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금동 보살 입상(金銅菩薩立像)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금동 보살 입상 (金銅菩薩立像)
삼국 시대의 금동 보살입상.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금동 보살 입상 (金銅菩薩立像)
▣ 백과사전
삼국 시대의 금동 보살 입상. 보물 제333호. 높이는 15.1㎝. 다른 불상에 비해 매우 작지만, 시대적 특징과 조형미가 뛰어난 보살상이다. 출토지는 밝혀지지 않았고, 광배(光背)와 대좌(臺座)의 일부가 유실된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완전한 형태를 유지 하고 있다. 머리의 보계는 독특한 모양으로 세 가닥으로 올라간 삼산관(三山冠) 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다소 긴 편으로 수척하며 고졸(古拙)한 미소를 띠고 있다. 몸에 비하여 유난히 큰 얼굴과 손은 고식 불상의 특징을 보여 준다. 수인(手印)은 시무외(施無畏)· 여원인(與願印)을 짓고 있는데 특히, 여원인을 한 왼손의 새끼손가락과 무명지를 구부린 것은 우리 나라 불상의 특징적인 형태로서 연가 칠년명 불(延嘉七年銘佛) 및 계미명 불(癸未銘佛)과 같은 계열임을 알 수 있다. 목은 짧고 턱이 두툼하며, 끝이 뾰족하고 납작한 목걸이로 장식하였다. 몸 전체를 감싸고 있는 두꺼운 천의(天衣) 자락은 힘이 있고 곡선은 유려(流麗)하며, 양 어깨에서 내려온 두 가닥의 천의 자락은 무릎 위에서 U자로 늘어졌다가, 그 끝이 다시 양 손목으로 올라갔다. 목걸이 ·X자 옷주름· 날개 가 몸 양쪽에서 날리는 특이한 형태의 천의 수법 등은 군수리 금동 보살 입상(軍守里金銅菩薩立像)과 동일한 양식을 보이지만, 이 불상은 신체 각 부위, 특히 얼굴에 훨씬 힘이 있어 오히려 계미명 불의 협시상(脇侍像)에서 볼 수 있는 양식에 가깝다. 앞으로 내미는 두 발 아래에는 역삼각형의 둥근 대좌가 있는데, 여기에 긴 촉이 붙어 있어서 그 아래의 연화좌에 꽂혀지도록 되어 있지만, 현재는 연화좌가 없어졌다. 등 뒤에는 구멍 뚫린 각형(角形) 고리가 아닌 작은 돌기(突起) 하나가 남아 있다. 불상의 제작 연대는 6세기경으로 추정된다.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보물285) 신라 시대의 금동 보살상.
(보물333) 신라 시대의 금동 보살상.
통일 신라 시대의 불상.
통일 신라 시대의 금동제 보살.
구리로 만들어 도금(鍍金)한삼국 시대의 불상.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