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서천군 충청남도 서천군 정보
충청남도 서천군 정보
(보기 : 일자별구성)
(A) 서천군의 마을 소개
서천군의 어제와 오늘
about 충청남도 서천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05.06.03. 01:02) 
◈ 서천군의 어제와 오늘
1. 어제와 오늘
 
 
 
충청남도의 서남부에 금강을 사이에 두고 전라북도 군산시와 익산시가 인접해 있으며 서해바다 금강입구는 유부도, 서북부는 보령시, 동북부는 부여군이 인접해 있다. 서천군은 2개의 읍과 11개 면으로 농업, 수산업, 임업 특히 한산모시가 전국적으로 유명하고 넓은 평야지대를 형성하여 옛날부터 쌀을 많이 생산하여 왔으며 기후도 인간이 정착하기에 좋은 곳으로 신석기시대부터 인간이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일제 36년간 서천군을 위시하여 보령시와 부여군에서 생산되는 쌀은 장항읍 부두가에서 1년에 수십만톤씩 일본으로 보내졌던 곳으로 장항읍 항구에는 수천인파가 동원되어 강제노동을 한곳으로 유명하다. 삼한시대의 유물도 출토되고 있으며 백제시대에는 설림군(舌林郡)이라 하였으며 또는 남양(南陽)으로도 불리워져 왔다. 그 후 통일신라시대에는 서림군(西林郡)으로 개칭하였으며 그후 고려시대에는 가림현이라 불러왔다가 서천군(舒川郡)으로 개칭하였다. 그후 조선 태종 때에는 서천군, 한산군, 비인현으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에 3개군을 합하여 서천군으로 통합했다. 오늘날 장항읍, 서천읍, 마서면, 한산면, 화양면, 기산면, 문산면, 판교면, 마산면, 시초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 등 2읍 11면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장항읍과 서면, 비인면은 서해바다에 인접되어 해산물이 풍부하다. 춘장대해수욕장은 잔잔한 서해바다의 넓은 모래사장에 수목이 왕성하여 여름철 해수욕장으로는 전국에서도 유명한 곳으로 이름이 나 있다. 그곳에는 동백나무숲 90여 주가 마치 초가지붕처럼 옹기종기 산언덕을 덮어 봄철 3월, 4월중에는 많은 관광객이 전국에서 찾아온다.
 
 
 
서천 모시문화제
 
<서천군 연표>
시 대
연 대
주 요 사 항
 
고대
신석기시대
서천군 장항읍 장암리에서 빗살무늬토기 발견
 
삼한시대
서천군 서천읍 오석리, 한성리, 장항 성주리에 원삼국기토기가 잔재되어 있음
 
통일신라
756~935
현재 서천 남산성과 마서면 테뫼산성, 문산면 지원산성과 풍정리산성 주변에 설림시대 사람들이 사용한 그릇들이 발견
 
고려
918~1392
현종 9년(1018)에 가림군(嘉林郡)에 속했다. 그후 이 고을 이언충(李彦忠)이 충선왕(재위, 1308~1313)에게 공이 있으므로 지서주사로 승격, 그후 충선왕시대에 서림을 서주(西州)로 개칭
 
조선
1392~1910
서주(西州)는 서천(舒川)으로 한주는 한산(韓山)으로 바뀌게 되었다. 태종13년(1413)에 서천으로 지명이 바뀌게되어 지금까지 이름
 
근대
1910~1945
서천의 지명은 서천, 한산, 비인으로 나누던 현의 명칭이 있으며 특별한 문화유적도 없고, 특산품도 없으며 오직 농업에만 종사한 이유로 서천에서 생산된 쌀은 장항항구를 통해 일본으로 무수히 보내짐
 
현대
1945~2000
1945년 해방과 동시에 서천군의 인구는 136,082명, 1959년에는 149,533명, 1965년에는 162,221명으로 증가했으나 생활여건이 어려워져 1997년에는 83,013명, 1999년 12월 31일 현재 77,953명이다.
 
