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나주 철천리 석불 입상(羅州鐵川里石佛立像)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나주 철천리 석불 입상 (羅州鐵川里石佛立像)
전라 남도 나주시 봉황면 철천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불 입상.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나주 철천리 석불 입상 (羅州鐵川里石佛立像)
▣ 백과사전
전라 남도 나주시 봉황면 철천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불 입상. 보물 제462호로 지정되어 있다. 전체 높이가 5.38m에 이르는 거구로 광배와 불상· 대좌가 모두 한 개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소발의 머리에는 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으며,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은 비만스러운 인상을 준다. 눈은 길고 코는 큼직하고 펑퍼짐하며 입가에는 미소를 띠었으나 자비스러운 불상의 미소는 찾아볼 수 없다. 귀는 턱까지 늘어졌으며 굵은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나 형식적이다. 체구는 당당하면서도 중량감이 느껴지나 어깨는 굴곡이 잘 표현되지 않아 자연스럽지 못하다. 또한, 두 손은 각각 시무외인과 여원인을 하고 있으나 오른손은 위로 향하고 왼손은 아래로 향하는 일반적인 시무외인·여원인과 반대여서 어색하다. 몸에 걸친 법의는 통견으로 어깨에서부터 흘러내린 옷주름이 U자형의 둥그스름한 원호를 이루며 발목까지 늘어져 있다. 나룻배 모양의 거신광인 광배는 신광과 두광으로 구별된다. 두 줄의 선으로 구분된 신광 안은 구름무늬를 장식하였다. 그리고 역시 두 줄의 선으로 테두리가 지어진 두광 안은 머리 주위에 연꽃 무늬를 돌려 새기고 다시 그 주위에 꽃무늬를 장식하였다. 광배 바깥 가장자리에는 불꽃 무늬를 장식하였으나 조잡한 느낌을 준다. 그 규모가 형식 면에서 전라 남도 남원에 있는 용담사지 석불 입상과 비슷하며, 고려 초에 유행한 거불 양식을 갖춘 것으로 보아 고려 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