓기도 하였으며 근래에는 전국에서 이름난 낚시터이기도 하다.
 
◈상비리 가야산 바로 밑 마을 즉 덕곡면 노2리이다. 가야산 줄기를 따라 경관이 좋아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주산산성 대가야국때 축조한 것으로 내성 2개, 외성 1개인데 성내에는 지금도 기와 조각 및 토기 조각이 산재해 있다.(사적 제61호)
 
◈지산동 고분군 주산에서 남쪽으로 뻗은 능선에 약 200기의 대가야 대형고분들이 있다. 가야시대에 이루어져 있으며 고구려식인 상자형 석곽과 백제식 십자형 석실분으로 순장묘도 발견된 곳이다.(사적 제70호)
 
 
 
지상동 고분군
◈고아동 벽화고분 1963년에 발굴. 이미 도굴되었는데 T자형 터널이다. 공주 능산리 무령왕릉과 모양이 같으며 고구려와 백제의 영향을 받은 가야지역의 유일한 고분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한 안장자익 금구가 이곳에서 출토되었다.(사적 제165호)
 
◈기타 지산동 당간지주 기산도요지 사부도요지, 반룡사, 김면장군 유적지, 미숭산성, 알터 암각화, 벽송정, 도연재, 만남재, 악성우륵영정각 및 기념탑, 신촌유원지등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관광시설
고령은 많은 관광지가 고령읍을 중심으로 이뤄져 있어 어느 곳에서나 쉽게 찾아갈 수있으며 숙박시설도 비교적 잘 되어 있는 곳이다.
 
관광코스
■1일 코스
◈1코스 양전동암각화 → 유물전시관 → 주산성 → 지산동고분군 → 왕릉전시관
 
◈2코스 유물전시관 → 지산동고분군 → 향토문화?e학교(판각체험)
 
◈3코스 양전동암각화 → 우륵기념탑 → 유물전시관 → 지산동고분군 → 왕릉전시관
 
◈4코스 왕릉전시관 → 유물전시관 → 우륵기념탑 → 상비산계곡
 
■1박2일 코스
◈1코스 유물전시관 → 주산성 → 지산동고분군 → 왕릉전시관 → 향토문화학교(1박) → 양전동암각화 → 장경나루
 
◈2코스 우륵기념탑 → 유물전시관 → 왕릉전시관 → 신촌숲 → 향토문화학교(1박) → 지산동고분군
 
◈3코스 향토문화학교 → 장경나루 → 양전동암각화 → 우륵기념탑(1박) → 유물전시관 → 지산동고분군 → 미숭산(등산)
 
관광쇼핑
◈가야토기 및 분청사기 고령요는 금속 및 목공예를 제작 판매하고 있다. ☎ (054)955-5289
 
◈곽해석 딸기잼 고령 안림에서 생산하는 딸기로 무공해 딸기쨈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직판하고 있는데 수요에 못따른다. ☎ (054)955-0474
 
◈메주 고령에서 생산되는 콩으로 메주를 만들어 시판한다. 고령메주 ☎ (054)955-3633
 
◈음식점 △논메기매운탕 ☎ (054)954-2918 △청호숯불가든 ☎ (054)955-1992 △금계숯불가든 ☎ (054)954-0633 △남해복어 ☎ (054)955-3456 △가야 숯불가든 ☎ (054)955-4041 △명성가든 ☎ (054)954-3986 △중앙찜가든 ☎ (054)955-3883△주산성가든 ☎ (054)954-3030 △고령가든 ☎ (054)954-8342
 
관광안내소
◈고령군청 문화관광과 고령군청내 ☎ (054)950-6063, 6064, FAX (054)950-6269
 
◈고령넷 http://www.kyoryong.kyongbuk.kr
 
◈경북관광 http://www.kyong.tour.or.kr
 
여가시설
◈고령체육관 1971년 건립 △면적 : 320평 △관람석 : 1940명이며 군민의 실내 체육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주산등산로 고령유물전시관에서 미숭산, 반룡사까지 대가야의 유적탐방과 주산 삼림욕장과 곁들어 많은 관광객이 찾아온다.
 
◈옥계청소년야영장 고령군 덕곡면 옥계리 산146에 위치하며 면적 9.449㎡로 야영시설 파고라 및 음수대, 화장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6. 문화시설자원
 
박물관
◈대가야유물전시관 ☎ (054)955-2542 고령읍 지산리 17-1번지에 소재하고 있으며 부지는 887평 건물 64평으로 대가야 유물을 전시하고 있는데 토기 124점 금속 17점, 옥 9점, 모조 42점으로 국내외인이 연간 약10,000명 이상 찾아온다.
 
도서관
◈고령공공도서관 ☎ (054)955-2488, 2510 고령읍 연조리 599-2에 소재하며 좌석 21석이다. 일반도서, 참고도서, 아동도서 등 약 2만 2천권의 장서를 보유하여 고령군민에게 많은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일반열람실과 자료실로 구분되면, 무로복사와 관외대출(1인 3책 7일간)도 가능하다.
 
공연장
◈대가야국악당 ☎ (054)955-2452 고령읍 지산리 192에 위치하며 1988년 10월 20일 준공. 건물 638평으로 지상 3층, 객석 500석이다. 대가야의 가실왕의 명으로 악성 우륵이 가야금을 만든 것을 기리기 위해 문예진흥기금 및 정부 지원으로 대지 2,423평에 건립하여 예술행사를 비롯 공연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연수실, 전시실, 야외공연장등의 부대시설도 갖추어져 있다.
 
 
 
대가야국악당
문화원
◈고령문화원 ☎ (054)954-2347, 고령읍 지산리 192번지 대가야국악당 내에 있으며 고령지역 문화.예술을 총괄하는 곳이다. 주요사업은 향토교육민속발족, 애향운동전개, 지역사회교육, 대가야문화예술제주관, 향토사료수집보관 들이다. FAX : (054)
954-2347 원장 유병규
경상북도 고령군 정보
• 고령군의 어제와 오늘
• 고령군의 역사문화자원
(2005.06.03. 01:02)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