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전남도, 14일 범도민 행사…김 지사, 역사왜곡처벌특별법 등 촉구-
|
|
|
|
|
|
|
|
전라남도는 518민주화운동 제39주년을 앞두고 14일 518민주화 운동의 최후 항쟁지인 목포역 광장에서 ‘전라남도 518기념문화제’를 열었다.
|
|
|
|
|
|
|
518민주화운동 제39주년을 맞아, 범 도민 기념행사로는 사실상 처음으로 열린 이번 문화제는 전남지역 518 및 시민사회단체가 함께 ‘518민중항쟁 39주년기념 전남행사위원회(위원장 문경식)’를 구성해 준비했다.
|
|
|
|
|
|
|
이날 행사에는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를 비롯해 이용재 도의회 의장, 장석웅 도교육감, 박지원서삼석윤소하 국회의원 등 전남지역 기관·사회단체장, 오월단체 대표, 대학생, 일반시민 등 3천여 명이 참석했다.
|
|
|
|
|
|
|
김 지사는 추념사를 통해 “우리가 누리고 있는 민주주의와 번영은 수많은 지사와 열사, 애국시민의 피와 땀과 눈물의 결실”이라며 “5월 영령의 숭고한 정신은 6월 민주항쟁과 촛불혁명까지 이어지는 원동력이었다”고 강조했다.
|
|
|
|
|
|
|
또한 518민주화 운동을 폄훼하는 세력을 규탄하며, 역사왜곡 방지와 진실 규명을 위한 ‘518 진상규명위원회 정상화, ’518 역사왜곡 처벌 특별법’ 제정 필요성 등을 역설했다.
|
|
|
|
|
|
|
이날 문화제는 전남의 518 항쟁사 낭독, 기념사, 추념사, 518 역사 왜곡 규탄 및 특별법 제정 촉구 결의문 낭독 등의 순서로 경건하게 진행됐다.
|
|
|
|
|
|
|
특히 전남의 항쟁사를 부각해 5월항쟁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극단 갯돌의 총체극 ‘남도의 오월 꽃’이 공연돼 참석자들이 눈시울을 붉히며 그날의 아픔을 공감했다.
|
|
|
|
|
|
|
이밖에도 1980년 5월항쟁 당시 상황을 느껴보도록 주먹밥 나누기, 5·18 사진전, 518 배지 배부, 촛불 켜기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열렸다.
|
|
|
|
|
|
|
1980년 당시 광주에서 시작된 518민주화운동은 5월 21일 나주를 거쳐 화순, 목포, 완도 등 전남 곳곳으로 확산돼 28일까지 계속됐다. 전남도민들이 광주에서 온 시위대에 음식과 숙소를 내주고, 곳곳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를 이어가는 등 사실상 전남과 광주가 함께 한 항쟁이었다.
|
|
|
|
|
|
|
518 진상 규명에 앞장선 화순의 홍남순 변호사, ‘민주화의 어머니’ 나주의 조아라 여사, ‘518 마지막 수배자’ 윤한봉 선생 등 전남 출신 지사와 열사들이 그 선봉에 섰다. 더욱이 치안 공백상태라는 것이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약탈이나 절도행위가 단 한 건도 일어나지 않아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도덕적이고 품격 높은 항쟁의 역사를 남겼다.
|
|
|
|
|
|
|
전라남도는 체계적 518기념사업 추진을 위해 종합계획을 수립, 올 하반기부터 기념공간 조성, 사적지 지정 등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할 방침이다. 또한 2020년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518 민주유공자 지원을 강화하고, 범 도민 기념행사를 마련할 계획이다.
|
|
|
|
|
|
|
|
|
|
|
|
※ 원문보기
|
|
|
|
|
|
|
|
|
|
▣ 정보 :
미정의 (보통)
|
|
▣ 참조목록
|
|
|
◈ 소유 ◈ 참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