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내관(內觀)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관 (內觀)
심리학 용어의 한 가지.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내관 (內觀)
▣ 백과사전
심리학 용어의 한 가지. 내성· 자기 관찰 · 내성 심리학이라고도 한다. 자기 자신이 자기의 마음이나 정신의 작용을 관찰하는 과정을 말하는데 이것은 자신의 마음 또는 정신을 지배하는 법칙을 알아내기 위해서이다. 이 내관이라는 용어는 '내부를 본다'는 것을 의미하는 라틴어 'introspicere'에서 유래됐다. 내관은 근대 합리주의 철학의 개척자이자 해석 기하학의 창시자로 일컬어지는 프랑스의 철학자·수학자·물리학자인 르네 데카르트(1596~1650)가 물질과 정신의 이원론(二元論)을 내놓은 후, 정신의 연구법은 내부 관찰, 즉 내관이라고 주장한 때부터 정착하였다. 내관은 동시적 내관과 추상적 내관으로 나누어지는데, 동시적 내관은 현재 진행 중인 심적 과정을 관찰하는 것이고, 추상적 내관은 뒤에 다시 생각해 내는 것이다. 영국의 연상학파나 실험 심리학의 선구자들, 특히 실험 심리학을 확립한 독일 의 빌헬름 분트(1879~1963)와 오스발트 퀼페, 영국의 에드워드 브래드퍼드 티치너(1867~1927), 그리고 의식 작용을 중시하는 기술적 심리학의 창시자인 독일의 프란츠 클레멘스 브렌타노 (1838~1917) 등에게 있어 이 내관은 심리학 연구의 중요한 방법이었다. 이들은 의식의 내용은 직접적인 경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생각하였으며, 경험한다는 것은 곧 경험한다는 것을 아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내관은 자기 정당성을 가진 오류가 없는 것으로 보았다. 특히 분트 와 티치너, 퀼페는 내관을 통해서 본질적으로 감각적인 물질의 역동적 복합물, 즉 감각 일반, 심상, 감각과 매우 비슷한 감정 등을 의식 속에서 찾아낼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후 의식은 감각 내용과 함께 좀더 감지하기 어려운 행위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는 견해가 대두되면서 내관 의 결과에 대한 논쟁이 일어나게 되었다. 1920년경부터는 내관에도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이 분명하여졌다. 이것은 내관이 직접적인 것이 아니라 시간이 걸리고 실수가 따를 수 있는 관찰이며 추론 과정이기 때문에 생긴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특히 객관적·과학적 심리학자, 특히 행동주의 주창자인 미국의 심리학자 존 브로더스 윗슨(1878~1958)은 내관법을 거부하였다. 피험자의 심적 과정은 실험자가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윗슨은 자극과 반응 의 계통화만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학에서의 자연 과학적 방법의 철저를 강조하고 또 본능이나 유전에 대해서 환경 의 요인을 강조하였다. 1940년경에는 내관이라는 용어도 심리학에서는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내관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게 되었지만, 방법 자체가 없어진 것은 아니다. 주관적인 의식은 내관이 가능하며, 언어 보고에 의하여 공공적인 연구의 소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심리학 에서 이 내관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심리학적 연구의 영역을 좁히는 결과를 낳는다. 요즈음에도 이 내관의 방법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지각 등의 현상을 기록하기 위하여, 자극과 의식적인 사상(事象)과의 관계를 알아 내기 위하여, 또는 의식과 사상 상호간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하여 내관 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정신과 환자가 정신 의학자나 정신 분석학자들에게, 때로는 정신 분석학적 지도에 따른 자유 연상의 방법으로, 또는 로르샤흐 잉크 얼룩 검사와 같은 투사 검사의 방법으로 환자 자신의 의식 상태를 말할 때 사용되고 있다. 이 때 환자는 모호한 자극이나 상황 이 환자 자신에게 불러일으키는 연쇄적인 생각을 말하게 된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