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평창군 봉평면 향토사 (1993)
봉평면 향토사 (1993)
하위 제목 오류
(보기 : 일자별구성)
about 봉평면 향토사 (1993)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저작】
(2018.07.11. 02:38) 
◈ 五 지명 유래(地名 由來)
봉평 / 1. 봉평은 예맥(濊貊)이 태기산을 국경으로 할때 예국(강릉)에 속하였던 것 같다. / 2. 이조 초에는 강릉부 진부에 봉평리, 기풍리로 있었던 것 같다. 봉서 신범선생이『송담기』와 『판관대기』를 쓸때에 『珍富 深谷 蓬坪里』란 대목이 보이는데 이는 아마 사임당이 봉평에 머물던 당시(1525) 진부에 속하였다가 진부와 분리되지 않았나라고 하였다.
목   차
[숨기기]
 

1. 1. 봉평

1. 봉평은 예맥(濊貊)이 태기산을 국경으로 할때 예국(강릉)에 속하였던 것 같다.
2. 이조 초에는 강릉부 진부에 봉평리, 기풍리로 있었던 것 같다. 봉서 신범선생이『송담기』와 『판관대기』를 쓸때에 『珍富 深谷 蓬坪里』란 대목이 보이는데 이는 아마 사임당이 봉평에 머물던 당시(1525) 진부에 속하였다가 진부와 분리되지 않았나라고 하였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옛날 수상은 태기산 밑에 풍년을 바라는 마음에서 기풍이라 하고 수하는 흉풍이 없어 신선 부럽지 않다고 하여 봉평이라고 그 옛날 분들이 지은 것 같다.
3. 1757년(영조33년)에 진부로부터 분면당시 봉평면으로 통합
4. 1857년(철종8년)에 기풍면으로 개칭
5. 1906년(광무10년)평창으로 편입시 봉평면으로 개칭
 
◆ 참고 자료
① 『봉서 유고집』 『송담기』 』판관대기』
② 『사임당 수기』
③ 『신천강씨 세보』(信川康氏 世譜)
내용;강 연이란 사람이 흉도 이인을 피하여 경상도 안동에서 강원도 강릉 기풍방 원길리로 이거 1727년(영조3년)
④ 평창군지 (1909년 융희3년 4월 30日字 發行)에 당시 봉평면에는 봉평리와 면온리가 있다는 기록이 보임.
⑤ 평창군지
● 어떠한 기록에 봉래선생의 봉자를 따서 봉평이라 하지 않았나 한것을 보았다.
 
◎ 봉래선생의 봉자를 따서 봉평이라 했다는 주장을 부정하는 이유
 
※ 신사임당이 봉평 판관대에 거하던 때는 1525년이고
양봉래 선생이 강릉 부사를 재직한 시기는 1565년이다.
즉 양봉래선생이 강릉부사 재직시보다 40년전에 사임당께서 판관대 거주시기부터 봉평이라는 지명이 보이므로 양봉래 선생의 봉(蓬)자를 따서 봉평이라 했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
봉래 선생이 너무나 유명하여 우연히 蓬字가 같으니 추측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2. 一 창동리(蒼洞里)

1. 원래는 이조때 창고가 있다 하여 창마을(창말)이라 하였다.그 후 광무10년(1906) 평창군으로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을 통폐합 할 때 남안동, 석항동(일명 장촌), 방축동을 병합하여 창동리라 하고 봉평면 사무소와 봉평주재소(현 봉평지서)를 짓는 한편 시장(市場)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봉평국민학교와 우체국을 건축하여 봉평의 중요지로서 면모를 갖추었다.
2. 현재 기관 및 교회, 사찰
1) 봉평면사무소, 봉평지서, 봉평우체국, 봉평단위농협, 봉평중고등학교, 봉평국민학교, 봉평보건지소 ,산림협업, 한전 출장소, 예비 군중대, 봉평신협
2) 봉평천주교회, 봉평장로교회, 늘사랑교회, 봉평감리교회, 안식일교회
선관사, 성황당
 
