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꼬리(-)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꼬리 (-)
동물의 꽁무니나 몸뚱이의 뒤끝에 가늘고 길게내민 부분.
▣ 지식지도
◈ 지식지도
꼬리 (-)
▣ 백과사전
동물의 꽁무니나 몸뚱이의 뒤끝에 가늘고 길게 내민 부분. 몸의 위치를 바꾸는 운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동물의 대부분은 앞 부분은 입·감각기·뇌가 발달한 머리 가 되어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또 몸의 형태도 길고 특히, 몸의 뒤끝은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가늘고 길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것이 꼬리이다. 보통 꼬리는 항문보다 뒷부분에 있는 부위를 말한다. [ 무척추동물의 꼬리] 무척추동물의 꼬리는, 환형동물이나 곤충 등과 같이 항문 이 몸의 끝 부분에 있어, 꼬리와 몸체와의 경계선이 확실하지 않다. 이동하는 성질과 전진하는 운동력의 발달로 머리 부분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몸 끝 부분에 항문 또는 배설기·생식기 등이 있으며, 꼬리 또한 이것의 일부로 볼 수 있다. 꼬리 는 편평하게 생겼으나, 이것이 운동 기관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내부 구조는 간단하며, 밖으로 드러난 형태만으로는 구별이 어려우므로, 꼬리가 항문보다 뒷부분에 있거나, 몸의 끝 부분에 튀어 나온 부분만을 가리킬 때도 있다. [ 척추동물의 꼬리] 척추동물은 크게 머리·몸통· 꼬리· 앞다리·뒷다리로 나누어진다. 이 때 꼬리 부분은 항문에서 척추동물의 몸의 중추를 이루는 부분인 체간의 끝 부분까지를 말한다. 척추동물 의 꼬리는 육질과 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장은 없다. 척추동물의 꼬리는 모두 생김새는 다르나 같은 역할을 하는 상동 기관으로, 원시 어류에 있어서는 물 속에서의 추진 기관이었다. 골수의 판이 솟아올라 길게 늘어져 꼬리가 되었으며, 등골뼈인 척추와 그 속에 있는 중추인 척수는 있으나 소화관은 없다. 어류는 항문에서 꼬리지느러미가 붙어 있는 부분을 꼬리라고 하며, 막상의 지느러미는 꼬리 라고 하지 않는다. 항문이 앞 부분에 있는 경골어류에서는 주가 되는 골격이 지느러미의 기부에서 끝나는 상하 대칭 이며, 항문이 앞 부분에 있기 때문에 꼬리와 몸체에서 큰 부분을 차지한다. 어류는 꼬리지느러미 앞에 있는 것을 꼬리라고 한다. 양서류와 파충류는 물속 생활에 적응하기 쉽게 크고 납작한 모양이며, 꼬리를 좌우로 흔들어 몸을 움직인다. 개구리는 변태 과정을 거쳐 꼬리가 없어지고, 대신 뒷다리가 물 속에서 앞으로 밀고 나가는 추진 역할을 하게 되었다. 고생대에는 상어류에 이상한 모양의 꼬리 가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찾아볼 수 없다. 새의 꼬리는 본체가 퇴화하여 작아졌으며, 꼬리뼈로 불리는 미골 위에 돋은 꼬리깃으로 공중에서 방향을 조절한다. 반면에, 땅 위나 물 위에 사는 새는 꼬리깃이 발달하지 않았다. 그러나 시조새에는 꼬리 쪽에 있는 등골뼈인 미추가 길게 있어 꼬리가 길다. 포유류는 생활 습관에 따라, 꼬리의 생김새와 기능이 진화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하게 변모되었다. 개와 다람쥐는 균형을 잡으며, 말과 소 등은 파리를 쫓고 거미원숭이 와 카멜레온은 물건 등을 감아 쥐는 데 꼬리를 사용한다. 이 밖에 고래나 해리와 같이 2차적인 물속 추진 기능으로 되돌아간 것도 있다. 캐나다호저 등은 무기 수단이나 방어 를 할 때, 개는 신호를 할 때 꼬리를 사용한다. 악어는 먹이를 사냥할 때, 방울뱀은 경고를 할 때 꼬리를 사용한다. 사람이나 유인원과 같이 꼬리가 퇴화되어 없어진 경우도 있다. 그러나 사람이나 유인원은 꼬리가 없어지기는 하였으나, 골격의 꼬리뼈만은 남아 있다. 생물의 수컷 배우자인 정자 의 편모도 생김새와 기능적인 면에서 동물의 꼬리와 비슷하기 때문에 꼬리라고 한다. 동물의 정자는 보통, 머리·목· 꼬리의 세 부분으로 나누며, 실 모양의 꼬리 부분으로 운동한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