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감지 은니 대방광불화엄경주본(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周本)
감지 은니 대방광불화엄경주본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감지 은니 대방광불화엄경주본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감지 은니 대방광불화엄경주본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周本)
감색종이에 은가루를 아교에 개어 쓴 <화엄경>.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감지 은니 대방광불화엄경주본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周本)
▣ 백과사전
감색 종이에 은가루를 아교에 개어 쓴 《화엄경》. 중국의 당나라의 승려인 실차난타가 범어로 되어 있는 화엄경 주본인 총 80권을 의정 등과 함께 한문으로 번역하였다. 이 중에서 고려 시대 후기에 베껴 쓴 《화엄경》제37권 1권 1첩은 보물 제754호로 지정되었다. 제5권과 제6권, 2권 1첩은 보물 제755호로 지정되었다. 이 보물들은 성보 문화 재단에서 소장하고 있다.
 

고려 시대의 《화엄경》 주본 제37권

중국 당나라의 실차난타가 한문으로 번역한 전체 80권 중에 제37권에 해당한다. 이 경은 사성기가 없어 사경을 한 시기와 사경한 사람을 알 수 없다. 그러나 고려 시대 사경의 격식, 사성의 기법과 형태를 제대로 갖추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14세기 사경으로 추정하는 게 학자들의 견해이다. 책의 겉표지 그림은 은니로 보상당초 무늬가 묘사되었고 가운데에 있는 금니쌍선 장방형 안에 경의 이름과 그 밑의 동그라미 속에 '주'자가 금니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금니로 금강저의 테두리를 두르고 화려하고 아름답게 그려져 있는 게 특색이다. 이것은 주본 《화엄경》을 나타낸 것이다. 표지의 안쪽에는 변상도가 있는데 이 책의 내용을 압축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변상도는 금니로 금강저의 테두리를 두르고 화려하고 아름답게 그려져 있다. 책의 크기는 너비 30㎝, 길이 10.9㎝이다. 경전의 내용이 쓰여 있는 곳은 금니로 위아래 테두리 선을 긋고 6행 17자씩 은자로 새겼다. 재료는 다른 사경과 마찬가지로 당시의 최고급 색지인 감색 종이를 사용하였다. 글씨체는 1373년 작품인 전남 영암군 도갑사 에서 발굴된 《홍지 금니 묘법연화경 제7권》과 비슷한 글씨체를 띠었으며, 활기에 넘치면서 여유가 있는 필체이다. 하지만 붓 끝에 지나치게 힘을 주어 판에 박힌 듯한 느낌을 준다는 게 학자들의 견해이다. 보물 제754호로 지정되었으며 성보 문화 재단에서 소장하고 있다.
 

고려 시대의 《화엄경》주본 제5권과 제6권

중국 당나라의 실차난타가 한문으로 번역한 총 80권 중에서 제5권과 제6권에 해당한다. 이 경은 사성기가 없어 사경한 시기와 사경한 사람을 알 수 없다. 그러나 고려 시대 사경의 격식, 사성의 기법과 형태를 제대로 갖추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14세기 고려 시대에 제작한 사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사경의 겉표지에는 가운데에 금니 경패 무늬 속에 '대방광불화엄경권제5·6'이라는 책 제목이 쓰여져 있다. 그 주위에는 보상화 무늬가 금니와 은니로 묘사되어 있다. 표지 안쪽 그림은 제5권과 6권 모두 금니로 변상도가 그려져 있다. 책의 크기는 너비 31㎝, 길이 10.5㎝의 절본 형상이다. 금니로 위아래 테두리 선을 긋고 은자로 6행 17자씩 쓰여 있다. 다른 사경과 마찬 가지로 그 당시 최고급 종이인 감색 종이를 사용하였다. 글씨체는 1345년 작품인 《감지 묵자 묘법연화경 제7권》과 비슷하게 보이는데 세련되지는 못하고 과장된 듯한 느낌이다. 전체 80권 중에서 제5권과 제6권이 합쳐진 책이다. 발원문이 없어 만들어진 시기와 만든 사람을 알 수 없다. 하지만 학자들의 견해로는 고려 시대 후기인 14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보물 제755호로 지정되었으며, 성보 문화 재단에서 소장하고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