◉ 소지명
1. 남안동 : 남안이란 사람이 이조 세조에 쫓겨 숨어 살았다하여 남안이라고 부른다.
2. 남안동 : 1907년 문학가 이효석 선생이 태어난곳
3. 음치골 : 남안동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6.25때 전투가 치열하였다
4. 장촌(일명석항) : 돌목고개 북쪽에 있는 마을 장씨가 살았다하여 장촌이라고도 한다.
5. 석항동 : 돌목고개 창동 남쪽에 있는 고개 창동서 평촌 현재 고개를 끊고 길이 되었음
6. 방축동 : 창동 동쪽에 위치한 저수지 두곳(큰방축 작은방축이 있다)
7. 마산 : 창동 동쪽가에 있는 산 말처럼 생겼다고 한다
8. 삿갓봉 : 창동 동북쪽에 솟은산 삿갓 모양의 산
9. 송항치 : 평촌 후군내로 가는 웃 써근새 고개 소나무가 무성하여 사양 목시가 좋았다고 한다.
10. 창말 : 창동리의 옛이름
11. 한답 모퉁이 : 돌목고개 앞에 있는데 물이 귀한 논이라 하여 한답이라 불렀다.
12. 성황당 : 창동4리 강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돌배나무 고목이 여러 그루 있고 당집이 있다. 93년 도부터 가산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며 봉평중고등학교와 연접하여 있다.
 
 

3. 二 원길리(元吉里)

1. 강릉군 봉평의 지역으로서 엄씨와 김씨가 살았다하여 엄김이라 하기도 하고 옛날 태기왕이 점을 치니 길한곳이라 하여 원길(元吉)이라 되었다고 한다. 광무10년 평창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통합에 따라 부드래골, 회동, 북길동, 상포항, 하포항, 신대(새터말), 사리평을 병합하여 원길리로 부르게 되었다.
천왕사 금선사가 있음.
 
◉ 소지명
1. 솔모종 거리 : 1780년대 봉서선생 아버지 4형제가 솔(소나무)모종 70 그루를 모종하였다하여 솔모종거리라 한다.
2. 못 나오는 골 : 북쪽에 있는 골짜기 매우 험하고 좁아서 한번 들어 가면 나오기 힘들다고 하여 못 나오는 골이라한다.
3. 방축고개 : 원길리에서 동쪽으로 창동리 방축동으로 가는고개
4. 부드래골 : 원길 동쪽 마을, 부들꼴이 많았다고 한다.
5. 북길동: 원길 북쪽에 있는 마을 천왕사와 금선사가 있다.
6. 불담골 : 원길 남쪽에 있는골 돌부처가 있었다고 한다.
7. 사리봉 : 사리평 앞산
8. 넙쩍꼬댕이 : 사리평과 북길동 두곳에 있다 넙쩍하다고 한다.
9. 여우골(여깽이골) : 남쪽에 있는데 여우가 많았다고 한다.
10. 이어내골 : 하포항 뒤골 한문자 乃자를 닮았다 하여 이어내골
11. 작은산 : 사리평 입구에 있는 섬 청년들이 작은산이라 부른다.
12. 새터마을(새터말) : 사리평끝에 새로 생겼다 하여 신대라고 한다.
효석 문학비와 물레방아가 있다.
13. 회동 : 옛날 전나무가 많았다고 하여 전나무골(회동)이라 한다.
14. 추동(楸凍) : 윗 개목이 뒷골(가래골)
 
 

4. 三 덕거리(德巨里)

1. 덕고산밑에 있는 큰마을이라고 하여 덕거라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합때 매지동, 사동, 인흥동, 보래동, 기운동을 병합하였다.
덕거국민학교, 세계 정교기도원, 덕거감리교회
 
◉ 소지명
1. 기운동 : 덕거리 동쪽에 있는 마을
2. 도사치 : 기운동서 동북쪽 용평면 도사리로 넘어가는고개 해발885m
3. 매지동 : 인흥동 동북쪽에 있다. 매화와 매지폭포가 있다.
4. 보래동 : 태기왕이 보물을 가지고 이곳으로 갔다 한다.
5. 보래령 : 보래동에서 홍천내면 창내로 넘어가는 큰재 해발1011m
현재 도로 공사중에 있다.
6. 절골 : 절이 있었다고 하며 조사단이 사기와 질그릇 몇 조각 발견
7. 이방우골 : 강릉이방이 죄를 짓고 도망와서 살았다 한다.
8. 인흥동: 한학자 송와 배진환이란 선생이 모든 만물이 仁字로 시작 된다 하여 인흥이라 하였다고 한다.
 
