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 (金銅彌勒菩薩半跏像)
(국보83) 삼국 시대의 7세기 전반의 금동 보살상. 높이 93.3㎝. 국보 제78호인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과 더불어 그 크기와 기교에 있어 삼국 시대 금동 불상을 대표하는 걸작이다.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 (金銅彌勒菩薩半跏像)
▣ 백과사전
삼국 시대의 7세기 전반의 금동 보살상. 국보 제83호. 높이 93.3㎝. 국보 제78호인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과 더불어 그 크기와 기교에 있어 삼국 시대 금동 불상을 대표하는 걸작이다.
 
머리에는 작고 둥근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있어 '삼산관 반가 사유상(三山冠半跏思惟像)'으로도 불리운다. 얼굴 은 둥글고 통통하며, 반쯤 감은 가느다란 눈에 눈썹은 아름다운 반원을 그리고 눈과 입가에는 잔잔한 미소를 머금었다. 길게 늘어진 귓밥에 구멍이 나 있고, 옷을 입지 않은 상반신에는 목에 2줄의 목걸이가 걸렸을 뿐 일체의 장식이 없는 수수한 모습이다. 전체적인 자세는 반가 사유상의 일반적인 형태를 하고 있으나 균형잡힌 신체 표현과 아래로 흘러내리는 옷주름의 입체적이면서도 자연스러운 처리와 얼굴 전체에서 느껴지는 오묘한 미소는 정교하게 다듬어진 조각품으로서의 완벽한 주조 기술을 보여준다. 이 불상은 중국 북제(北齊) 시대의 다른 불상들보다도 더욱 단순하고 자연스럽게 다듬어져 있어, 한층 발전된 단계의 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평양의 평천리에서 출토된 금동 미륵 반가상이나 경주 단석산 마애 불상군 중의 반가 사유상과 양식상 계보가 같고, 또 일본 교토 고류사의 목조 반가 사유상과도 매우 유사하다.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구리로 만들어 도금한 삼국 시대의 불상. 국보 제78호. 높이 80㎝. 삼국 시대에 유행한 반가 사유 형식의 불상 중 가장 대표적인 불상이다. 이 불상의 제작 시기는 7~8세기경으로, 머리 부분과 몸체 부분을 따로 주조한 다음 연결, 용접하여 만들어졌음이 확인되었다.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