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
|
충청북도농업기술원(원장 송용섭)은 수박 재배의 성패는 정식 초기생육에 좌우되므로 정식 전 지온 확보, 정식 시 심는 요령, 정식 후 하우스 환경 관리 등에 철저를 기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
|
|
|
|
|
정식 전 지온 확보를 위해 밑거름, 석회 및 퇴비를 넣고 전체적으로 토양수분을 촉촉하게 한 다음 경운하면 물의 비열로 마른 땅에 비해 토양온도 상승효과를 볼 수 있다.
|
|
|
|
|
|
|
또한, 비닐로 멀칭 후 정식하기 2주전에 이중터널을 만들어 토양온도를 20℃ 이상으로 올린 후 정식하는 것이 뿌리 활착을 용이하게 하여 초기 생육에 도움이 된다.
|
|
|
|
|
|
|
봄철 갑작스런 기온 하락으로 냉해 및 동해가 발생 될 수 있는데 이는 정식 시 심는 방법에 따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
|
|
|
|
|
일부 농가에서 잡초 발생 방지를 위해 수박 심은 구멍에 상토나 흙을 올려두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토양 중의 온열이 지표까지 상승하는 것을 막는다.
|
|
|
|
|
|
|
또한 서리나 냉온을 만났을 때 지상부 어린 수박묘의 냉해를 더 심화 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
|
|
|
|
|
정식 후에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크므로 하우스 야간 보온에 주의를 기울어야한다.
|
|
|
|
|
|
|
하우스 출입문쪽은 찬바람으로 인한 내부 열손실이 극대화 되므로 바람막이 비닐을 설치하여 저온 피해를 받지 않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
|
|
|
|
|
|
큰 일교차와 높은 습도로 대목부분에 갈색의 진물이 흘러나오는 덩굴마름병(만고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
|
|
|
|
|
농업기술원 수박연구소 전유민 연구사는 “정식 전 관수, 멀칭, 이중터널, 보온덮개 등을 통한 지온확보가 중요하다.”며, “정식 초기에 관리를 잘해야 고품질의 수박을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
|
|
|
|
첨부 :
|
|
|
|
|
|
수박 심는 요령(오른쪽 방법이 냉해를 줄일 수 있다.).jpg
|
|
|
|
|
|
010201정기(0311) - 정식 전 재배관리 잘 해야 수박 농사 성공.hwp
|
|
|
|
|
|
|
|
|
|
|
|
※ 원문보기
|
|
|
|
|
|
|
|
|
|
▣ 정보 :
미정의 (보통)
|
|
▣ 참조목록
|
|
|
◈ 소유 ◈ 참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