 

5. 四 흥정리(興亭里)

1914년 행정구역 통 폐합에 따라 금강평, 거문동, 양지동, 음지동, 유동,직동, 화명동 원터 연작을 합하였다.
무이국민 학교 흥정분교 흥정리교회 산채 연구시험장이 있다.
 
◉ 소지명
1. 거문가니 : 삼거리 남동쪽에 있는 마을, 큰학자가 있었다 한다.
2. 구나무 재 : 양지동 서쪽 서석 피리골로 가는 재 해발967m 큰 느티 나무가 있었다(구목령). 1960년대에 공귀덕 여사가 아기를 업고 빗을 갚으러 이 재를 넘어가 구몽령에서 아기를 안고 동사. 아기는 행 인이 발견하여 살았다.(홍천 내면 뱃재에 비석이 있음)
3. 금강평 : 흥정리에서는 제일 큰 마을이며 금강산을 닮았다 하여 금강평이라 한다. 1960년대에는 동명임업주식회사 후로링 공장이 있다가 화재로 인하여 공장이 소실되었다.
4. 느릅가래 : 음지동 북쪽 골짜기 마을에 느릅나무가 있었다.안느릅가래, 바깥느릅 가래가 있음으로 부쳐진 이름있었다.
5. 불바래기(火明재) : 내면 좌운으로 가는 재.
6. 삼거리 : 음지동, 양지동, 거문동으로가는 삼거리에 있는 마을,
현재 무이 국민학교 흥정 분교가 있다.
7. 원터 : 흥정리 첫마을 행인들이 가다가 지치면 쉬기도 하고 자기도했다는 원집이 있었다 한다.
8. 九富터 : 옛날 부자 아홉집이 있었다하여 九富터라 한다.
9. 연작이골 : 제비 모양을 한 연작암이 있어 연작이라 부른다.
10. 양지동과 음지동 : 봉서 유고집에 보면 영지버섯과 벌꿀 농사를 많이 하여 석굴에서 벌이 날던 것을 보고 글을 지으셨다.
과거에는 영지버섯과 벌꿀농사를 많이하여 석굴에서 벌이 날아오르느게 보일 정도였다.『봉서 유고집』
11. 장골재 : 불바라기서 북서쪽 서석 장골로 가는재.
12. 흥정산 : 흥정리에서 제일 큰산, 해발 1277m
13. 충충바위 : 일명 퉁퉁바위라고도 한다. 강양편에 암석이 절경을 이루고 물이 맑으며 숲이 장관을 이루고 있어 옛부터 학자들의 놀이터로 각광을 받고 있다. 길 우측 도랑옆에는 연대를 알수 없는 충암(忠岩)이라 써 있는 바위가 있는데 글씨의 마멸 상태로 보아 무척 오랜된 것 같다. 연구할만한 가치가 있다.
14. 중길이터 : 옛날 중길이라는 사람이 살았다고 한다.
15. 구룡소 : 일명 구영소. 소금강, 소먹이통 같다고 구영소, 룡9마리가 있다 하여 구룡소, 금강산 같다고 하여 소금강이라고 부른다.
 
 

6. 五 무이리(武荑里)

1906년 평창군으로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백운동, 안흥동, 무이본동을 통합하여 무이리라 칭하였다. 당시 이곡 학자들은 이곳이 중국에 무이산 절경과 같다는 뜻에서 무이리라고 하였다 한다.
무이국민학교, 무이 산돌 감리교회, 무이 안식일 교회
 