 
 
 
 
 
 
 
 
2.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서천군으로의 명칭과정 서천은 삼한시대에 접어들기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충청남도 내륙에 인류정착지로서 삼한시대에 서천지역에는 아림국(兒林國)이, 서천 종천에 비리국(卑離國)이 있었고 장항해변가에 농경지보다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마을이 형성되었다. 백제는 2세기경 충청남도의 아산만과 위례성 부근에 태동하여 서천군지역에는 금강변속에 전략적 요지로 지목되어 한산에 건지산성이 축조되었고 비인에 서해안을 향해서 성지가 축조되었다. 백제시대에는 서천의 지명을 설림(舌林)이라 했으며 고려시대에는 서림(西林)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서주에서 서천으로 명칭이 바뀌어 강변은 천(川)으로 내륙은 산(山)으로 불렀다 한다.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이색(李穡, 1328∼1396) 고려 충숙왕 15년(1328년)에 태어난 고려시대의 문신이다. 고려시대의 삼은의 한사람으로 자는 영숙이며 호는 목은, 본관은 한산이다.
충혜왕 2년에 진사가 되고 충목왕 4년(1348)에 원나라에 가서 국자감의 생원이 되어 성리학을 연구했다. 1351년 부친상으로 귀국하여 공민왕 1년(1352)에 전제(田制)의 개혁, 국방개혁, 교육진흥, 불교의 억제 등 당면한 여러 정책의 시정개혁에 관한 건의문을 올렸다. 이듬해 정동행성에 향시하여 1등으로 합격하고 서장관이 되어 원나라에 가서 1354년 회시에 1등, 전시에 2등으로 합격해 원나라에서 응봉한림자승사랑동지제고겸국사원편수관(應奉翰林字承事郞同知制誥兼國史院編修官)을 지냈고 귀국하여 전리정랑겸예문응교(典理正郞兼藝文應敎), 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역임하고 이듬해에 다시 원나라에 가서 한림원(翰林院)에 등용되었다. 1356년 다시 귀국 이부사랑한림직학사겸사관편수관지제교겸병부랑중(吏部寺郎翰林直學士兼史館編修官知製敎兼兵部朗中)이 되어 인사행정을 주관, 개혁을 건의하여 정방을 폐지하게 했으며 우간의 대부가 되어 유학에 의거한 삼년상제도를 실시하게 했다. 그후 추밀원우부승지(樞密院右副承旨), 지공부사(知工部事) 우대언(右代言), 지군부사사(知軍簿司事),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보문각(寶文閣)과 예문관(藝文館)의 대제학(大提學), 판개성부사(版開城府事) 등을 지냈다. 1367년 대사성(大司成)이 되어 성균관의 학칙을 새로 제정하고 김구용, 정몽주, 이승인 등을 학관으로 채용해 성리학의 발전에 공헌했다.
이성계(李成桂) 일파의 세력을 억제하려 하다가 이성계 일파가 세력을 잡게 되자 장단에 유배되었고 이듬해에 함창으로 유배되었다가 공양왕 3년(1391) 석방되었다. 태조 4년(1395)에 한산백에 봉해졌고, 태조 5년(1396)에 세상을 떠났다.
 
◈홍한(洪罕, 1568∼1673) 자는 자보이고 호는 과목당이다.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젊어서는 오랫동안 부모님 병환에 약 시중으로 효행이 지극하였다. 정유란 때는 의병을 일으켜 싸울차비를 단단히 하였으나 적이 물러감으로 집에 돌아왔으며 그후 조정에서 알게되어 참봉벼슬을 내렸으나 사양했다. 1636년 병자호란 때는 서천군수 이안진과 의병을 모집하여 순찰사 정세기를 도와 싸워 그 이름이 높았다. 그 후 조정에서는 대군의 사부로 세 번이나 영을 내렸으나 사양하였고 대군이 북방의 인질로 가게 됨에 사부를 승낙했다. 그는 대군이 갇혀있는 심양까지 가서 많은 위험을 무릅썼으며 그때의 기록으로 『서행록』이 있다. 그후 나라에서 삼가현감의 벼슬을 주고 선정비가 세워졌으며 1673년에 사망했다.
 
◈이상재(李商在, 1850.10.26 ~ 1927.3.29 ) 조선 말기 철종1년(1850)에 서천군 한산에서 태어난 종교가요 정치가로 호는 월남(月南)이며 본관은 한산이다. 일찍부터 종교가로 입문하여 신앙운동을 통해 민족정신고취에 주력했다. 고종 25년(1888)에 주미공사관서기로 부임했으며 귀국 후 우부승지, 의정부 참찬을 역임했다. 광무 2년 (1898)에는 서재필과 함께 독립협회를 조직해 부회장을 지내면서 민중계몽에 전력했다. 그 뒤에 기독교청년회 회장, 조선일보 사장을 거쳐 신간회 회장을 지냈다. 1927년에 별세하였다.
 
