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남원 향교(-)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남원 향교 (-)
전라 북도 남원시 향교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지방 교육 기관. 1410년(태종 10)에 공자를 비롯하여 어질고 덕이 높은 유학자들의 위패를 모셔 놓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 선비와 백성들의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 창건되었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남원 향교 (-) 향교 성균관 남원시 향학 남평 향교 함평 향교 양천 향교 흥해 향교 지평향교 용궁향교 예천향교 황간향교 평해향교 동래향교 남양 향교 단양 향교 과천향교 임실향교 교동 향교 함열향교 부안향교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서원 (2) 향학 (2) 백과
▣ 백과사전
전라 북도 남원시 향교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지방 교육 기관.
 
1410년(태종 10)에 공자를 비롯하여 어질고 덕이 높은 유학자들의 위패를 모셔 놓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 선비와 백성들의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 창건되었다. 여기에 모셔진 위패들은 다른 향교에서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5성과 10철, 송조 6현, 우리 나라 18현의 위패이다.
 
처음에는 대곡산 기슭에 향교를 세웠으나, 향교 에서 제사가 있을 때마다 호랑이가 나타나 제사를 방해했으므로 덕음봉 밑으로 향교를 옮겼다. 그런데 홍수가 날 때마다 향교로 가는 길이 막히는 사태가 발생하여 1443년에 지금의 위치로 다시 옮기게 되었다. 그 후 정유재란(1597)이 일어났을 때 향교 건물이 심하게 파손되었으나 지역 유림들이 앞장서서 다시 복원하였다.
 
정유재란이 있은 지 2년 후인 1599년에는 유인옥을 중심으로 한 지방 유림들이 동무(동쪽 건물)·서무와 대성전을 새로 손질하여 중건했으며, 1609년에는 감사 윤안성 등의 노력으로 명륜당이 중건되었다. 1748년에는 진사 한동섭이 앞장서서 동재와 서재를 새로 고쳐 지었다. 그러나 1876년에 이 곳에 불이 나서 명륜당이 불에 탔으며, 오달선 등 유림이 또다시 힘을 모아 명륜당을 그대로 복원했다.
 
1892년에도 부사 민종렬이 대성전을 수리하는 등 남원 향교를 돌보는 일을 아끼지 않았으며, 1982년에는 국가에서 자금을 지원하여 낡고 파손된 부분들을 모두 수리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 명륜당(5칸)· 대성전(정면 3칸, 측면 2칸)·동무(3칸) ·서무(3칸)·동재(5칸)· 서재(3칸)·진강루(6칸)·고직사(6칸)· 신문(3칸)·외문(3칸) 등이 있으며, 이 중 유학자들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대성전은 전라 북도 유형 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있다.
 
남원 향교는 소장하고 있는 서적들이 모두 263종 821책으로 전라 북도에 있는 향교 중 가장 많은 자료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한데, 그 중 《청금록》 《향안》 등은 지방사 연구에 큰 도움이 되는 훌륭한 자료이다.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관리, 노비 등을 제공해 주었으므로 이 곳에서 교관이 70여 명의 교생들을 가르치는 등 교육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봄과 가을에 석전제를 치르며, 지방 유림들이 돌아가며 이 곳을 관리하고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