◉ 소지명
1. 노적바위 : 무이리 입구 흥정천변에 있는 바위. 바위 꼭대기에 수령을 알 수 없는 피나무가 있다. 곡석 낫가리 같다고 노적바위, 쌀섬을 쌓아놓은 것 같다고 름봉, 바위가 빛난다하여 화암등 세 이름으로 불린다.
2. 백운동 : 무이리 서북에 있는 마을, 운중선화형 의명당이 있다고함.
3. 뱅가리 : 백운동과 안흥동 사이에 있는 마을을 작은 뱅가리라 한다. 백운동의 발음을 빨리 하다가 뱅가리로 변한것 같다.
4. 서둣골 : 무이리 동북쪽에 있는 골 한때 중석광을 시추하여 현재 광산굴이 있다.
5. 옹장골 : 화암동 서북쪽에 있는 높은 산 옆에 속골이 있다.
6. 사발복뜨기, 투구봉, 안장바위, 룡마봉 : 전설에 의하면 태기왕이 파발봉에서 연락이 없음으로 투구봉에서 투구를 잃고 룡마봉에서 용마를 안장바위에서 안장을 잃었다고 한다.(태기산 전설 참조)
7. 무이고개 : 본동에서 안흥동으로 가는고개
8. 옥산대 : 태기왕이 옥쇄를 잃었다고 한다.(태기산 전설 참조)
9. 양구두미 : 안흥동에서 둔내로 넘어가는 고개. 구릉이 둘이다.
10. 용치미골 : 안흥동 남쪽에 있는골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
11. 큰마을 : 무이리본동에 있는 마을 제일 넓다고 큰마을이라 한다.
12. 진등 : 옛날 학자들이 향음주례의 예법을 실습하였다고 하여 진등(進登)이라 한다.
13. 상굿골 : 진등을 거처서 면온으로 가는 골짜기
14. 호프농장 : O.B맥주회사에서 호프를 재배하고 건조하는 건조실이 있다.
15. 양구두미 : 정상에 T.V 송신소와 무선중계소가 있다.
 
 

7. 六 면온리(綿溫里)

옛날 태기왕이 전멸 하였다고 하여 멸인(滅人)이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고종 광무 10년(1901)에 평창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통합당시 왕율, 운무동, 길음동, 삼동거리, 직동을 병합하며 면온이라 하였다.
면온 출장소, 면온국민학교, 면온우체국, 면온 안식일교회, 면온감리교회
 
◉ 소지명
1. 직동 : 삼동거리 남쪽에 있는 마을, 똑바른 골짜기
2. 곡촌 : 삼동거리 동쪽 골짜기에 있는 길음동 마을을 일컬음
3. 더렁산(뒤굽산) : 길음동 동쪽에 있는 산. 해발 777m, 봉평강과 면온천이 합수 하는 굽이 뒷산
4. 바우갯재 : 길음동에서 동쪽 백옥포로 넘어가는 재, 영동2터널(옛봉평 터널)길이 625m
5. 비룡(飛龍)바위 : 골말과 상동거리 사이의 길가에 있는 바위. 바위앞 냇물에서 용이 날아 갔다고 한다.
6. 삼동거리 : 세갈래의 냇물과 세갈리의 길이 있음
7. 따우기골 : 면온 서쪽에 있는골
8. 쇠판이고개 : 면온2리에서 쇠판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9. 양지뜰 : 골말에 있는 들 양지가 바름
10. 왕율 : 섬동거리 서북쪽에 있는마을. 옛날 태기왕이 이곳에서 머물렀다고 한다.
11. 외솔박 : 소나무 한그루가 홀로 서 있다고 하여서 외솔박이라 한다.
12. 운무동 : 지대가 높아서 항상 구름과 안개가 낀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
13. 장자터 : 골말 동쪽에 있는 마을 부자가 살았다고 한다.
14. 큰 골산 : 큰골 뒤에 있는산
15. 영동고속도로 : 면온정류장이 있고 봉평 터널이 있다.
 
 

8. 七 진조리(眞鳥里)

참사직을 보관한 곳이였다 하여 진조리로 명명하였다 한다. 또 참새지기라고도 하였으나 1906년 평창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통페합때 용포동, 직동, 서문동을 페합하고 진조리로 명명 하였다.
 
◉ 소지명
1. 곧은골(직동) : 용포동 북 서쪽에 곧게 있는 마을
2. 서문동 : 봉평의 가장 서쪽에 있어 봉평으로 들어오는 처음이라고 하여 서문이라 한다고 한다.
3. 용포동 소(沼) : 용포동 어귀에 있는소 용이 등천하였다 한다.
일명 천심대라 한다(명승지편 참조)
4. 용포동 : 진조리 서북쪽에 있는 마을
5. 수통목 : 용포동 어귀 물통처럼 좁다는데서 유래한 지명
6. 참샘지기
7. 참새지기
8. 서냇재 : 곧은골서 서남쪽으로 유포리 서내로 넘어가는재
9. 영동제1터널과 마을 중앙으로 영동고속도로가 관통하였다.
10. 효석 문학비가 영동고속도로 영동 제1터널 동쪽 태기산 전망대에 위치하고 있다.
 