 
 
이상재 생가
◈신석초(申石艸, 1909∼1975) 서천군 화양면 활동리에서 태어났다. 1921년 한산보통학교 3학년 편입 후 1925년 경성 제일보통학교 입학, 1931년 일본 법정대학 철학과 입학 후 1937년 자오선 동인, 1951년 향리 화양면장 피선, 1957년 한국일보 논설위원 겸 문화부장, 1959년 시집 『바리춤』간행 외 4권, 1960년 대한민국예술원회원, 1965년 한국시인협회회장, 1968년 제13회 예술원상 수상, 1975년 67세로 영면. 경기도 양주군 신세계공원묘지안장. 2000년 5월 서천군 한산면 한산모시관에 신석초 시비를 세웠다.
 
 
 
신석초 시비
내 고장의 문화유산
◈문헌서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5호, 기산면 영모리에 있다. 서천에서 한산방향으로 10㎞ 정도 가면 길 좌측으로 문헌서원이라는 안내문이 있다. 이곳에서 1.6㎞를 가면 문헌서원에 이른다.
1968년에 세워졌으며 본래 서원자리는 한산면 죽촌리 강당터이다. 1872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훼철되었다가 1968년에 옮겨 확장했다. 고려말의 대학자 가정 이곡과 목은 이색 두분을 배향하기 위하여 조선 선조 27년(1594)에 건립하였다. 현재 『목은문집』과 『가정문집』이 보관되어 있고, 영당에는 그림으로 된 목은이색의 초상화가 있다. 현재 이곡과 이색, 이종덕 등 6인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문헌서원
◈비인 5층석탑 보물 제224호, 비인면 성북리에 있다. 석탑의 높이는 6.2m이고 측부와 탑면에는 아무런 조각이 없다. 비인지역의 불사들이 비인 경제의 중심이었던 염전과 어업을 통하여 얻은 이익과 정부의 비보사찰 건축계획과 때를 같이하여 세운 탑으로 여겨진다. 탑이 위치한 비인면 성북리에서 바다까지 2㎞ 남짓 하는데 그 사이에 염전이 발달되어 있어 경제적 풍요가 있었고 풍수지리적으로 탑이 위치한 지역이 코끼리가 코를 늘어뜨린 코 끝부분에 해당되어 코끼리의 억센 코 끝에 사찰을 세우게 된 것이다. 고려말 왜구가 침입해 사찰을 불태웠고 그 이후 조선조의 억불숭유정책에 다시금 불사를 일으키지 못하고 영영 그 영광을 잊어버리고 말았다.
순진무구한 촌색시의 자태를 연상하듯 치켜올린 옥개석의 반전, 옥개석 받침들의 부드러움, 풍부하면서도 좀 부족한 감을 주는 탑신석, 완성보다 미완성의 극치를 이뤄 최고보다는 최선을 다한 석공의 불심이 나타나 있는 아름다운 석탑이다.
 
 
 
비인 5층석탑
내 고장의 문화유산
■보물
◈비인5층석탑 제224호 서천군 비인면 성북리183
 
■사적
◈건지산성 제60호 서천군 한산면 지현 호암 죽촌 기산면 영모리
 
■중요무형문화재
◈한산모시짜기 제14호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바디장 제88호 서천군 한산면 종지리
 
■천연기념물
◈마량리 동백사무숲 제169호 서천군 서면 마량리
 
◈신송리 곰솔(해송) 제353호 서천군 서천읍 신송리
 
■중요민속자료
◈서천 이하복 가옥 제197호 서천군 기산면 신산리
 
■유형문화재(이하 도지정)
◈가정 목은선생문집판 제77호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무형문화재
◈한산세모시짜기 제1호 서천군 한산면 동산리
 
◈한산소곡주 제3호 서천군 한산면 호암리
 
■문화재자료
◈서천향교 대성전 제123호 서천읍 군사리 315
 
◈한산향교 대성전 제124호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문헌서원 제125호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비인향교 대성전 제126호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이색신도비 제127호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지현리 3층석탑 제128호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수암리 3층석탑 제129호 서천군 문산면 수암리
 
