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김제 평야(金堤平野)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김제 평야 (金堤平野)
전라 북도 김제시를 중심으로 정읍시· 완주군· 부안군의 일부 지역을 포함한 광대한 지역에 펼쳐진 평야.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김제 평야 (金堤平野)
▣ 백과사전
전라 북도 김제시를 중심으로 정읍시 · 완주군· 부안군의 일부 지역을 포함한 광대한 지역 에 펼쳐진 평야. 인접한 만경 평야와 함께 김만경 평야 라고도 하며, 동진강과 만경강 유역의 충적 평야와 주변의 낮은 구릉성 침식 평야로 이루어진 우리 나라 최대의 곡창 지대이다. 김제 평야는 대부분이 하천들의 제방과 배후 습지 등이 발달하여 있던 범람원 지역이다. 하천의 양쪽 곁에 있는 낮은 지역인 이 평야를 이루는 범람원의 퇴적층은 삼례읍까지 걸쳐 있다. 이 퇴적층에는 사질 양토가 많아 보수력이 크기 때문에, 벼농사에 알맞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삼국 시대에 축조된 저수지 둑인 벽골제 등이 있을 정도로, 예로부터 벼농사의 중심지였으며, 우리 나라에서 가장 먼저 근대적 수리 시설을 갖춘 지역이기도 하다. 근대적인 수리 시설은 운암호의 수량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운암호의 물은 칠보 발전소를 움직이고 나서, 동진강 도수로를 통하여 흘러내리는데, 급·배수로망을 가진 동진 농지 개량 조합 의 대단위 수리 시설에 의하여, 이 물은 김제 평야의 대부분 지역으로 관개되고 있다. 평야 주변의 오래된 촌락들은 처음에는 구릉지에 터를 잡았다. 김제군 청하면 동지산의 패총 유물이 이러한 사실을 말해 준다. 그러나 하천변 충적지가 개발되면서, 구릉지에 자리잡았던 마을들은 점차 평야 가운데로 촌락을 이루며 들어섰다. 하천의 홍수와 범람에 대한 수방 대책이 세워지고, 국가에 대토목 공사를 추진해 나갈 수 있는 경제력이 생긴 뒤로 하천변의 충적지 개발은 계속되었다. 대한 제국 말에 만경강 하류 일대를 개척하기 위한 이완용제와 민영익제를 쌓았던 일, 1920년대에 일제에 의하여 동진강과 만경강의 직강 공사가 이루어져 인공 제방이 설치된 뒤로, 김제 평야는 지금과 같은 규모를 갖게 되었다. 만경강· 동진강 어귀와 계화도 일대는 대규모의 간척 사업에 의하여 농경지로 탈바꿈하였으며, 침식 평야 를 이룬 구릉 지대에서는 과수·채소류 재배와 닭· 돼지 등의 가축 사육이 성하다. 이 평야 지대의 중심이 되는 곳은 김제읍이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