 

9. 八 류포리 (柳浦里)

류포리는 버들개 라고도 하며 대화면 신리와 개수리와 접하고 있고 금 당산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등매지(登梅地), 수림대(水臨垈), 서천(西川), 상축덕(上축德), 하축덕(下축德)을 병합 하여 유포리라하였다.
등매국민학교, 등매국민학교유포분교, 면온국민학교 유천분교,등매그리스도교회
 
◉ 소지명
1. 등매지 : 버들개 서북쪽에 있는 마을, 등매국민학교가 있음.
2. 물림터 : 버들개 서남쪽에 평창강 물가에 있음(등매국교 유포분교가 있음)
3. 시계바위 : 버들개 강 건너쪽에 있는 바위. 서울에 해가 뜰 때 같이 뜬다 하여 시계 바위라 한다.
4. 상수림대 : 하수림대, 웃물림터, 아래물림터
5. 상축덕 위축덕 하축덕 아래축덕
6. 서내 : 물림터 서쪽에 있는 마을
7. 서내천 : 서내 마을을 지나 물림터 앞에서 평창강과 합함.
8. 유포고개 : 버들개에서 물림터로 넘어가는 고개
9. 서천마을 : 서천 냇물이 있는 마을 진조리서 넘어가는 서내재 아래에 위치
10. 금당 계곡 : 휴양지로 개발 예정지
 
 

10. 九 평촌리(坪村里)

원래 강릉부 봉평면의 지역으로서 들이 넓다고 하며 버덩마을이라하였는데 1906년 평창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후근내(厚根乃)와 쇠판동(釗판洞)을 병합하여 평촌리라 함.
◦ 사찰 - 효덕사 ◦ 유적 - 봉산서재
 
◉ 소지명
1. 구룡소(九龍沼) : 팔석정 밑에 있는 소. 룡 9마리가 있다고 한다.
2. 쇠판동 : 현 금산동
3. 낙수바위 : 구룡소 아래 있는 바위.과거에 낚시터가 되었다 한다.
4. 봉산 : 평촌뒷산. 옛날에는 덕봉산이었는데 봉래 양사언이 노닐다간 후부터 봉산이라 부른다고 한다.
5. 맞인터 : 평촌 맞은 편에 있는 마을.
6. 작은쇠판이 : 남안동 동쪽 맞은터 뒤 큰 쇠판이 가기전 마을 .
7. 봉산서재 : 1906년 이곳 학자들이 건립하여 율곡과 화서 두 선생 영전을 모신곳.
8. 삼신산(일명 삼산) : 봉산 맞은편에 있는 산.경관이 매우 수려하다.
9. 삼형제봉 : 태기왕시절 삼형제 장군이 진을 친 산.(태기산전설참조)
10. 섬바위 :평촌 서쪽 산밑강가에 베섬 모양의 바위.섬바위 꼴이 있다.
11. 성황골 : 평촌옆에 성황당이 있는 골짜기.
12. 썩은새 (후근새) : 평촌 동북쪽에 있는 마을 이조 중엽 석은(石隱) 이라는 李氏가 살았다 함.혹 석은사라고하는 절이 있어다고 한다.
13. 여가지골 : 우동짓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14. 우동짓골 : 세조때 우동지가 숨어 살았다고 붙여진 지명
15. 종대집골 : 평촌리 안에 있는 골. 천종대라는 사람의 집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
16. 팔석정(일명 팔일정) : 옛날 봉래 양사언이 강릉부사로 있을 때 이곳에 와서 이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17. 벼락 바위 : 쇠판이에 있고 그 앞에 터밭골이 있다.
18. 범덩골 : 평촌 동북쪽에 있는골. 호랑이가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
19 .관모봉 : 평촌 남쪽에 있는 산.
【저작】 봉평면 향토사 (1993)
• 四 . 명승고적
• 五 지명 유래(地名 由來)
• 6. 人脈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저작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