◈봉암리 3층석탑 제130호 서천군 마서면 봉암리
 
◈지석리 3층석탑 제131호 서천군 종천면 지석리
 
◈서천읍성 제132호 서천군 서천읍 군사리
 
◈비인읍성 제133호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한산읍성 제134호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
 
◈율리사 제303호 서천군 비인면 율리
 
 
 
 
 
 
3. 생활문화자원
 
전통생활민속
◈서천주민들의 민요 민요는 한겨레의 인정, 풍습, 생활, 감정을 소박하게 반영한 노래이다. 어느 누구에 한해서 불리워진 것이 아니고 보편적으로 그 집단에 속해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즐겨부른 공유물로서 가장 폭넓은 민중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서천주민들은 우울하고 불쾌하고 짜증날 때 마을에서 수시로 민요를 불렀다. 서천군 한산면을 중심으로 매년정월대보름을 기하여 모시일을 하면서 부녀자들끼리 모시노래와 모시를 짜는 베틀가를 부르며 한바탕 모시길쌈놀이를 하여 1년의 희로애락을 즐겨 놀던 풍습이 이어져와 오늘날 한산모시문화제라는 축제가 매년 5월 1일부터 일주일간 열린다. 모시제와 모시패션 및 읍면 풍물농악놀이 등 다양한 볼거리행사를 내용으로 하는 서천군민문화축제가 열려 금년에도 외국인들이 500여명, 전국에서 37만여 명의 관광객이 관람했으며 한산모시문화제 축제기간에 74억여원의 관광수입을 올렸다.
 
◈보부상놀이 서천군 판교면에 상무사의 조직이 있었으며 매년 3월 제삿날에는 보부상놀이를 거행하였다. 1년동안에 보부상들의 재수대통과 안녕을 비는 당굿을 시작으로 상병단( 商兵團)의 출동, 공문제(公文祭) 그리고 출동중 공과에 대한 상벌에 이어 여흥으로 이어지는 놀이다. 당굿은 성왕당굿으로서 농악과 함께 이어지는 장터에서는 필목장사의 싸구려타령, 장타령, 엿타령 등 토속적인 타령이 이어지고 출동과 함께 보부상 노래에 이어 콩문제, 칙령상벌 여흥 등 특이한 민속적 가치를 높이곤 한다. 보부상놀이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태조대왕 등극 후에 우리생명 건저댔소 계화계화 계화자 좋소. / 영위대감, 반수영감 듣잡시오 계화계화 계화자좋소 / 시제영감 요줌영감 모시고 들어갑시다. 계화 계화 계화자 좋소 / 오늘이 몇일이냐 삼월 열하룻날입니다, 계화계화 계화자 좋소 / 우리가 살면 몇백년사나요, 계화계화 계화자 좋소 / 죽음으로 보은 충성합시다 산천초목은 젊어나 가지만 계화계화 계화자 좋소 / 우리네 인생은 왜 그리 늙어만 가나요 계화 계화 계화자 좋소…"
 
◈남산놀이 남산놀이는 백제 때부터 내려오는 민속놀이로 아낙네와 처녀들의 민속놀이다. 매년 음력 8월 17일에는 100여 리 안쪽의 부인과 처녀들이 떡, 밥, 과일 등을 싸가지고 남산으로 모인다. 백제멸망 후 당나라의 포로가 된 의자왕(義慈王)이 그 아들과 좌평들 93명, 백성 12,087명과 함께 당나라로 끌려갈 때 임금을 잃고 또한 남편자식을 잃게 된 아낙네들 또는 아버지와 오빠를 잃게된 부녀자들이 그 배가 금강을 흘러 내려와서 서해바다로 사라질 때 이 산에서 통곡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한다. 그 후 매년 8월 17일이 되면 아낙네들이 산에 올라와 서쪽을 바라보며 그들이 무사와 함께 돌아오기를 기다렸다는 여인들의 애탄에 서린 한을 위해 일년에 한 번씩 만나는 장소로 변한 것이 남산이다.
 
