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고착(固着)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고착 (固着)
오스트리아의 정신 분석학자인 프로이트(1856~1939)가자신의 저서인 <정신 분석 입문>에서 리비도(libido)의발달과 퇴행 이론 속에서 사용한 기본 개념 가운데 하나.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고착 (固着)
▣ 백과사전
오스트리아의 정신 분석학자인 프로이트(1856~1939)가 자신의 저서인 《정신 분석 입문》에서 리비도(libido)의 발달과 퇴행 이론 속에서 사용한 기본 개념 가운데 하나. 프로이트는 처음에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흔들리게 하는 근본적인 에너지로 넓은 의미의 성적인 에너지와 자기 보존적 에너지 2가지라고 생각하였으나, 나중에는 첫번째 것을 중심적으로 여겼다. 이 성적인 에너지를 ' 리비도'라 부른다. 유아 성욕론에 의하면, 이 리비도는 태어남과 동시에 이미 활동을 시작하며, 성장에 따라서 목표로 하는 대상이 바뀐다고 말하고 있다. 인간 행동의 근원이 되는 이 에너지는 ' 이드(id)'라고 하는 인간의 깊숙한 무의식 세계에 존재하며, 쾌감만을 얻으려는 성향을 지닌다. 갓난아이의 마음 속에는 바로 이러한 ' 이드'만이 존재한다. 그런데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그것이 불가능함을 알게 되고 자연이나 환경과의 타협 또는 조화를 모색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자아'이다. 자아는 지각· 기억·사고 등의 고급 정신 기능을 갖고 있다. 자아는 외부의 방해에 의해 발달되는데, 이를 통해 스스로의 욕망을 억제하는 기능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자기 자신 속에 스스로 욕망을 억제하는 기능을 '초자아'라고 하며, 사람의 윤리관은 이 단계에 와서 형성된다. 고착이란 성장 후에도 바로 이러한 리비도 발달의 여러 조기 단계에 지나치게 정신적인 에너지가 집중된 것을 말한다. 유아 성욕기인 구순기· 항문기·남근기 등의 단계를 거치면서 리비도 는 활동을 멈추는 잠복기에 들어갔다가 사춘기가 되면 다시 성기기로서의 활동을 시작하는데, 이들 각 발달 단계에서 충분한 리비도의 만족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욕구가 좌절되고 퇴행이 일어난다. 이 퇴행이 어떤 발달 단계로 되돌아가느냐를 결정하는 요인이 고착인데, 고착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체질적 요인, 욕구 불만, 과잉 만족, 그리고 욕구 불만과 과잉 만족이 합해진 상태 등을 들 수 있다. 정상적인 리비도 발달 과정을 거쳤어도 특정한 발달 단계에 대한 고착이 있을 경우는, 어려움이나 곤란이 닥쳤을 때 쉽사리 고착 지점으로의 퇴행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프로이트는 리비도에 있어서의 고착 개념을 명확히 정립하였으며, 계속된 정신 분석 연구를 통해 욕구 충족 방법, 욕구 대상, 욕구 억제 방법, 대인 관계 양식 등의 발달과 퇴행에 대하여도 똑같은 개념을 발전시켰다. 약 40여 년 간의 연구 생활 중 이 리비도에 관한 이론은 대체로 중기의 사상에 해당하며 인간의 심리를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