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일반 (일자별)
【문화】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 [국립광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특별전 ‘애중, 아끼고 사랑한 그림 이야기’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 특별강연회 개최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오는 10월 24일(화) 박물관 교육관 대강당에서 고故 허민수 기증 특별전‘애중愛重, 아끼고 사랑한 그림 이야기’의 전시 연계 학술강연회를 개최한다. 【학예연구실】
국립광주박물관 특별전‘애중, 아끼고 사랑한 그림 이야기’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 특별강연회 개최
 
ㅇ 전 시 명: 애중愛重, 아끼고 사랑한 그림 이야기 (전시기간 9.15.~12.10.)
ㅇ 강연일시: 10.24.(화), 14:00~16:00
ㅇ 강연장소: 국립광주박물관 교육관 대강당
ㅇ 내 용: 조선시대 회화사에서 《석농화원》의 위상과 가치
ㅇ 강 연 자: 유홍준(전 문화재청장, 명지대학교 석좌교수)
 
※ 선착순 입장 (만석 시 입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오는 10월 24일(화) 박물관 교육관 대강당에서 고故 허민수 기증 특별전‘애중愛重, 아끼고 사랑한 그림 이야기’의 전시 연계 학술강연회를 개최한다.
 
  기증작품 중 김진규金鎭圭(1658~1716)의 <묵매도墨梅圖>는 조선 후기 최대 규모의 서화첩 《석농화원石農畫苑》의 수록작 중 하나이다. 《석농화원》은 조선 후기 석농石農 김광국金光國(1727~1797)이 모은 200여 점의 방대한 작품들을 엮은 서화첩으로, 현재 파첩되어 전모를 알 수 없었는데 이번 기증으로 최초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특별전에서는 기증작을 비롯해 《석농화원》 필사본과 수록 작품 15점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석농화원》 필사본 번역집의 저자인 유홍준 명지대학교 석좌교수가 ‘조선시대 회화사에서 《석농화원》의 위상과 가치’라는 주제로, 《석농화원》의 가치와 이번 기증으로 처음 소개하는 김진규의 <묵매도>에 대한 깊이 있는 강연을 준비하였다.
 
  “알게 되면 참으로 사랑하게 되고, 사랑하게 되면 참으로 보게 되고, 볼 줄 알게 되면 모으게 되니, 이때 모으는 것은 그저 쌓아두는 것이 아니다.” 이 글은 조선 후기 문인 유한준兪漢雋(1732~1811)이 《석농화원》에 부친 발문跋文에서 김광국을 일컫는 구절로, 유홍준 교수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 이를 인용하여 우리에게 잘 알려진 글이다.
  이번 전시 연계 특별강연회를 통해 기증 작품의 가치와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국립광주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리는 이번 연계 강연회는 박물관 유튜브 채널에서 실시간 온라인으로도 참여할 수 있다. 끝.
 
붙임 1. 《석농화원》 필사본 사진 1부.
       2. 강연자 사진 1부.
 

 
※ 원문보기
【문화】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 특별전 연계 프로그램 〈차와 향이 흐르는 백제 오악사 공연〉, 〈특별전과 함께하는 향로 팝업북 만들기〉 운영
• [국립광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특별전 ‘애중, 아끼고 사랑한 그림 이야기’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 특별강연회 개최
• [국립경주박물관] 큐레이터가 알려주는 ‘월지에서 출토된 나무 이야기’- 국립경주박물관 10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운영 -
(2023.10.20. 10:2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