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금동 여래 입상(金銅如來立像)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금동 여래 입상 (金銅如來立像)
(보물284) 통일 신라 시대의 금동제여래상.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금동 여래 입상 (金銅如來立像)
▣ 백과사전
통일 신라 시대의 금동제 여래상. 국보 제182호. 높이 40.3㎝. 1979년 경상 북도 선산군 고아면(高牙面)에서 발견되었다. 통일 신라 시대 여래상의 대표적인 양식을 보여 주는 이 불상은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 삼존(三尊)의 으뜸되는 부처로, 나발(螺髮) 위의 육계가 크고, 얼굴은 퉁퉁하게 살이 쪄 사각형에 가까운 모습이다. 눈은 옆으로 길고 코와 입은 비교적 작은 편이나 귀는 길게 늘어졌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나타나고, 법의(法衣)는 양 어깨에 걸쳐 입었으며, 배 부분에서 U자형 주름을 이루고, 두 다리에는 각각 타원형 주름이 여러 줄 잡혀 발목까지 드리워져 있다. 오른손은 들어올려 시무외인(施無畏印)을, 왼손은 수평으로 쳐들어 여원인(與願印)을 취한 듯한데 손의 끝 부분이 손상되어 있다. 뒷면으로 머리· 가슴·하체 등 세 곳에 둥근 구멍이 있는데 이는 주조할 때에 생긴 듯하다. 또 광배를 꽂았던 듯한 굵은 꼭지가 달려 있다. 도금이 얇아 곳곳에 푸른 녹이 슬어 있으며, 발 아래에는 대좌(臺座)에 꽂기 위한 짧은 촉이 있을 뿐 대좌는 없어졌다. 도금 상태가 양호한 이 불상은 몸의 형태나 세부 표현이 부드럽고 단순하며, 옷주름이 정리되어서 단아한 느낌을 준다. 얼굴에는 자비가 넘치며, 불신의 균형이 아름답게 조화된 우수한 불상이다.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구리로 만들어 도금한 통일 신라 시대의 불상.
구리로 만들어 도금한 통일 신라 시대의 불상.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