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권응수 장군 유물(權應銖將軍遺物)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권응수 장군 유물 (權應銖將軍遺物)
경상 북도 영천군 신령면에있는, 조선 시대의 장군 권응수(1546~1608)의 유물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권응수 장군 유물 (權應銖將軍遺物)
▣ 백과사전
경상 북도 영천군 신령면에 있는, 조선 시대의 장군 권응수(1546~1608)의 유물들. 보물 제668호이다. 생전에 쓰던 물건, 임금에게서 받은 하사품과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 집안에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유품들로서, 그의 후손인 오현(五玹)이 보존하고 있다. ① 선무공신녹권(宣武功臣錄券):1604년 10월에 정립이 짓고, 김현무가 작성한 것으로, 1등 공신에 이순신 외 2명, 2등에 권응수 외 4명, 3등 공신에 정기원 외 9명 등 임진왜란 때의 공신들을 수록하여 권응수에게 하사한 것이다. 크기는 가로가 28㎝이며, 세로가 39.4㎝의 책자이다. ② 권응수 장군 영정(權應銖將軍影幀): 임진왜란 후에 선조가 화공에게 초상화를 그리게 하여 하사한 선무공신상으로, 현재 경상 북도 영천 백운재 서원에 봉안 중이며, 좌안칠분면의 전신 교의 좌상이다. 사모 무문 감색 단령(紗帽無紋紺色團領)에 쌍룡 흉배를 붙이고 의자에 앉은 상이다. 크기는 가로가 104㎝이며, 세로가 220㎝이다. 17세기 초의 대표적인 공신 초상화로 꼽히며 부분적으로 손상된 곳도 있으나 세부 묘사와 전체적인 안정감이 뛰어난 작품이다. ③ 태평회맹도 병풍(太平會盟圖屛風):오른쪽 면에 임진왜란 때의 공신 들을 그림으로 배열한 계회도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다른 계회도들과는 다르게 옆 병풍에 자리의 차례를 적은 목록을 만들어 공신의 본관·생년· 성명 등을 기록한, 비단에 그린 4폭의 채색 병풍이다. 크기는 가로가 120㎝이며, 세로가 280㎝이다. 풍경보다 장면 묘사에 더욱 충실하였고 그 배경을 생략한 점 등은 같은 시기의 계회도들과 비슷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④ 장검〔日本刀〕: 임진왜란 때에 일본의 장수 기하치〔喜八〕에게 빼앗은 것으로 전하여지고 있는데, 손잡이에는 1521년인 대영 원년(大永元年)이라고 새겨져 있다. ⑤ 유지(諭旨):1594년부터 1606년까지 작성된 선조 의 작전 지령문으로, 임금이 신하에게 내리던 글( 유지 )이 29매, 장군의 간지에 쓴 편지가 3매로, 크기는 가로 가 27㎝이며, 세로는 43㎝이다. ⑥ 교지 및 유서(諭書):1604년부터 1624년까지 작성된 장군의 교지(사령장) 및 유서(부임할 때 내리던 명령서)로, 크기는 가로가 27㎝이며, 세로가 51㎝의 33매 합철로 되어 있다. ⑦ 각대(角帶):사각의 금속으로 된 허리띠로 길이가 150㎝이며, 나비가 6.3㎝이다. ⑧ 가전보첩(家傳寶帖):상하 2권으로 되어 있다. 상권은 크기가 가로 41.7㎝이고, 세로 45㎝의 26매이며, 시가 60수 수록되어 있고, 작자는 채팽윤·유승무·신구중 등이다. 하권은 크기가 가로 34㎝이며, 세로 46.3㎝의 27매로, 시 43수가 수록되어 있으며, 작자는 신후빙·권목 등이다. 이 《가전보첩》은 당시의 시문 또는 서체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