구전설화
◈신선샘 서천읍 남산의 벼락바위 아래 샘이 있는데 이 샘은 신선샘이라 부른다. 옛날 한 농부가 이 샘 근처에 왔더니 백발 노인 두 사람이 바둑을 두고 있었다 한다. 바둑을 재미있게 두던 노인 한 사람이 샘물로 목이나 축이고 구경하라해서 대답을 하고 샘물을 마시고 돌아와서 또 한참을 구경을 하는데 노인들이 “그만 집에 돌아가보라”고 해서 집에 돌아왔다고 한다. 집에 돌아와 본즉 자기아내가 백발의 노모가 되었고 아들이 자라서 장가를 가 아들, 딸을 낳아 기르고 있었다고 한다. 즉, 이 샘물을 마시면 신선이 된다하여 장수한다고 전해지는 샘이라 신선샘이라고 부른다.
 
◈안장바위 서천군 마산면 벽오소 마을에서 서남쪽으로 가다보면 넓은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안장바위라 부른다. 옛날 백제가 멸망할 무렵 나당군과 싸우던 한 장군이 이끄는 병사들과 이곳 나궁 마을에서 큰 싸움이 벌어졌다. 여기까지 오느라고 피로에 지친 나당군을 단숨에 무찌르기 위해 그는 군사를 몰고 쳐들어갔다. 피로에 지친 나당군은 처음은 갈피를 못잡고 당황하였으나 수적으로 많은 그들은 앞으로만 밀고 나왔다. 숫적으로 열세인 장수와 백제 군사들은 최후까지 싸웠으나 이제는 싸울 군사가 몇 명 남았을 뿐이었다.
그는 하는 수 없이 다음 기회를 보기 위하여 말고삐를 돌렸다. 그가 말고삐를 돌려서 한참 내려가다가 들판에 이르렀을 때 말은 그의 말을 듣지 않고 허공을 향하여 앞발을 세우며 울부짖는 것이었다. 그는 말고삐를 다시 남쪽으로 돌렸으나 말은 북쪽을 가리키고 꼼짝하지 않는 것이었다. 그는 이러다가는 개죽음을 당할 것 같아서 말에서 내려 칼을 빼서 말의 목을 쳤다. 말은 죽으면서도 피를 사방에 뿌리며 울부짖다가 죽었다. 장수는 말을 죽이고 걸어서 고개를 넘어가는데 이상하게도 하늘에선 크게 천둥이 울렸다. 이상해서 뒤를 돌아본즉 말이 죽은 자리에 큰 바위가 솟아오르는 것이었다. 말이 죽은 자리에 솟아 오른 바위라 하여 안장바위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안장바위가 있는 이 근처에선 이상하게도 일 년이면 한 두 사람씩 까닭 모르게 횡사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바위에 제사를 지내자 죽는 사람이 없어졌다가 이 바위가 물 속에 잠기게 되자 제사를 지내지 않았는데 제사를 지내지 않자 이번에는 일년에 한 두 사람씩 익사자가 생겼다. 그래서 다시 제사를 지내는데 지금도 이 바위가 비록 물에 잠겼지만 이 근처를 지나는 사람들은 공연히 몸이 떨린다 해서 주춤거리기도 한다. 안장바위는 장군의 명마의 넋이 서린 바위라고 전해진다.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한산소곡주 한산소곡주는 찹쌀로 빚어 100일 동안 익혀서 마시는 명주 중의 명주로서 백제 유민들이 나라를 잃은 한을 달래기 위해 빚어 마셨다고 전해지며 술맛이 독특하여 일명 '앉은뱅이술'이라 부른다.
 
◈판교의 도토리묵 서천군 판교면에서 생산되는 도토리묵은 연간 6만상자가 생산되고 있으며 맛이 텁텁하지만 먹고 나면 담백하다. 국내최초로 일반가정에서도 쉽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도토리 녹말가루를 만들어 포장하여 전국으로 판매하고 있다.
 
◈서천김 서천군에서 생산되는 김은 맛이 좋은 서천의 주요해산물로 년간 40여만 속을 생산하고 있으며 서천에는 김밥이 유명하다.
 
◈한산세모시 한산세모시는 인체에 해가 없는 천연섬유로 백옥같이 희고 우아하며, 잠자리 날개처럼 섬세하고 가벼워 여름철옷감으로는 으뜸이다. 또한 내구성이 뛰어나 한 번 옷을 해 입으면 평생을 입을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현재 연간 20,000여 필이 생산되고 있는 특산품이다.
 
