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낙랑 고분(樂浪古墳)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낙랑 고분 (樂浪古墳)
평안 남도와 황해도 지방에 분포되어있는 낙랑 시대의 고분.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낙랑 고분 (樂浪古墳) 고분 고인돌 널무덤 독무덤 돌방무덤 무덤 고구려 고분 발해 고분 백제 고분 신라 고분 쌍영총
▣ 백과사전
평안 남도와 황해도 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낙랑 시대의 고분.
 
중국 전한의 제7대 황제인 무제 는 기원전 108년 위만 조선을 멸망시킨 후 고조선의 옛 땅에 한사군을 설치하였다. 낙랑군을 제외한 3군은 그 후 다른 지역으로 쫓겨나거나, 중간에 없어졌으나 낙랑군만은 313년 고구려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약 400여 년 동안 위만 조선의 도성이었던 평양 일원에 남아 있으면서 중국의 정치· 문화· 경제의 전초 기지 역할을 담당하였다.
 
지금의 평안 남도 일대와 황해도 북부 지역에 걸쳐서 발견되고 있는 이 고분들은 낙랑군에 소속된 당시의 중국인 관리들과 그들의 지배 아래 있던 토착 세력들의 무덤들로 짐작된다. 평양 근교 토성리를 중심으로 하여, 동서로 약 3㎞, 남북으로 약 6㎞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1,300여 개의 고분이 분포되어 있으며, 황해도 일대에도 많은 수의 고분이 분포되어 있다.
 
일제 시대 때 주로 발굴된 이 무덤들은 그 지역의 토착 문화와 중국의 문화가 결합되어 나타난 낙랑 문화의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고분의 외형은 봉토분이고, 그 구조에 따라 크게 덧널무덤〔木槨墓〕과 벽돌무덤〔塼室墓〕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덧널무덤은 땅을 파고 네모난 덧널〔槨〕을 만든 후 그 안에 널〔木棺〕을 안치하고 전체를 흙으로 덮는 형태의 무덤을 말한다. 처음에는 1명만을 매장하는 홑무덤이었으나 점차적으로 부부를 함께 매장하는 어울무덤 으로 바뀌어 갔다. 부부를 함께 매장하는 부부 합장도 처음에는 남편과 아내의 덧널을 따로 만들어 매장하는 이곽 합장을 주로 하였으나 점차 부부를 한 덧널에 매장하는 동곽 합장으로 바뀌어 갔다. 부부 합장의 경우에는 나중에 추가로 매장할 경우를 위하여 덧널에 미리 출입문을 만들어 두었다. 가족장으로 여러 명을 함께 매장한 고분이 발견되기도 한다. 덧널무덤 중에는 큰 널방 안에 작은 별곽이 있는 것도 있다. 대표
 
덧널무덤으로는 일제 시대 때 발굴 조사된 왕관묘와 채협총이 있다.
 
이 가운데 왕광묘는 관을 위에서 아래로 묻는 수혈식인데, 이 때 관은 한 개만 매장되어 있다. 채협총은 덧널 한쪽에 넛길을 만들어 관이 넛길을 통해 널 속으로 들어가게 만든 횡구식으로 벽돌무덤에 많이 나타나는 횡구식을 덧널무덤인 채협총에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30개 정도가 발굴 조사된 벽돌 무덤은 천장과 입구를 아치식으로 쌓았는데, 널방이 2개, 또는 3개가 있는 것도 있으며, 옆방이 달린 것도 있다. 특히, 벽돌무덤의 궁륭천장은 요철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교묘하게 벽돌을 쌓아올림으로써 구조적으로 고분 의 무게를 분산시켰으며, 사용 위치에 따라 벽돌의 모양을 달리하여 쌓는 등 이들 묘의 축조 방법을 통해 당시 건축 기술의 높은 수준을 엿볼 수 있다.
 
무덤에서 발견된 부장품 으로는 옥·동·흙· 나무·철 등으로 만든 그릇과 도자기 · 장신구· 문방구· 도장·꾸미개· 청동 거울·말갖춤〔馬具〕·칠기 등이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