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감은사지 삼층 석탑 내 유물(感恩寺址三層石塔內遺物)
감은사지 삼층 석탑 내 유물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감은사지 삼층 석탑 내 유물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감은사지 삼층 석탑 내 유물 (感恩寺址三層石塔內遺物)
(보물 366호) 통일 신라 시대의 사리장엄구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감은사지 삼층 석탑 내 유물 (感恩寺址三層石塔內遺物) 경주시 감은사지 감은사지 3층 석탑
▣ 백과사전
통일 신라 시대의 사리장엄구이다. 보물 제366호로 지정되었다.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959년 12월 감은사 석탑을 해체하여 수리하다가 3층 탑신 사리공에서 발견하였다. 사리기는 대체로 직육면체 모양의 보좌형을 기단· 신부 ·보개로 이루어져 있다. 사리기는 청동으로 만든 것으로 기단과 신부는 보존 상태가 좋은 편이지만, 보개는 원형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부식되었다. 청동제 사리기 높이는 20㎝이며, 기단지대의 1변은 14.9㎝ 가량이다. 청동제 4각감은 총 높이가 31㎝이며, 감 높이는 25.2㎝, 감 몸통의 1변은 각각 18.9㎝이다. 먼저, 청동 4각감을 살펴보면, 감의 형태는 방추형 뚜껑을 덮은 직사각형의 깊은 상자에 4 모서리마다 발을 달고 있다. 옆면에는 각각 사천왕상 1구가 있고, 그 양옆으로 8능형의 바탕에 새긴 수환이 있다. 이 수환 위아래인 옆면 4구석에는 풀꽃 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이 장식들은 다른 동판에 새겨서 가는 못으로 고정시킨 것이다. 가장자리에는 두루 꽃과 잎을 교대로 배치하고, 그 사이의 바탕은 어자 무늬를 메운 가는 장식판으로 단을 돌렸다. 밑의 4 모서리 에는 'ㄱ'자형의 받침이 붙어 있다. 뚜껑의 가장자리에도 상자의 무늬와 같은 장식판의 단이 둘려 있고, 다시 풀꽃 무늬를 교대로 배치한 장식판이 대각선으로 '十'자형을 이루었다. 꼭대기는 여의두 무늬의 사각형 장식판을 덮고 그 한가운데에 마름모형 고리를 달았다. 사천왕상은 1장의 동판으로 새긴 것인데, 만든 당시에 일부분이 손상된 흔적이 있다. 모두 갑옷을 입었으나, 그 중 2구는 복부에 사자형이 있다. 사천왕상의 두광(머리 부분의 광배)은 원형이고, 한 손은 허리에 대고 다른 손은 탑·보주·창·금강저를 들었으며, 소나 난쟁이를 밟고 서 있다. 크기가 작은 상이지만 생동감이 넘치는 얼굴 표정이나 당당하면서도 균형감 있는 체구와 섬세한 갑옷의 장식 표현 등은 당나라 조각물에서 볼 수 있지만, 얼굴은 중앙 아시아의 이란계 사람을 표현하여 매우 주목된다. 감은사가 건립된 시기를 682년으로 볼 때 현재 알려진 통일 신라의 사천왕으로는 가장 이른 예이다. 감 안에 사리기를 넣었는데, 고정시키기 위하여 몸통 윗면 상부에 소형 자물쇠를 닫고 비녀못을 꽂았다. 두 번째로 청동제 사리기를 살펴보면, 기단·몸부분·뚜껑의 3부분으로 이루어진 보좌형(부처의 자리 형태) 사리기이다. 기단은 연꽃과 당초 무늬로 장식한 하대 위에 1면에 2좌씩의 고식 안상을 투각한 직사각형의 외벽을 세웠다. 그 안에 중대 를 깔고 또한 외벽과 중대 사이에는 각 면에 2구씩의 신장상을 따로 만들어 배치하였다. 연꽃을 돌린 상대 위에 2단의 직사각형 난간을 돌리고, 그 중앙에 사리병을 안치하였다. 상단 4귀에 주악상과 그 사이에 동자상 1구씩을 배치하여 장엄을 더하였다. 사리병은 복발형(바리때를 엎어놓은 모양)과 연꽃·보주로 장식한 청동 용기에 들어 있다. 복발형의 4면에 고리가 달려 있고, 그 위에 배치한 연꽃이 크게 돋보인다. 수정으로 만든 보주는 이 중의 작은 연꽃 위에 얹어서, 청동으로 오려 만든 화염을 씌웠다. 이 안에 든 사리병도 수정제로 높이 3.8㎝이고, 금선과 금싸라기로 뚜껑이 덮여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