◈부채 옛부터 우리 조상들이 장식으로 즐겨쓰던 공작선으로 한산면 지현리 이한규씨가 3대째 가업을 이어오고 있으며 전통공예품 경지대회에서 수 차례 입상하였다.
 
◈갈꽃비 서천 갈꽃비는 수수비에 비하여 부드럽고 질겨 섬세한 먼지까지 쓸어내는 효과가 있으며 잘 맨 갈꽃비는 보기도 좋아 관상용으로 쓰기도 한다.
 
◈서천쌀 금강하류의 비옥하고 넓은 평야에서 생산되는 서천쌀은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서천단감 질이 단단하고 저장성이 좋은 서천단감은 당도가 높고 맛이 좋아서 대도시 공판장에서 최고 품질로 인정받고 있다.
 
◈자하젓 맛이 깔끔하고 담백한 천연 무공해 식품
 
<지역 특산품 판매장>
품목
생산지
전화번호
 
자하젓
비인면 선도리
(041)952-8863
 
한산세모시
한산면 지현리
(041)951-9448
 
판교도토리녹말
판교면 현암리
(041)951-5527
 
까나리 액젓
비인면 구복리
(041)952-1148
 
한산소곡주
한산면 지현리
(041)951-0270
 
느타리버섯
시초면 후암리
(041)952-1148
 
지황
마산면 신장리
(041)953-2043
 
갈꽃비
서천읍 삼산리
(041)951-1226
 
팽이버섯
판교면 마대리
(041)951-2575
 
표고버섯
판교면 문곡리
(041)951-2575
 
화양청결미
화양면 옥포리
(041)951-6949
 
서천단감
마산면 이사리
(041)953-4330
 
부채(공작선)
한산면 지현리
(041)951-0634
 
 
 
 
 
지역의 별미음식
◈늘봄가든 서천읍 군사리에 있으며 특수한 불고기구이 시설로 맛이 매우 독특하다. 돼지갈비, 불고기와 칡냉면, 유황오리탕이 유명하다.
 
◈온정집 장항읍 창선동에 위치한 유명한 온정집은 항구에서 싱싱한 아구로 특별한 요리로 아구탕의 진미를 느낄 수 있다.
 
◈삼부일식 서천읍 군사리에 위치하며 싱싱한 장어구이, 광어, 가자미 등 회를 직접 맛볼 수 있으며 회덮밥은 별미중의 별미로 유명하다.
 
 
 
 
 
 
4. 예술문화자원
 
지역언론기관
◈서천신문 (주간) ☎ (041)951-8001, 서천읍 군사리 512-2
 
◈뉴스서천 ☎ (041)951-8232∼3 서천읍 군사리 631-9
 
◈서천유선방송사 ☎ (041)953-6492 서천읍 군사리3구 211-1
 
지역출신 예술인
◈김기형 대표작「4월의 산은」
 
◈윤병하 대표작「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
 
◈최정심 대표작 동시 「눈속에 갖힌 집」
 
◈이정아 대표작 동화 「하늘키 소나무」
 
◈한청수 대표작 시「금강하구뚝」
 
 
 
 
 
 
5. 관광, 여가문화자원
 
관광자원
◈희리산자연휴양림 △숙박시설(4∼5인 가족) 30실, 서천읍에서 5㎞, ☎ (041)953-9981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곰솔 서천읍 신송리, 천연기념물 353호. 서천 신송리 곰솔은 서천에서 서쪽으로 나지막한 야산 중턱에 속리산 정2품 소나무와 같이 마을을 굳게 지키고 있는 수호신이다. 본래 암수 두 그루가 있었다고 하나 8·15해방 때 한 그루가 죽고 현재 숫그루가 남아 있다고 한다. 서천에서 신송리까지 걸으면 15분 정도면 족하다. 곰솔 높이는 17m이고 가슴높이 둘레는 4.6m이며 2m높이에서 줄기가 2개로 갈라져 있다. 남쪽 줄기의 밑둘레는 3.1m, 북쪽 줄기의 것은 3.05m, 동서 33m, 평균 34.1m이고 수령은 400년이다.
언덕에 있으며 곧게 하늘로 치솟은 것도 아니고 다만 마을을 향하여 숙이고 있어 마을을 포옹하고 있는 느낌을 받는다. 세상 온갖 것이 다 변하여도 이 곰솔만은 묵묵히 마을을 지키고 마을의 안녕을 바라고 있다.
 
◈춘장대해수욕장 서천군 서면에 서해안 일대에 아카시아 나무가 울창한 곳으로 완만한 경사와 맑고 잔잔한 수면이 특징이다. 해수욕장 주변 자연환경이 수려한 곳으로 각종기관, 단체 피서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서천역에서 16㎞이며 시내버스는 5분마다 있다.
 
 
 
춘장대해수욕장
◈금강하굿둑 서천군 마서면 도삼리와 군산시 성산면을 잇는 길이 1,841m의 하굿둑으로 방조제가 1,127m이고 갑문이 714m이다. 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물고기가 왕래하도록 되어 있으며 숙박시설, 상업시설, 어린이 휴양시설이 되어있다.
 
◈한산모시문화제 백제 때 한 노인이 남편의 병을 고치기 위해 건지산 토굴에서 백일기도를 올리던 중 그의 정성이 하늘에 닿아 꿈속에 산신령이 현몽하여 지금의 건지산 기슭에 나가면 진귀한 것을 얻으리라고 말해 다음날 그곳에 가 보니 이름 모를 약초가 있어 그 이름 모를 약초로 남편의 병을 고치고 그 풀을 한산면 건지산 부근에 심어 널리 재배하였다고 전해지는데 이 풀이 바로 1천년 전통을 이어온 유명한 한산 세모시를 만드는 모시풀이며 한산을 중심으로 부여와 보령 등 8개 읍 지역에서 재배가 확산되어 널리 퍼지게 되었으며 그 풀 줄기껍질로 한산 세모시를 생산했다.
한산세모시는 인체에 해가 없고 백옥같이 희고 우아하며 가벼워 여름철 옷감으로는 제일 우수하며 한 번 옷을 해 입으면 평생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임금에게 바치는 진상품으로 유명했으며 한산모시문화제는 전국에서 유명한 모시문화축제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한산모시관 한산면 지현리에 있다. 서천군의 대표적인 한산특산품인 한산세모시의 원산지로 유명하다. 서천에서 한산간 12㎞이다
 
 
 
한산모시관
◈장항송림백사장 장항읍 송림리 해변 모래사장. 우라늄성분이 많아 신경통에 좋다는 말이 있어 옛부터 전해진다. 음력 4월 20일은 모래의 날로 전국 각지에서 많은 인파가 몰려와 모래찜질을 한다. 서천에서 12㎞이다.
 
◈마량리동백나무숲 서천군 서면 마량리. 400여 년 전 마량리 수군참사가 험난한 파도를 안전하게 다니려면 제단을 세워 제사를 지내야 한다는 계시를 받고 이곳에 제단을 만들 당시 그 주변에 동백나무를 심었다고 전하는데 그때의 나무가 자라서 오늘의 명물인 동백나무숲을 이루고 있다.
90여주의 동백나무숲이 매년 4월이면 동백꽃을 피워 장관을 이루며 야산의 마루턱엔 동백정이란 누각이 있다
 
 
 
마량리 동백나무 숲
관광안내소
◈서천군청 공보실 ☎ (041)950-4224
 
◈서천문화원 ☎ (041) 953-0123
 
여가시설
◈종천면 흥림저수지 낚시터
 
◈서천군민체육관 장항 화천리 ☎ (041)956-7868
 
◈금강하구뚝 물썰매장 및 어린이놀이기구
 
 
 
 
 
6. 문화시설자원
 
도서관
◈서천도서관 규모 : 638평, 장서수 : 39,217권. 서천읍 군사 176-2 ☎ (041) 953-8266
 
◈장항공공도서관 규모 : 192석, 장서수 : 12,650권. 장항 화천 330-7 ☎ (041) 956-5016
 
공연장
◈군민회관 서천읍 군사리 176-2 ☎ (041)953-4758 규모 : 800석
 
 
 
서천군민회관
문화원
◈서천문화원 서천읍 군사리 176-2 ☎ (041)953-0123 원장 노긍래
충청남도 서천군 정보
• 서천군의 어제와 오늘
• 서천군의 역사문화자원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